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plan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19초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Under Different Shading Conditions

  • Jiang, Yunyao;Noh, Heesum;Wang, Myeong-Hye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6-694
    • /
    • 2013
  • Shade treatment of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was carried out with 0, 35, and 55% shading net, and samples were marked as no shade, 35% shade, and 55% shade, respectively. We examine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ies using a 1,1-diphenyl-2-2-pric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 reducing power assay, a total antioxidant assay, a metal chelating assay, a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a nitric oxide inhibition assay. As a result, no shade and 35% shade possess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bility than that of 55% shade. Notably, no shade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an those in the other samples. No shad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of 35% shade and 55% shade. However, the chelating ability of 55% shad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o shade and 35% shade; 55% shade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inflammatory capacity than that of no shade or 35% shade.

몇 가지 자생 지피식물의 차광에 따른 생장반응 (Growth Reaction of Some Ground Cover Plant in Korean Native Greening according to Shading Levels)

  • 김귀순;이정식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75-80
    • /
    • 2009
  • 본 연구는 음지에서 잘 자라는 자생 지피식물 선발을 위해 7종의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광 조건을 달리하여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비비추는 자연광의 60% 차광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으며, 맥문동은 90% 차광에서 생육이 매우 좋았다. 관중은 60%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 하였으며, 대사초는 40% 차광에서 초장과 초폭이 신장이 좋았고 엽수도 많았다. 비비추, 맥문동, 관중 및 수호초는 차광율이 높을수록 엽록소 함량이 점차 증가되었으며, 맥문동은 완전음지나 자연광에서는 개화되지 않았다.

Assessment of microclimate conditions under artificial shades in a ginseng field

  • Lee, Kyu Jong;Lee, Byun-Woo;Kang, Je Yong;Lee, Dong Yun;Jang, Soo Won;Kim, Kwang S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90-96
    • /
    • 2016
  • Background: Knowledge on microclimate conditions under artificial shades in a ginseng field would facilitate climate-aware management of ginseng production. Methods: Weather data were measured under the shade and outside the shade at two fields located in Gochang-gun and Jeongeup-si, Korea, in 2011 and 2012 seasons to asses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under the shade. An empirical approa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estimation of leaf wetness duration (LWD) using weather measurements outside the shade as inputs to the model. Result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milar between under the shade and outside the shade. For example, temperature conditions favorable for ginseng growth, e.g., between $8^{\circ}C$ and $27^{\circ}C$, occurred slightly less frequently in hours during night times under the shade (91%) than outside (92%). Humidity conditions favorable for development of a foliar disease, e.g., relative humidity > 70%, occurred slightly more frequently under the shade (84%) than outside (82%). Effectiveness of correction schemes to an empirical LWD model differed by rainfall conditions for the estimation of LWD under the shade using weather measurements outside the shade as inputs to the model. During dew eligible days, a correction scheme to an empirical LWD model was slightly effective (10%) in reducing estimation errors under the shade. However, another correction approach during rainfall eligible days reduced errors of LWD estimation by 17%. Conclusion: Weather measurements outside the shade and LWD estimates derived from these measurements would be useful as inputs for decision support systems to predict ginseng growth and disease development.

Light Intensity Influences Photosynthesis and Crop Characteristics of Jeffersonia dubia

  • Rhie, Yong Ha;Lee, Seung Youn;Jung, Hyun Hwan;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584-589
    • /
    • 2014
  • Jeffersonia dubia is a spring-flowering perennial found in rich forests in Korea and Northern China and has potential as an ornamental or medicinal plant. However, illegal picking and land use change have decreased the number of populations and overall population size of this plant in its natural habitat. Although J. dubia has been reported to be a shade-preferring plant, no study has determined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its growth. The objectives of this work were to observe the effects of various shading level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J. dubia and to determine the proper shading level for cultivation. Treatments consisted of four shading levels (0%, 50%, 75%, and 95% shade) imposed using black mesh cloth. The number of leaves and dry weight increased with decreased shading. The shoot-to-root ratio increased with increased shading, mainly due to decreased root dry weight under shading. Plants showed low net $CO_2$ assimilation rates and $F_v/F_m$ values combined with low dry matter levels when grown under 0% shade (full sunl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 dubia plants experience excessive irradiance without shading, resulting in damage to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By contrast, the net photosynthesis rate increased as the shading level increased. $F_v/F_m$, the potential efficiency of PSII, was 0.8 under 95% shade, indicating that J. dubia is well-adapted under heavy shading. However, the low dry matter of plants in the 95% shade treatment indicated that the low light intensity under 95% shade led to a decline in plant growth. Thus, moderate light (50% shading) is recommended for cultivating J. dubia without physiological defects.

