• 제목/요약/키워드: Shingo pear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신고 배의 품질 특성 분포 (Quality Distribution of Korean Shingo pears)

  • 이주원;김선희;홍석인;정문철;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2-168
    • /
    • 2003
  • 신고 배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품질등급화를 위해 주요산지인 나주, 상주, 안성, 울산, 아산에서 생산되는 신고 배를 3년에 걸쳐 수집하여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신고배의 품질 특성 분석인자로는 외관 품질로서 녹색도(100-황색도), 균일도, 물리적 요인 및 병충해에 의한 흠을 조사하였고 크기 기준에 의한 품질로는 종$.$횡의 크기와 중량을 조사하였으며 내부 품질로는 당도, 경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다. 신고 배의 녹색도는 3년 평균 25.27% 이었고, 년도별로 17.72-36.57% 범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동일한 생산 년도에서도 큰 편차를 보였다. 종과 횡의 크기는 각각평균 94.95mm와 105.61mm 이었으며, 중량은 평균 566.13g이고 편차는 114.57g으로 개체간의 중량의 차이가 심하였다. 신고 배의 물리적 요인 및 병충해에 의한 흠의 정도는 각각평균 1.23점과 1.03점으로 외관상 물리적 요인에 의한 손상정도가 다소 컸다. 당도는 3년 평균치가 12.22$^{\circ}$Brix, 편차는1.44$^{\circ}$Brix 이었고 최고치는 18.40$^{\circ}$Brix, 최저치는 7.70$^{\circ}$Brix이었다. 경도는 3년 평균값이 0.96kgf 이었다. 신고 배의 3년 평균 pH는 5.23이었고, 적정산도는 0.10%이었으며 생산 년도별로 적은 차이를 보였다. 산지별로는 지역I의 녹색도가 32.15%로 가장 심하였고 지역B가 17.23%로 가장 약했다. 종의 크기는 지역C가 96.60mm로 가장 크고 지역D가 90.86mm로 가장 작았다. 횡의 크기와 중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지역E가 108.86mm, 602.78g으로 최고치를 나타냈고 지역D가 02.07mm 512.57g으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물리적 흠과 병충해에 의한 손상정도는 산지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매우 미미하였다. 당도는 지역E가 12.94$^{\circ}$Brix로 가장 단맛이 강했고 지역A가 11.67$^{\circ}$Brix로 가장 약했다. 경도는 지역A가 1.03kgf으로 가장 단단했다. pH는 지역A가 5.37로 가장 높았고 적정산도 는 지역C가 0.11%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배의 성숙 중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Variation of fre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s of Pears During the Ripening Period)

  • 최옥자;박혜령;조성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0-254
    • /
    • 1998
  • A variation of fre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s of pears during the ripening period was determined by HPLC and amino acid analyz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w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present in the pears. The contents of fructo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lucose and sucrose in order. The contents of total sugar in Shingo and Youngsan was similar, but the contents of frucose in Shingo was lower and the contents of sucrose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san (p<.001).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e contents of fructose and glucose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somewhat decreased. The contents of sucrose increased continually, while the contents of total free sugar reached the maximum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it was 10.41%, 10.29% in Shingo and Youngsa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in Shingo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san. A variation ratio and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Shingo and Youngsan during the ripening period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jor free amino acid of the pears was in the order of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histidine, glutamic acid, valine, arginine, and alanine. During the ripening period, aspartic acid, threonin,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and Iysine increased gradually.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arginine didn't show much change.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increased during the ripening period.

  • PDF

근적외선을 이용한 신고 배 당도판정에 있어 표면 온도영향의 보정 (Compensation of Surface Temperature Effect in Determination of Sugar Content of Shingo Pears using NIR)

  • 이강진;최규홍;김기영;최동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2호
    • /
    • pp.117-124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remove the effect of surface temperature of Shingo pears for sugar content measurement. Sugar content was measured by a near-infrared spectrum analysis technique. Reflected spectrum and sugar content of a pear were used for developing regression models. For the model development, reflected spectrums having wavelengths in the range of 654 to 1,052nm were used. To remove the effect of surface temperature, special sample preparation techniques and partial least square (PLS) regression models were proposed and tested. 71 Shingo pears stored in a cold storage, which had 2$^{\circ}C$ inside temperature, were taken out and left in a room temperature for a while. Temperature and reflected spectrum of each pear was measur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amples, temperature and reflected spectrum of each pear was measured four times with one hour twenty minutes interval. During the experiment, temperature of pears increased up to 17 $^{\circ}C$. The total number of measured spectrum was 284. Three groups of spectrum data were formed according to temperature distribution. First group had surface temperature of 14$^{\circ}C$ and total number of 51. Second group consisted of the first and the fourth experiment data which contained the minimum and the maximum temperatures. Third group consisted of 155 data with normal temperature-distribution. The rest data set were used for model evaluation. Results shelved that PLS model I, which was developed by using the first data group, was inadequate for measuring sugar content of pears which had different surface temperatures from 14$^{\circ}C$. After temperature compensation, sugar content predictions became close to the measured values. Since using many data which had wide range of surface temperatures, PLS model II and III were able to predict sugar content of pears without additional temperature compensation. PLS model IV, which included the surface temperatur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showed slightly improved performance(R$^2$=0.73). Performance of the model could be enhanced by using samples with more wide range of temperatures and sugar contents.

