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ing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4초

FISH 기법을 이용한 소 수정란의 성감별과 산자 생산 (The Production of Sex Determined Cattle by Embryonic Sexing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 손시환;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숍
    • /
    • pp.39-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의 체외 수정란에 대해 Y 염색체 특이 DNA 표지를 이용하여 FISH 기법으로서 수정란의 성감별을 수행하고 이를 이식하여 산전 성감별 개체 생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Y-염색체 특이 DNA probe는 bovine male specific DNA로 알려진 btDYZ-1의 385bp 단편으로 제작하였고, Dig-PCR 방법으로 labeling하였다. 수정란의 성감별은 IVF로서 생산된 $8\;cell{\sim}blastocyst$ 단계의 수정란을 공시하고 이들로부터 단일할구를 생검하여 분석하였다. 생검 방법은 투명대를 laser로 drilling하고 $1{\sim}2$개의 할구를 squeezing하여 분리하였으며 demi-embryo는 1일간 재 배양하여 배반포기 단계에서 이식하였다. 우선, 본 probe의 신뢰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생검된 할구는 FISH 기법으로 Y 염색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demi-embryo는 재 배양하여 중기상을 유도하여 핵형분석한 후 비교 검토한 바 97.6%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정란에서 성감별을 위한 FISH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고자 총 3937개의 공시란 중 3657개(93%)가 분석이 가능하였고, 이들 중 45.8%가 Y 염색체 특이적 접합 발현 양상이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토대로 경남 진주 인근 지역 농장의 15두의 소를 대상으로 성 감별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7두가 임신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중 5마리가 출산하였다. 뿐만 아니라 출산된 송아지들은 모두 예견된 성과 10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FISH 기법은 수정란의 성감별에 효율성이 높고 매우 높은 정확성을 나타냄에 따라 실질적으로 성감별 수정란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농가차원에서 산업적 실용화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work descrition)를 통해 교통분석후의 제반 교통특성(교통량, 교통량/용량 비(比), 속도 등)을 교통망상에 표시할 수 있음으로서 의사결정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비트율의 증가와 화질 열화는 각각 최대 1.32%와 최대 0.11dB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을 확인 하였다.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 PDF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by Molecular Analysis of Non-invasive Samples

  • Kim, Baek Jun;Lee, Yun-Sun;An, Jung-hwa;Park, Han-Chan;Okumura, Hideo;Lee, Hang;Min, Mi-S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3호
    • /
    • pp.314-318
    • /
    • 2008
  • Korean long-tailed goral (Nemorhaedus caudatus) is one of the most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detailed species distribution and sex ratio data on the elusive goral are still lacking due to difficulty of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and sex in the fiel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conomical PCR-RFLP method to identify species using invasive or non-invasive samples from five Korean ungulates: goral (N. caudatus), roe deer (Capreolus pygargus), feral goat (Capra hircus),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The secondary aim was to find more efficient molecular sexing techniques that may be applied to invasive or non-invasive samples of ungulate species. We successfully utilized PCR-RFLP of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376 bp)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sex-specific amplification of ZFX/Y and AMELX/Y genes for sexing. Three species (goral, goat and water deer) showed distinctive band patterns by using three restriction enzymes (Xbal, Stul or Sspl). Three different sexing primer sets (LGL331/335 for ZFX/Y gene; SE47/48 or SE47/53 for AMELX/Y gene) produced sex-specific band patterns in goral, goat and roe de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analyses of non-invasive samples might provide us with potential tools for the further genetic and ecological study of Korean goral and related species.

제주도 한라산에 서식하는 도입종 야생멧돼지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분석 (A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the Introduced Wild Boar Species (Sus scrofa coreanus) on Mount Halla, Jeju Island, Korea)

