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victimiza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생 저학년과 고학년의 성폭력 피해특성 차이와 상관관계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between Low- and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 조영란;김지은;박경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9-1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in low- and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help develop appropriate preventive educational programs against sexual abuse by grad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sexual abuse victims who we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visited the Child Sexual Abuse Response Center in D City during the period from 2010 to 2012. Differences in general and victimization-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in two variables: offender-victim relationship, and the type of sexual abuse. Offender-victim relationship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uration of victimization (r=.576, p<.001), frequency of abuse (r=.546, p<.001), location (r=-.479, p<.001), and time (r=.435, p<.001). The type of sexual abuse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requency (r=.175, p=.029) and time (r=.261, p=.001). Conclusion: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preventing sexual assault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in victimization-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In addition, such programs should be applied fittingly to the learners'grade, gender, and cognitive level.

직장 내 성희롱과 관련변인 분석 (Sexual Harassment at Work and Related Variables)

  • 김경신;김정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6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sexual harassment at work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321 employee living in Kwangju.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53.0%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offence of sexual harassment at work at least once. And 57.9%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victimization of sexual harassment at work at least once. 2) The most apparent response of victimization at work was ‘anger’. And the most frequent coping behavior was ‘smiling or joking’. 3) The offence style of sexual harassment was different by sex, men's marriage, and sex-role attitude. The victimization style of sexual harassment was different by sex, job, women rate in workplace, attitude toward sexual harassment, and sex-role attitude.

  • PDF

대학생의 자기주장과 성폭력 피해에서 폭음의 조절역할 (The Moderating Role of Binge Drinking on the Self-Assertiveness-Sexual Victimization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 홍현기;김희송;이정은;정수현;지형기;김기평;표주연;김종한;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93-97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고, 폭음 수준이 자기 주장성과 성폭력 피해 여부 간에 조절 역할을 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대학생 40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익명성 보장을 위해 모바일 기반 설문 응답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하지 않은 12명의 참여자를 제외한 393명(남: 161명, 여: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 주장성, 폭음 수준,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을 예측 변인으로, 성폭력 피해여부를 기준 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주장성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 수준이 높을수록 성폭력 피해 확률이 유의함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폭음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폭음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시 자기 주장성 훈련만이 아니라 건전한 음주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ssault Cases by the Police Officers)

  • 권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71-681
    • /
    • 2019
  •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의 가출 경험 여부가 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6-10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2016) were used. A total of 7,11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9.3. Results: About 3.8% of the total students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and 4.1% of the students experienced sexual victimization.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s who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showed a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AOR: 1.76, 95% CI: 1.13~2.72). Lower economic status (AOR: 1.42, 95% CI: 1.03~1.97), suicidal ideation (AOR: 1.80, 95% CI: 1.37~2.38), depressive feelings (AOR: 1.36, 95% CI: 1.04~1.78), victims of violence by teachers (AOR: 1.56, 95% CI: 1.20~2.03), victims of off-line school bullying (AOR: 5.00, 95% CI: 3.56~7.01), victims of on-line bullying (AOR: 2.61, 95% CI: 1.79~2.80), and victims of both on- and off-line bullying (AOR: 6.62, 95% CI: 4.76~9.22) showed a highest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rate of experiencing sexual victimization in youth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them from running away from home. In addition, if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secondary mental traumas that may arise from the experience of sexual victimization.

여자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 - 부모-자녀 간 TSL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 (A Study on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to Suicidal Ideation - Moderating Effect of Parent-adolescent TSL communication -)

  • 김재엽;황성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75-9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자녀 간의 TSL 의사소통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13곳의 중1부터 고2까지 여자 청소년 1,0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의 16.2%가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 경험은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TSL 의사소통은 성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자살생각에 주요한 보호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 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과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족 기능 강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이 2차 피해로 인지한 경험 연구 (A empirical Study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채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117-14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이 인지하는 2차 피해의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차 피해 경험이 있다고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였고, 2~4회에 걸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처 위에 소금 뿌리는 가해자', '비빌 언덕조차 되어주지 않는 가족', '울타리가 무너진 학교', '상처를 덧내는 사법기관', '믿었던 도끼로 발등 찍는 상담원', '강 건너 불구경하는 이웃'이라는 6개 하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아동 청소년이 경험하는 2차 피해는 성폭력이라는 1차 피해 후에 '이중삼중으로 밀려오는 후폭풍'과 같은 경험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 청소년 성폭력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직장여성의 성희롱 경험 실태와 관련변인 분석 ; 전라북도 직장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Harrasment at Worplace and Related Variables)

  • 이성희;이승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1-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sexual harassment at workpla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880 employee living in Chonbuk-Provi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1) 70.3% of respondent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victimization of sexual harassment at workplace at least once. But most respondents reacted passively to the sexual harassment. 2) Most respondents perceived broadly the definition of sexual harassment and attributed sexual harassment to the social structure.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institution and the law for the sexual harassment problem was low. 3)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was the ideology of sex-role division. 4) The more responden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the more they demanded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

  • PDF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 성폭력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Mal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Active Investigation vs.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 이명신;양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159-185
    • /
    • 2011
  • 경찰의 성폭력 수사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경찰의 인지 및 태도(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와 실제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 세 도시의 남성경찰 354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델이 발견되었다(CFI=0.947,IFI=0.948, RMSEA=0.048). 분석결과, 적극적 수사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적극적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반면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차폭력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이 높을수록 이차폭력 행동이 감소되었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적극적 수사,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와 적극적 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극적 수사를 강화하고 이차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폭력관련 법에 대한 교육, 수사지침의 재정비, 의식전환 프로그램, 경찰의 전문화, 수사환경의 개선, 사회복지사와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 PDF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 예측요인 (Prediction factors for dating sexual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 이미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grasp the Prediction factor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A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for 500 students from on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5, 2015, to October 23, 2015, by filling ou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mong the 450 subject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a questionnaire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was applied to 317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friend of the opposite sex, and variables and prediction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 before entering college (𝑥2=6.52, p=.011),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damage before entering college(p=.045), the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before entering college (p=.007)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p=.002) were variables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R=4.831, p=.007) and controlling dating partners (OR=1.349, p<.001) were predictors of dating sexual violence. Dating sexual violence experience group were compared to dating sexual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the relative degree of controlling dating partners was high (t=4.25, p<.001) 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2.94, p=.004).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358, p<.001) between controlling dating partners and gender role attitude.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results will emerge if the contents of the school-ag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control of dating partners, which are predicted factors of sexual violence on dating, are included in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