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orga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성 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bluespotted mud ho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 정의영;안철민;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6
    • /
    • 1991
  • 1988년 4월부터 10월까지, 1989년 6월부터 8월까지 전북 옥구군 회현면 월연리 앞바다에서 채집된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외부 형태, 생식소숙도지수(GSI)와 생식소의 조직학적 방법에 의한 생식주기, 산난기 난소내 난경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경골어류의 전형적인 낭상형이고, 정소는 가느다란 관상형이다. 2.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6, 7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며, 수컷이 한달 빨리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들 생식소는 수온상승과 함께 활성화 되어 최고 수온기전에 산난기를 마친다. 3. 산난기를 마친 개체의 난소내에는 잔존하는 난모세포중 여포형성을 하지 못한 초기난모세포들은 퇴화하지 않고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성장에 참여하고 있다. 4. 생식주기는 수온이 상승되는 4월부터 활성화되어 5월 성장기, 6월에서 7월초순 성숙기 그리고 6월말에서 8월초까지 완숙 및 산난기,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퇴화 및 휴지기 상태를 나타낸다. 5. 짱둥어의 산란기동안 난소내 난경조성 및 생식소숙도지수를 조사한 결과 적어도 2회이상 산란하는 종으로 밝혀졌다.

  • PDF

낙지 Octopus minor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scopic Anatomy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Long Arm Octopus Octopus minor (Cephalopoda: Octopodidae))

  • 김성진;김현진;신소령;서명교;김평우;김은하;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8-185
    • /
    • 2023
  • 본 연구는 낙지의 생식생태 이해에 필요한 수컷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낙지는 교접완의 유무를 통하여 성을 구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갖는 종이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일차수정관, 저정낭, 이차수정관, 정포선, 정포낭으로 구성된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으며, 수컷 생식세포들은 층상배열상을 보였다. 일차수정관은 정소와 저정낭을 연결하는 관으로 상피층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저정낭은 일차수정관과 이차수정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피층은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된다. 점액세포는 AB-PAS (pH 2.5) 반응에서 푸른색, AF-AB (pH 2.5) 반응에서 보라색으로 반응하였다. 이차수정관은 저정낭과 정포선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다. 정포선은 다수의 관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정포낭은 주머니 모양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으며, 상피층에 공포상의 분비세포가 존재하였다. 정포는 길이 약 83.5 mm로 전방부의 당김사, 중간부의 발사체와 고정체, 후방부의 정자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번데기 암수판별의 효과 (Sex-Discrimination of Silkworm Pupa, Bombyx mori with Image Analyzer)

  • 유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3
    • /
    • 1993
  • 누에의 실용품종은 모두 일대교잡종을 이용하고 있어 교잡종제조과정에는 씨고치의 암수감별이 필수적인 작업과정이다. 번데기의 암수감별 수단으로는 번데기의 비중, 번데기 무게, 고치무게 등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 왔지만 아직 미흡한 점이 많아 본 시험에서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고치모양과 고치무게 등에 의하여 여러가지 조합으로 번데기 암수판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측정된 데이터의 암수간 차의 평균에 있어서는 번데기무게, 견층종, 장경, 단경, 면적, 체적, 전견중, 장폭비율 등은 암이 크지만, 견층비율만은 수가 높게 나타났다. 2. 조사변량 단독에 의한 암수판별효과는 번데기 무게, 전견중, 견층비율, 체적, 면적, 견층중, 단경, 장경 순이었으며, 암수판별정도는 번데기무게가 97%, 전견중 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3. 고치모양에 관계되는 변수만에 의한 암수판별효과는 품종에 따라서는 84%의 암수분리효율을 보였으나 전체평균 78%로 매우 저조하였다. 4. 번데기무게, 견층중, 전견중 및 견충비율에 의한 암수판별효율은 약 99%로 매우 높았으나 누에고치를 절개해야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5. 견종과 고치모양에 의한 시험에서는 전체평균 판별율이 98.7%로 견중에 관계하는 변수에 의한 것 보다는 판별정도가 낮지만, 전견중의 단독변수에 의한 것보다는 2.7%가 향상되었다. 6. 판별함수를 설정하는데에 최소유효샘플링수는 암수 각 15개씩 이상이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ffects of Nonylphenol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and Adrenocortical Hormones from Short-Term Incubated Rat Adrenal Glands

