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Matura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사춘기 전 수컷 흰쥐의 저정낭과 전립선의 성숙에 미치는 Di(2-ethylhexyl) phthalate(DEHP)의 영향 (Effect of Prepubertal Exposure to Di(2-ethylhexyl)phthalate on the Maturation of Rat Seminal Vesicles and Prostate Glands)

  • 허현진;이원용;윤용달;최돈찬;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51-259
    • /
    • 2008
  • 플라스틱 가소제인 di(2-ethylhexyl)phthalate (DEHP)는 매우 잘 알려진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중 하나로, 수컷 설취류와 인간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강력한 항안드로겐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이전에 수컷 흰쥐를 DEHP에 노출시킴으로써 부속 성기관의 성숙 과정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결과로, DEHP 투여에 의한 체중, 혈중 T 수준, 저정낭과 전립선을 제외한 조직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저정낭의 경우, 고농도(200 mg/kg)의 DEHP를 처리한 투여군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전립선의 경우, 저농도(20 mg/kg)와 고농도의 DEHP를 처리한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무게의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조직학적 연구 결과, DEHP 투여군의 저정낭은 대조군에 비해 점막층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분비상피세포들이 입방형인데 비해 DEHP 투여군에서는 위중층상피세포 형태가 관찰되었다. 정량적 RT-PCR 연구에서, 저정낭에서의 ER-$\alpha$ 발현은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증가가 나타났으며(p<0.05), ER-$\beta$의 경우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p<0.05). 전립선에서의 ER-$\beta$ 수준은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나(p<0.05),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한 발현증가가 나타났다(p<0.01). 그러나 AR 발현의 경우, 저정낭과 전립선 모두에서 DEHP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사춘기 이전 시기의 성적인 성숙을 교란할 수 있으며, (ii) 저정낭과 전립선이 사춘기 이전 시기 DEHP 노출에 대한 민감한 표적이 될 수 있고, (ii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ER과 연관된 기작을 통해 매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한국 서해산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복족강: 구슬우렁이과)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Bladder Moon, Glossaulax didyma (Gastropoda: Naticidae) in Western Korea)

  • 김대기;정의영;신문섭;황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9-198
    • /
    • 2007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만 앞바다 조간대에서 채집된 큰구슬 우렁이, Glossaulax didyma를 대상으로 생식소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난괴 내의 난낭, 그리고 군성숙도와 성비 등을 조직학적 관찰과 형태측정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 (GSI) 암, 수의 월별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이룬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였다. 수컷의 경우도 5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여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암, 수 개체의 산란기는 5월 하순-8월로 추정되었다. 비만도 지수(CI) 의 월별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부터 4월까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였다. 그리고 9월부터 12월까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의 경우도 암컷과 같이 2월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6-8월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만도 지수에 의해 산란기를 판정하여 볼 때, 5월 하순-8월로 추정되었다. 산란기는 암컷의 경우, 5월 하순-8월 말 사이이었고, 수컷은 5월 초-8월 말까지 이었으며, 주산란은 수온이 $19^{\circ}C$ 이상인 7-8월에 일어났다.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 활성기 (12-2월), 후기활성기 (2-3월), 완숙기 (4-7월), 산란기 (5월 하순-8월), 회복기 (8-11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고, 수컷의 경우는 활성기 (12-3월), 완숙기 (3-7월), 교미기 (5월 초-8월), 회복기 (8-1월) 의 연속적인 4단계로 구분되었다. 완숙난모세포의 크기는 직경이 250-270 ${\mu}m$이었다. 난괴는 모자 모양이었고, 한 개의 난괴 속에서 수많은 난낭(0.53-0.57 mm) 들이 발견되었다. 한 개의 난낭에서 한 개의 배 (veliger 유생) 가 부화되었다. 큰구슬우렁이의 군성숙도는 각경 40.1-45.0 mm인 암, 수 개체 모두 군성숙도(%) 50% 이상이었고, 각경 45.1 mm 이상의 개체는 군성숙도가 100%였다. 암, 수의 성비는 1:1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x^2\;=\;57.22,\;p\;<\;0.05)$.