  • 한상현;오장근;조인철;고문석;김태욱;장민호;김병수;박수곤;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8-665
    • /
    • 2011
  • 제주도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간주되었던 멧돼지들이 최근 한라산 인근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분자유전학적 실험기법을 바탕으로 한라산 멧돼지들이 가축돼지들과 이종교배된 것들인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 종내에서의 유전적 유연관계와 분자 성판별을 시험하였다. 가축돼지 품종들(Landrace, Large White, Berkshire, Hampshire, Duroc)과의 교배여부는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4 종류의 분자 표지인자(MC1R, KIT, 조절영역, ND2)를 적용하여 시험하였다. 야생멧돼지 집단의 모든 개체들이 동일한 mtDNA 조절영역 서열을 나타내었고, 그 서열들은 중국 동북부 재래돼지들과 동일하였으나 기존에 보고된 한반도 멧돼지의 서열들과는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라산 멧돼지집단이 중국 재래돼지 품종들과 근연이면서,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유전적 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자 성판별 결과 수컷에 비해 암컷이 2 배 이상으로 확인되어, 한라산 야생멧돼지 집단이 팽창하고 있으며, 조절하지 않으면 집단 규모는 극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비침습적 성감별 방법에 의한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의 암수 포란행동 (A non-invasive sexing method reveals the patterns of sex-specific incubation behavior in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 주은진;하미라;정길상;윤종민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9-76
    • /
    • 2018
  • 조류에서 성적이형은 암수간 신체크기, 깃털, 색, 또는 행동의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갈매기과를 포함한 많은 해양성조류는 깃털 색에서 성적동형을 보이며, 암수가 양육을 공유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성감별을 어렵게 만든다. 쉽고 비침습적인 성감별 도구의 개발은 생활사의 진화에서 암수 양육의 정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육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 번식쌍의 부리-머리 형태를 이용하여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육상태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쌍에서, 수컷은 배우자 암컷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리-머리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성감별 도구를 이용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야생 12 번식쌍의 성감별을 수행하였다. 야생수컷과 암컷은 함께 낮시간의 95%를 포란을 위해 둥지를 지켰다. 그러나, 수컷의 포란비율은 일몰시간이 가까워지면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컷의 야간 포란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적동형인 검은머리갈매기의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 하였을때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가 다른 생태적인 요인보다는 일주기와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우 섬유아세포의 성 판별 및 세포주기 유도 분석 (Sexing and Cell Cycle Induction Hanwoo Fetal Fibroblast Cells)

  • 김현주;강회성;최화식;이성호;박창식;진동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5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우 태아의 시기별로 35일령, 50일령, 70일령 및 90일령의 fetal fibroblast cell line을 생산하였고, bovine-specific primer와 Y chromosome-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PCR에 의해 성을 판별하여 각각 암수 2 line의 한우 fetal fibroblast cell line을 확립하였다. 이들 cell line을 계대배양하여 passage number가 10 이상에서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모두에서 80%이상의 세포가 60개의 정상 염색체수의 나타내어 계대배양이 karyotyp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erum starvation과 confluent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Go 상태로 유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CNA antibody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PCNA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시 정상 medium으로 환원시켰을 때 세포분열이 재개되어 Go상태로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rum stravation 방법이 conflent한 배양방법보다 PCNA 발현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좀더 효율적인 Go 상태 세포 주기 조절방법으로 판명되었다.

돼지 SRY와 ZF 유전자를 이용한 성판별 기법 (Molecular Sexing Using SRY and ZF Genes in Pigs)

  • 조인철;강승률;이성수;최유림;고문석;오문유;한상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17-324
    • /
    • 2005
  • A method for sex determination of pigs was examin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Sex determining region Y(SRY) gene encoded on Y chromosome plays a key role for primary male development. Zinc finger X-Y(ZFX-ZFY) gene, one of the X-V homology gene group was found on the X and Y chromosomes, respectively, We tested for molecular sexing by amplification patterns of SRY and ZF genes. Genomic DNAs from various resources including porcine hairs and semen collected from domestic pig breeds and native pigs was used for PCR assay of each gene. The amplified products for porcine SRY gene were yielded only in males but not in females. On the other hand, two differential patterns were observed in amplification of ZF gene reflecting the chromosomal dimorphism by a length polymorphism between X and Y chromosomes. Of both, a common band was detected in all individuals tested so that this band might be amplified from ZFX gene as a PCR template, but another is specific for males indicated that from ZFY. The result of PCR assay provides identical information to that from investigation of phenotypic genders of the pigs tested. We suggest that this PCR strategy to determine porcine sexes using comparison of the amplification patterns of the SRY gene specific for Y chromosome and the dimorphic ZF gene between X and Y chromosomes may be a rapid and precise method for discrimination of two sexes and applied to DNA analysis of small samples such as embryonic blastomere, semen, and hairs.

수정란 이식 기술의 응용 (Application of Embryo Transfer Technology)

  • 임현주;손준규;윤호백;백광수;최창용;김시동;권응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3-168
    • /
    • 2013
  • Embryo transfer (ET) technology is of high importance in modern cattle breeding programs. ET is one step in the process of removing one or more embryos from the reproductive tract of an outstanding donor female and transferring them to one or more recipient females. Embryos also can be produced in the laboratory via techniques such as in vitro fertilization (IVF). But the actual transfer of an embryo is only one step 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superovulation and insemination of donors, collection of embryos, isolation, evaluation and short-term storage of embryos, micromanipulation and genetic testing of embryos, freezing of embryos and embryo transfer. Cryopreservation and direct transfer of frozen-thawed embryos is common-place with pregnancy rates near that of fresh embryo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used for sexing embryos, and this technology will be used for "embryo diagnostics" and "embryo genomics" in the future. Although,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remain to overcome, these and other new technologies promise to change livestock breeding drastically in the next dec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