약용식물인 석산의 재배학적 연구 II. 광강도가 석산의 생육 및 인경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ulture of Lycoris radiata HERB in Medicinal Plant II. The Effect of Shade net on Growth and Bulb Yield)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27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shade-method suited to on tile artificial propagation of Lycoris radiata HERB. The ligilt intensity in the native habitatwas 30 kux in March and 3.2 Klux from June to sept. The average light intensityin tile open area was 137 Klux in June.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Ieaves wasgood at the 35% to 55% shadeing net. Bloonling time of Lycoris radiata HERB was inthe last of Sept. Yeild of bulb was increased in 35% to 55% of shadeing net.

  • PDF

시설재배조건에서 서양민들레의 생육 및 생리활성물질 변이 연구 (Change in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ly-Active Compounds Content of Taraxacum officinale under Plastic House Condition)

  • 천상욱;박정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49-455
    • /
    • 2012
  • 서양민들레의 시설생산을 위해 배지조성 및 차광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에 대한 생육특성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 변이를 검토하고자 온실과 실험실 시험을 수행하였다. 서양민들레 시설생산을 위한 적정한 배지조합은 coco peat와 perlite를 각각 70 : 30과 50 : 50으로 혼합한 배지가 coco peat와 perlite 각각의 단독배지보다 생육 및 수량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차광정도에 따른 서양민들레의 초장, 근장, 엽수, 근직경, 엽면적, 엽록소 함량 및 생체중은 무차광이 50%와 70%차광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무차광에서 차광보다 높게 검출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차광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무차광과 70%차광 순으로 높았다. 한편,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차광처리에 따른 애기소엽맥문동의 생장과 피복에 관한 연구 (Growth and Ground Coverage of Ophiopogon japonicus 'Nanus' under Different Shade Conditions)

  • 강애란;박석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68-75
    • /
    • 2017
  • 정원소재로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애기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Nanus')을 대상으로 18개월(2015년 5월~2016년 10월)간 차광생육실험을 실시해 내음성 범위와 피복정도를 알아보았다. 전남 장흥군 노지에 3년간 재배된 애기소엽맥문동을 공시재료로 이용했다. 전남 나주시의 실험장에서 식재상자($70cm{\times}70cm{\times}24cm$)에 애기소엽맥문동을 심고 차광막을 덮어 자연광을 차단했는데 차광처리 수준은 무차광(0%), 55%, 75%이었다. 차광처리구별 생장량(엽장, 엽수, 생중량 건중량)과 지표면 피복률을 조사했다. 애기소엽맥문동의 엽장 엽수는 무차광(0%)이 다른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생중량 건중량은 무차광(0%) 차광처리 55%가 차광처리 75%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이 정상적으로 생육가능한 내음성 범위는 차광률 0~50%정도며, 50%이상의 자연광이 차단되면 생장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구별 피복률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을 $1m^2$당 220분얼을 심었는데 18개월 후에는 지표면 80%까지 덮었다. 애기소엽맥문동은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적합해 조기 피복을 위해선 충분한 질소비료 시비가 필요하다. 본 실험장에서 애기소엽맥문동은 동해를 입지 않아 온대 남부지역까지 식재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광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뉴기니아 봉선화 생육 특성 및 화색 변화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 이호선;김수정;신우근;유병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6-411
    • /
    • 2006
  • 뉴기니아 봉선화(Impatiens hawkeri)는 광조건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신품종 보호 재배심사(DUS test)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생리적 증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뉴기니아 봉선화 'Fishlimp 149'를 비가림 하우스에 정식하고 광도조건에 따른 생육 및 화색발현을 구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광도조건의 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 ($1,010{\mu}mol{\cdot}m^{-2}{\cdot}s^{-1}$)에 비해 차광 1($599{\mu}mol{\cdot}m^{-2}{\cdot}s^{-1}$) 및 차광 2($88{\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초장, 초폭, 잎 크기 및 소화경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광도가 낮은 차광 3($30{\mu}mol{\cdot}m^{-2}{\cdot}s^{-1}$)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되었다. 개화특성 조사에서는 차광 1처리가 화경, 상부 꽃잎폭, 측면 꽃잎폭, 하부 꽃잎길이 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줄기, 잎 및 소화경에서는 차광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소화경의 경우 차광 1처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광 1처리가 뉴기니아 봉선화의 생장특성을 조사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육과정 중 나타나는 안토시아닌 축적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생리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