  • PDF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암컷의 생식주기와 혈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 (Annual Reproductive Cycle and Changes in Plasma Levels of Sex Steroid Hormones of the Female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 이원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9-607
    • /
    • 1998
  •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암컷의 생식주기를 밝히고자 1995년 12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adex GSI), 난소의 난소여포 발달 및 혈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GSI는 7월과 8힐에 0.35$\~$0.72였으며, 난소내 대부분의 난모세포들은 염색인기와 주변인기 단계였다(출현 빈도: $87\%\~96\%$). 9월의 GSI는 1.20$\pm$0.12였으며, 일부의 난황포기의 난모세포들과 난황형성기의 난모세포도 출현하였으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각각의 출현 빈도:$22.8\%,\;2.2\%$). 10월부터 GSI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12월 4.59$\pm$0.61에 달하였으며 난황형성기 난모세포들이 약간 증가하였다(12월의 출현 빈도: $22.1\%$). 1월에는 GSI의 큰 변화는 없었으나 난황형성기 난모세포들은 12월보다 더 증가하였다(출현 빈도: $51.2\%$). 2월부터 GSI는 급격히 증가하여 3월에 10.51$\pm$1.04로 연중 가장 높았으며, 난소의 난황형성기 난모세포들도 연중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3월의 출현 빈도. $60\%$). 4월부터 GSI는 감소하여 6월에는 1.11$\pm$0.35였으며 성숙기의 난모세포를 가진 난소여포들과 배란 후 퇴화되는 난소여포들이 나타났고, 이들의 출현 빈도는 4월에 가장 높았다(성숙기 난모세포출현 빈도: 4월 $40\%$, 5월 $12\%$, 6월 $5\%$). Estradiol-17$\beta$($E_2$)의 혈중 농도는 8월에 0.84$\pm$0.20$ng/m{\ell}$로 12월까지는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으나 1월부터는 증가하여 3월에 2.85$\pm$0.35$ng/m{\ell}$로 연중 가장 높았으며, 4월부터는 감소하여 7월에 0.14$\pm$0.02$ng/m{\ell}$로 가장 낮았다(P<0.05). 17$\alpha$-hydroxprogesterone(17$\alpha$-OHP)의 혈중 농도는 3월에 13.37$\pm$0.52$ng/m{\ell}$로 높았을 뿐 다른 시기동안은 $3ng/m{\ell}$이하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1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17$\alpha$, 20$\beta$-P)의 혈중 농도는 4월에 0.74$\pm$0.09$ng/m{\ell}$로 최고 수준이었고 5월까지는 0.54$\pm$0.07$ng/m{\ell}$로 높은 농도를 유지했지만 그외의 시기에는 0.26ng/ml 이하로 연중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동사리의 완숙 및 산란기는 4월$\~$6월로서 주산란기는 4월과 5월 사이이며, 7월$\~$8월은 휴지기, 9월$\~$12월은 성장기, 1월$\~$3월은 성숙기로 구분되는 생식주기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란태생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자어발달 (Reproduc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within the Maternal Body of Ovoviviparous Teleost, Sebastes inermis)

  • 이택열;김성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13-431
    • /
    • 1992
  • 1990년 10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경남 충무 근해에서 채집된 볼락을 대상으로 생식주기, 수정, 체내 난발생 그리고 체내자어 발달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암수 모두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함으로서 12월에 최고 값(암 16.35, 수 1.11)을 보였다. 수컷은 1월 급격히 감소하여 0.11의 낮은 값으로 떨어지나, 암컷은 생식소내 수정난의 발생 및 부화로 인해 1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며 2월에는 3.73의 낮은 값으로 떨어져 8월까지 암수 모두 낮은 값을 보인다. 2. 교미는 12월에 행해지며, 정자들은 암컷의 난소내 난모세포들 사이 간질에 머물러 있다. 3. 수정은 1월에 배란과 동시에 난소강에서 일어난다. 4. 체내 난발생 및 부화자어의 산출은 1월 중순에서 2월 사이에 일어난다. 5. 본 종의 생식년주기의 암컷의 경우 9월의 성장, 10-11월 성숙, 12-l월 완숙 및 수정, 1-2월 난발생 및 부화자어 산출 그리고 3-8월까지의 긴 퇴화 휴지기를 나타내며, 수컷은 9월의 성장, 10-ll월 성숙, 12-l월 완숙 및 방정 그리고 2-8월까지의 퇴화휴지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난소내 난모세포의 발달은 1회 성숙 mode를 가지며, 부화자어 산출도 1회에 모두 행하여진다. 7. 본 종은 만 2세어 이상에서 성성숙에 도달하며, 전개체가 성숙되는 체장은 암컷 17.1cm이상, 수컷은 15.1cm이상이었다. 8. 간숙도지수는 휴지기인 춘하계에 높은 값을 보이며 생식기인 추동계에 낮은 값을 유지하는 생식소숙도지수와는 반대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 서식하는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의 번식능력 (Reproductive Capacity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from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 황인준;이재봉;최상준;김슬기;차형기;오택윤;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3-26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from the Uljin (UJ) marine ranching area and compared it to that of P. stellatus from the coastal waters of Pohang (PH). In UJ, female gonadosomatic index (GSI) peaked in October ($3.14{\pm}0.87$) and male GSI was high in October and December. In PH, female GSI peaked in January ($18.64{\pm}2.15$) while male GSI began to increase in October and remained high until March. Most ovaries of UJ females were immature with perinucleus oocytes, although the testes of UJ males were ripe in January. Both the ovaries and testes of PH starry flounders were ripe from January to March. The plasma estradiol-$17{\beta}$ ($E_2$) levels of UJ females were highest in October ($4.09{\pm}1.90$ ng/mL) although the testosterone (T) levels of UJ males were highest in December ($3.81{\pm}0.78$ ng/mL) and decreased gradually until April. The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levels of UJ females were not detected. The E2 levels of PH females were highest in December ($36.25{\pm}33.07$ ng/mL) and $17{\alpha}20{\beta}P$ levels were highest in March ($5.51{\pm}0.95$5 ng/mL). The T levels of PH males were highest in December ($4.03{\pm}1.34$ ng/mL) and decreased gradually until Octob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females from UJ did not reach maturation with a spawning period that was considered to be between December and January.