  • Hee-Su Kim;Yong-Pil Cheon;Sung-Ho L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7권4호
    • /
    • pp.213-220
    • /
    • 2023
  • Previously, we showed that a chronic-low-dose nonylphenol (NP) exposure resulted in histological changes with sexually dimorphic pattern in rat adrenal glands. We hypothesized that such structural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hormonal secretory patterns. To test this hypothesis, we developed the short-term adrenal incubation method, and measured the levels of catecholamines and cortical steroids using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HPLC-ECD) and specific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The norepinephrine (NE) levels in media from NP-treated female adrenal, except 100 pM N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trol (CTL) vs 1 nM NP, p<0.001; vs 10 nM NP, p<0.05; vs 100 nM NP, p<0.001; vs 1 µM NP, p<0.01]. The NE secretion from male adrenal was higher when treated with 100 nM and 1 µM NP (CTL vs 100 nM NP, p<0.05; vs 1 µM NP, p<0.05, respectively). The aldosterone level in the female adrenal media treated with 100 pM N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at of media treated with 10 nM N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TL vs 100 pM NP, p<0.05; vs 10 nM NP, p<0.01). In male adrenal media, the aldosterone levels of 10 nM, 100 nM and 1 µM NP-treated media were significantly declined (CTL vs 10 nM NP, p<0.001; vs 100 nM NP, p<0.001; vs 1 µM NP, p<0.001). These results showed the NP treatment altered secretory pattern of aldosterone from adrenals of both sexes, showing sexual dimorphism. It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possible adrenal pathophysiology, an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related sexually dimorphic phenomena in adrenals.

전신방사선조사 시 선속 스포일러에 따른 선량 분포 및 영향 평가 (Beam Spoiler-dependent Total Body Irradiation Dose Assessment)

  • 이동연;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2호
    • /
    • pp.141-14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properties of photons and the dose distribution in a human body via a simulation where the total body irradiation(TBI) is performed on a pediatric anthropomorphic phantom and a child size water phantom. Based on this, we tried to find the optimal photon beam energy and material for beam spoiler. In this study, MCNPX (Ver. 2.5.0), a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Monte Carlo method, was used for the photon beam analysis and TBI simulation. Several different beam spoiler materials (plexiglass, copper, lead, aluminium) were used, and three different electron beam energies were used in the simulated accelerator to produce photon beams (6, 10, and 15 MeV). Moreover, both a water phantom for calculating the depth-dependent dosage and a pediatric anthropomorphic phantom for calculating the organ dosage were used. The homogeneity of photon beam was examined in different depths for the water phantom, which shows the 20%-40% difference for each material. Next, the org an doses on pediatric anthropomorphic phantom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dose for each part of the body was skin 17.7 Gy, sexual gland 15.2 Gy, digestion 13.8 Gy, liver 11.8 Gy, kidney 9.2 Gy, lungs 6.2 Gy, and brain 4.6 Gy. Moreover, as for the organ doses according to materials, the highest dose was observed in lead while the lowest was observed in plexiglass. Plexiglass in current use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material, and a 6 or 10 MV photon energy plan tailored to the patient condition is considered more suitable than a higher energy plan.

Di(n-butyl) Phthalate가 태자와 신생자 SD Rat의 면역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n-butyl) Phthalate on the Developing Immune System of Fetal and Neonatal SD Rats)

  • 정승태;엄준호;박재현;정형진;황인창;김동섭;하광원;김형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15-121
    • /
    • 2001
  • Some of endocrine disruptors with sexual hormone-like effects have been increasingly reported to be immunotoxic in many species in recent several years. Phthalate esters have possible effects on the endocrine system. Prenatal exposure to di(n-butyl) phthalate (DBP) has been reported to impair the androge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male reproductive tract in rat. Therefor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DBP was investigated in the developing immune system of fetal and neonatal Sprague-Dawley rats. Timed-bred pregnant SD rats were given to the doses of 0, 250, 500, and 750 mg DBP/kg$\cdot$ body weight /day by gavage once a day from gestational day (GD) 5 to 18. On GD19 or GD22/postnatal day one (PD1), the dams were euthanized, and the changes in organ weights and thymus phenotypes were examined for their offsprings. At 750 mg DBP/kg$\cdot$b.w./day in maternal exposure group, GD19 fetuses showed decreases in body weight. The spleen/body weight ratios were reduced in GD 19 fetuses from the dams exposed to 500 and 750 mg DBP/kg$\cdot$b.w./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ymus and spleen cellularities though these cellularitie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 dose dependent way. In the DBP-exsposed GD22/PD1 offsprings, the body weights, the relative organ weights and the cellularities did not exhibit alteration. Additionally, the percentages of CD3$^{+}$(CD4$^{+}$CD8$^{+}$, CD4$^{+}$CD8$^{-}$, CD4$^{-}$CD8$^{+}$, and CD4$^{-}$CD8$^{-}$) and CD3$^{-}$(CD4$^{+}$CD8$^{+}$, CD4$^{+}$CD8$^{-}$, CD4$^{-}$CD8$^{+}$, and CD4$^{-}$CD8$^{-}$) thymocyte subsets were not changed in any DBP-treated group. The proliferative responses of splenic T cells to Con A and B cells to LPS were decreased in all DBP-exposed GD22/PD1 offsprings.