배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Pear (Pyrus pyrifolia N.))

  • 이해정;박은령;김선민;김기열;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06-1011
    • /
    • 1998
  • 신고, 만삼길, 추황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LLEP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GC의 RI와 GC/MS 분석에 의하여 동정하였다. 신고, 만삼길, 추황배에서 52종, 47종, 22종의 화합물이 분리동정되었고, 신고의 향기성분으로 alcohol류 20종, ester류 16종, hydrocarbon류 7종, acid류 6종, aldehyde류 2종,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ethyl butanoate, hexanal, 1-hexanol, ethyl-3-hydroxy butanoate, ethyl-3-hydroxy nonanoate가 신고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여겨졌다. 만삼길에서 분리동정 된 향기성분으로 alcohol류 23종, acid류 8종, ester류 5종, hydrocarbon류 5종, aldehyde류 4종, ketone류 2종이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hexanal, ethyl-2-hydroxy propanoate, methyl eugenol, 2-pentanol, cis-3-hexenol, propyl acetate가 만삼길의 향기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추황배에서 분리동정 된 향기성분으로 ester류 6종, alcohol류 6종, acid류 6종, aldehyde류 3종, hydrocarbon류가 1종이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hexanal, 1-dodecanol, ethyl butanaote가 추황배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간주되었다. 신고, 만삼길, 추황배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972, 2.776, 2.653 mg/kg을 차지하였다.

  • PDF

배(신고)의 CA저장을 위한 적정 환경가스 조성에 관하여 (On the Optimum Gas Composition for CA Storage of Shingo Pear)

  • 김동만;신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6-400
    • /
    • 1985
  • 배의 품종중 저장성이 비교적 낮은 신고의 CA저장을 위한 적정환경가스조성에 관한 연구로 배를 $O_2/CO_2$의 조성비가 다른 8 종의 CA 저장 실험구에 5개월간 저장하였을 때 및 이 배를 1주일간 $20^{\circ}C$에 방치하였을 때 저장성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CA저장한 배의 중량감소율은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특히 $3%\;O_2-3%\;CO_2$의 CA 저장구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부패율은 저장직후 $3%\;O_2-3%\;CO_2$구 및 $3%\;O_2-4%\;CO_2$구를 제외한 CA 저장구는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높았으나 20^{\circ}C$에 1 주일간 방치시 대조구에서 가장 심하였다. 가용성 고혈물의 함량 및 경도는 $3%\;O_2-3%\;CO_2$구의 배가, 산도는 $3%\;O_2-4%\;CO_2$구 및 $3%\;O_2-5%\;CO_2$구의 배가 높게 유지되었다. 관능검사에 의한 배의 품질은 $3%\;O_2-3%$, 4%, 5% $CO_2$인 가스조성에 저장하였던 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안 신고배의 품질 특성 및 이를 이용한 동결건조 배 스낵 제품 개발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an Shingo Pear and Freeze-dried Pear Snack)

  • 강병선;황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24-329
    • /
    • 2012
  • 당침액 농도와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신고배(var. Shingo, Niitaka pear) 스낵의 특성과 제조 조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배의 껍질과 핵을 제거하고 5 mm와 7 mm으로 절단한 후 설탕물(0%, 3%, 5%, 7%, 10%)에서 데치기를 실시하였다. 제조한 시료를 $-40^{\circ}C$에서 1일 보관 후, 24시간 냉동건조하여 밀봉보관하여 배 스낵을 제조하였다. 배 스낵의 경도는 블랜칭 조건에 의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육의 두께차에 의하여 5 mm 절단한 스낵이 7 mm 절단한 스낵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pH와 총 산도는 생과의 경우 5.37이었으나, 스낵 제조시 pH 5.0 이하로 나타났으며, 이는 데치기할 때 사용되는 당 용액 농도나 두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총 페놀 성분은 생과육은 3.7 mg%이었으나, 건조과정 중 수분이 용출되어 스낵은 15 mg% 이상으로 나타났다. 제조한 배 스낵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5 mm인 경우에는 데치기 액의 설탕농도가 7%인 경우가 색상,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관능검사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7 mm인 경우에는 3%와 5%인 경우가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신고'배의 Modified Atmosphere 저장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Shingo' Pears Packages with Polyethlene Film)