Effects of Nonylphenol and 2,2', 4,6,6'-pentachlorobiphenyl on in vitro Sex Steroid Production in Maturing Oocytes of th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 Baek, Hea-Ja;Hwang, In-Joon;Park, Myoung-Hee;Kim, Hyung-B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293-298
    • /
    • 2009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nonylphenol (NP) and 2,2', 4,6,6'-pentachlorobiphenyl (PCB104) exhibit estrogenic activity. To investigate the estrogenic potency of NP and PCB104 during oocyte maturation, fully vitellogenic oocytes (0.76 mm diameter in average) of yellow 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exposed in vitro to these chemical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1, 1, 10, 100, and 1,000 ng/mL) with the exogenous precursor $17\alpha$-hydroxyprogesterone ($17{\alpha}OHP$) 5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The production of testosterone (T), estradiol-$17\beta$ (E2), and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OHP$) in response to NP or PCB104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Steroid levels were also expressed as E2/T and E2/$17\alpha20{\beta}OHP$ ratios. In the absence of HC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NP or PCB104 treatment groups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HCG, NP trea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T, E2, and $17\alpha20{\beta}OHP$ at any concentrations tested, but E2/T ratios were decreased at concentrations of 0.1, 1, 10, and 1,000 ng/m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CB104 decreased E2 production at concentrations of 0.1, 10, and 1000 ng/mL,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T and $17\alpha20{\beta}OHP$ at any concentration tested. While E2/T ratios were decreased at PCB104 concentrations of 0.1, 1, 10, and 1,000 ng/mL, E2/$17\alpha20{\beta}OHP$ ratios were also decreased at 0.1, 10, and 1,000 ng/mL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ults indicate that both NP and PCB104 appeared to have antiestrogenic effects during this phase.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만새우, Parapenaeopsis tenella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moothshell Shrimp, Parapenaeopsis tenella from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차형기;최정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9-16
    • /
    • 2004
  •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민새우는 서해 북쪽으로는 영광에서 남쪽으로 거제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거문도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민새우의 암 ${\cdot}$ 수 성비는 암컷이 48.6% 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 회 신생 가입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갑각정 13mm 이상의 전 출현 암컷의 50%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1mm이고, 성 성숙과 교미율에 의한 군성숙도 ($CL_{50}$) 는 각각 갑각장 12.53mm와 12.28mm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자료에 의해 추정된 민새우의 수명은 암컷이 14-15개월로 나타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의해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 ${\cdot}$ 수 각각 1.22/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 ($L_{\infty}$)은 암 ${\cdot}$ 수 각각 21.99mm와 15.00mm이였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춘기 조기발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advanced puberty)