  • PDF

한강 지류에 서식하는 피라미, Zacco platypus의 생식 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Pale Chub, Zacco platypus in a Tributary to the Han River)

  • 백현민;송호복;조동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201
    • /
    • 2006
  • 한강 지류인 가정천과 원주천에 서식하는 Z. platypus의 생식생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차성징으로 수컷의 머리부위와 뒷지느러미, 미병부에 추성이 형성되었고 혼인색의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산란기 체형변화로 암수에서 모두 뒷지느러미 길이가 길어지고, 체고도 높아졌다. Z. platypus 수컷의 세력권 싸움의 형태는 머리싸움(head butting), 회전싸움(rotated fighting), 평행하게 헤엄치면서 싸우기(parallel swimming), 물어뜯기(biting), 축출하기(expelling) 등이었다. Z. platypus는 전반적으로 유속이 느리고, 수심이 얕은 모래 바닥에 산란이 임박한 암컷의 상부에 위치하다가 옆으로 내려와 나란히 자세를 취한 뒤 뒷지느러미로 모래를 파헤치면서 산란 하였고, 별도의 난 보호행동은 하지 않았다. 산란 간격과 지속시간은 산란장의 개체 밀도와 관련이 있었다.

은방울꽃 개체군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 이세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2-297
    • /
    • 2007
  • 자연 군락으로 자라고 있는 은방울꽃 개체군의 개체 내 각 기관들간의 상호관계, 생식기관의 변화, 종자의 생산량과 개체의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 2리에서 2002년 4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하나는 생식기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였고, 다른 하나는 각 기관들의 상관관계와 종자생산의 에너지 분배를 파악하기 위해 채취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은방울꽂 개체군의 특성에서 영구 방형구 내 개화하는 개체의 잎 장수는 평균 2장이었고, 나중에 나온 잎의 크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당 평균 7.9개의 꽃을 피우며, 나중에는 평균 5.4개의 열매를 맺고, 평균 16.1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잎의 크기, 지하부의 크기 및 생식기관의 각 속성들간에는 1% 및 5%내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방울꽂의 개화 시기는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였으며, 이로부터 추정한 개화지속기간은 대략 $8{\sim}9$일이었다. 5월초에 개화한 개체 중 80%가 5월말에 열매로 남았고, 8월말에는 68%가 열매로 남아있었다. 넷째, 생산된 종자의 건중량은 총엽면적보다 지하부의 건중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 신소령;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23
  • 연구에서는 두족류의 생식생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두족류인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의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살오징어는 자웅이체로 외투막에 투과되는 생식기관의 색과 교접완을 통하여 암, 수를 구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가진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1차 수정관, 정포선, 정포낭, 2차 수정관으로 구성된다. 살오징어의 수컷은 정포 형성기관인 정포선과 같은 특수화된 생식기관을 가진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다. 1차 수정관은 정소의 후방부터 정포선까지 연결된 가늘고 긴 역삼각형의 용수철 형태였다. 내부에는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으로 반응하는 정자가 가득 차 있었다. 정포선은 1차 수정관과 정포낭에 연결된 불규칙한 타원형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관상선이 존재하였다. 정포낭은 정포선과 2차 수정관 사이에 위치하는 관 구조로 내강에서는 다수의 정포가 확인되었다. 2차 수정관은 정포낭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정포를 갖고 있었다. 정포는 길이 약 22 mm의 길고 투명한 관 형태로 내부에는 정자 덩어리를 갖고 있었다.

Nevoid Basal-cell Carcinoma Syndrome

  • 이충국;김희경;이재휘;박형식;윤중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27-134
    • /
    • 1990
  • 본인은 본교실에서 치험한 악골내 발생된 각화성 낭종들중 다발성인 경우에 이상의 증례에서 동반된 이상소견을 의도적으로 조사해 봄으로써, 악골계를 담당하는 의사로서 악골내에서 다발성 낭종이 발견될 때 NBCCS을 간과해서는 안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상의 증례에서는 확연한 가족력을 찾아볼 수는 없었으나 이 증후군 자체가 상염색체 우성유전으로 인자전달이 잘 되는 것이므로 세심한 주의와 계속적인 관찰이 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