  • 김영명;한대석;오태광;박관화;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0-136
    • /
    • 1986
  • '신고' 품종의 배를 두께가 다른$(0.04{\sim}0.08mm)$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밀봉하여 KAIST 제작 농가용 저장고에서 MA저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저장 5개월 동안에 저장고 내의 온도는 $0{\sim}7^{\circ}C$ 범위에서 상대습도는 $86{\sim}89%$가 유지되었다. 저장기간중 포장 내의 산소농도는 $5{\sim}14%$, 이산화탄소 농도는 $3{\sim}5%$ 범위에서 변화되었다. 배의 부패율은 $1.5{\sim}3.0%$로 포장구와 '비포장구간에 차이가 별로 없었으나 중량감소의 경우 비포장구는 저장 5재월 만에 4.1%까지 중량이 감소되어 위조현상이 나타났고 필름 포장구의 배는 중량감소가 약 1%밖에 발생하지 않아서 외관상 좋은 품질이 유지되었다. 한편, 관능경사 결과 0.07mm 두께의 필름으로 포장되었던 배가 풍미, 조직감, 다즙성 면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당도가 가장 높고 산도가 가장 낮았던데 기인한 듯하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육의 경도는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섬유소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은 증가되었는데 과일 경도의 감소와는 밀접한 상관관계(상관계수는 -0.946)를 나타내었다. 과일의 세포벽은 점차적인 붕괴현상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섬유소 가수분해효소가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가식성 코팅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Coatings on the Quality of Fresh-cut Pears)

  • 최맑음;황태영;손석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2001
  • 가식성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 소재인 albumin, 탄수화물 소재인 dextrin, 지질 소재인 SPE(Sucrose polyester) 그리고 WSF(Whole soy flour)를 코팅재료로 선택하여 일정 농도로 조제한 코팅용액을 배를 dipping하여 코팅처리 한 후 $4^{\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감소율은 모든 코팅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다. 배의 경우는 2% dexrin 및 1% WSF 및 1% albumin 및 3% dextrin 코팅처리가 효과적이었다. $\Delta$E 값은 코팅처리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재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1% 및 2% dextrin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같이 높은 경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저장 5일 후에는 경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산도는 코팅처리 후 저장 중 감소하며 pH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처리에 의해 그 변과학 다소 억제되었으나 처리구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동안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코팅 재료의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0.5% albumin, 4% dextrin, 1.0% SPE, 0.5% WSF 처리구가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4% dextrin 처리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좋은 평점을 기록하였다. 가식성 코팅 처리한배의 호흡속도를 측정한 결과 dextrin 및 WSF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낮게 나타나 호흡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의 코팅에 사용한 소재 중 과실의 중량 및 갈변억제 측면에서는 2-3% dextrin, 당, 산 비타민 등 성분 및 경도유지 측면에서는 1% albumin,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서는 4% dextrin 처리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졌다.

  • PDF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Sugar Contents in Shingo Pears with Different Temperature

  • Lee, Kang-J.;Choi, Kyu H.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64-1264
    • /
    • 2001
  • The affect of surface temperatures of fruits on spectrum which measures actual sugar contents was observed. PLSR was applied to develop the sugar content evaluation system that wa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The reflected spectrum was used at the wavelengths of 654 and 1052nm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of 2.5nm. To increase the conformance of a model using unknown samples, let the minimum value of PRESS be an optimum factor. 71 Shingo pears stored in a refrigerator were left in a room temperature for a while and these temperatures and reflected spectrums were measured. Reflected spectrums were measured at the wavelengths of 654 and 1052nm, 3 samples in one second. To measure these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experiment was repeated hourly and four times. Starting temperatures of 2-3 were increased up to 17. The total number of measured spectrum was 284. To develop a sugar content evaluation system model using measured reflected spectrum, three groups of samples were considered. First group had 51 samples at 14 and second group had 141 samples with lower or higher temperatures than 14. Third group had 155 samples with well distributed temperatures. Other samples were used as validations to ensure the conformance. Measuring the sugar contents of samples with surface temperatures other than 14 were difficult with PLS model I, developed by using a sample temperature of 14. If the sugar contents were compensated using samples' temperatures, results of prediction would be close to the expected results and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velop this system. PLS models I and II could compensate the temperature but the precision would not come up to the standard. High precision was expected by using samples with wide ranges of temperatures and sugar contents. Both models showed the possibility of an improvement of a sugar content evaluation system disregarding the temperature. For practical use of a system, selecting samples should be done carefully to reduce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 PDF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serotin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 진영욱;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8-50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한국 배 5 품종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원황, 선황, 황금배, 추황, 신고 등 5 품종 배의 페놀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고와 추황에서 가장 많았으며,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원황, 선황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신고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 부분에서 더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메탄올 용매 추출시 더욱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황과 추황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와 같이 메탄올 용매 추출이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과육 보다는 과피에서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pH의 범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생리활성이 높은 일부 한국 배 품종은 향후 천연기능성 식품과 미용소재로 개발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