  • 박용준;문창민;유황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46-151
    • /
    • 2010
  • 목 적 : 저자들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의 사춘기 발현 시기를 조사하고, 사춘기 발현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신체검진을 통해 이차성징의 발현유무를 조사하였다. 부모의 동의와 함께 설문조사를 하여 비만도, 식생활 패턴, 생활습관, 성장촉진제품 복용여부 등을 조사하여 사춘기 조기 발현의 영향인자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70명의 학생이 선별되었으며 남녀비는 1:1.2였다. 대상 환아들의 연령은 6-9세였으며, 각 연령에서 이차성징을 보인 경우는 남아는 9세에서 2명(25.0%)이었고, 여아에서는 6세는 2명(14.3%), 7세는 6명(19.4%), 8세는 15명(39.6%), 9세는 4명(57.1%)이 이차성징을 보였다. 여아의 예측 평균 사춘기 발현 시기는 $9.11{\pm}1.86$세였다. 사춘기 발현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인 것은 비만도,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성장촉진제품 복용이었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사춘기 발현시기가 빨랐다. 성장관련제품을 복용하는 군이 사춘기 발현시기가 빨랐으나 비만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여아의 예측 평균 사춘기 발현 시기가 $9.11{\pm}1.86$세로서 국외의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고, 사춘기 조기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비만도와 패스트푸드의 섭취 빈도였다.

육닭 정관의 발육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 (Mospholops Mosphogicel Chauge on the Derelopmest of Duitus Oeferers of Meat Trppe Cockerds)

  • 한방근;김우권;이재홍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5
    • /
    • 1984
  •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clarify morphologically normal growth pattern of the ductus de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sex maturity of meat-type cockerels. 1. Diameter of lumens in u, pp.r, mid and lower parts of ductus deferens, the most conspicuous enlargement of lumen was observed in the lower part. Heights of epithelial layers of ductus deferens showed abrupt growth at 12 weeks of age with subsequent gradual growth in all the part of u, pp.r, mid and lower, and heights of those at 30 weeks were a, pp.oximately 4 times as large in the u, pp.r and mid parts and 5 times as large in the lower part in contrast to those at 4 weeks of age. Thickness of muscular layer of ductus showed gradual growth in contrast with the diameter of lumen and height of epithelial layer, showing 1.3 times as large in the u, pp.r part, 1.6 times in the mid part and 1.9 times in the lower part at 30 weeks of age in contrast to the thickness at 4 weeks of age. 2. Within 10 weeks after hatching, lining cells of ductus deferens were mainly composed of round cells and columnar cells in simple columnar epithelium. During 10th to 20th week, the lining cells were mainly composed of high columnar cells and round cells in pseudostratified epithelium. From 22nd week, the lining cells were composed of pseudostratified columnar cells. Whereas round cells disa, pp.ared gradually. Enlargement of lumen and pooling of sperms in ductus deferens coincided with the maturation of seminiferous tubules. 3. In simpl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s of testis weight and the values from various measurements in the ductus defere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ach other. 4. In the India ink absorption test, India ink granules were not absorbed on the epithelium of the ductus deferens, but the granules reactive to acid phosphatase a, pp.ared in a line on the free border of each parts of the ductus deferens. The granules reactive to alkaline phosphatase were noted on the luminal border of ductus deferens mainly, but weak reaction showed than acid phophatase were a, pp.ared. The granules reactive to PAS were a, pp.ared mostly near on the free border of hte epithelial cells of ductus deferens. 5. Number of sperm, Indes of sperm vitality and MRT in the different parts of ductus deferens were tended to be somewhat dominant in the mid and lower parts than in u, pp.r part, even though not significant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atio of sperm abnormality was tende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u, pp.r part too, and in the sperm of abnormality blunted head was less in number significantly in the mid and lower part than in the u, pp.r part.

  • PDF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꽃새우, Trachysalambria curvirostris의 성숙과 성장 (Maturation and growth of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in the coastal water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최정화;차형기;김주일;고정락;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2호
    • /
    • pp.120-127
    • /
    • 2003
  • 우리 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을 분포하는 꽃새우는 북쪽으로는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사랑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거문도 인근해역 꽃새우의 암ㆍ수 성비는 암컷이 48.6%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회 신생 개체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고, 갑각장 19 ㎜ 이상의 암컷에서는 반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8 ㎜이고, CL/sub 50/ 성 성숙체장과 교미체장은 각각 갑각장 18.89 ㎜와 19.19 ㎜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변화에 의해 추정된 거문도 개체군의 수명은 암컷 14-15개월이고, 수컷은 13-147개월 나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ㆍ수 각각 1.40/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L/sub ∞/)은 암ㆍ수 각각 29.54 ㎜와 18.95 ㎜이었으며, 암컷이 수컷 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