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victimized Adolesc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person centered art therapy for improving sexual victimized adolescent's emotional stability, ego-resiliency, self-esteem)

  • 이숙민;송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85-402
    • /
    • 2018
  • 본 연구는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15세 중학교 3학년 여학생으로 성폭력피해 직후 무기력하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주1회, 매회기 60분, 총 20회기 인간중심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심리적 변화(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작품 및 행동의 변화를 질적 분석 하였다. 본 프로그램 실시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안정감의 사전 110에서 사후 96점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낮을수록 긍정적 효과이다. 자아탄력성의 사전 63에서 사후 133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자아존중감은 사전 16에서 사후 35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분석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정서안정감과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초기단계에서 연구자와 라포 형성에 성공적이었으며 중기와 종결과정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관계를 탐색하는 일이 가능하였다.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직후 청소년이 PTSD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지만 성폭력 후유증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우울, 분노, 무기력감 등을 회복하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낼 수 있도록 추수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가출 경험 여부가 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6-10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2016) were used. A total of 7,11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9.3. Results: About 3.8% of the total students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and 4.1% of the students experienced sexual victimization.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s who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showed a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AOR: 1.76, 95% CI: 1.13~2.72). Lower economic status (AOR: 1.42, 95% CI: 1.03~1.97), suicidal ideation (AOR: 1.80, 95% CI: 1.37~2.38), depressive feelings (AOR: 1.36, 95% CI: 1.04~1.78), victims of violence by teachers (AOR: 1.56, 95% CI: 1.20~2.03), victims of off-line school bullying (AOR: 5.00, 95% CI: 3.56~7.01), victims of on-line bullying (AOR: 2.61, 95% CI: 1.79~2.80), and victims of both on- and off-line bullying (AOR: 6.62, 95% CI: 4.76~9.22) showed a highest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rate of experiencing sexual victimization in youth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them from running away from home. In addition, if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secondary mental traumas that may arise from the experience of sexual vict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