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Matura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난소발달에 다른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활성 변화 (Activity of Sex Steroid Hormones on Ovarian Development i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황인준;김성연;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3-159
    • /
    • 2007
  • We studied oocyte steroidogenesis in relation to oocyte development i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 marine multiple spawner. Vitellogenic and mature oocytes were incubated in vitro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as a precursor. The major metabolites were androgens [androstenedione $(A)_4)$ and testosterone (T)] and estrogens [$17\;{\beta}-estradiol\;(E_2)$ and estrone ($E_1$)] in vitellogenic oocytes. The metabolic rate of T was lower in 1.08 to 12-mm oocytes, while that of $E_2$ increased with oocyte size. The endogenous productions of T, $E_2$ and 17 ${\alpha}-hydroxy$, 20 ${\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were quantified using a radioimmunoassay in the non-precursor group. The endogenous levels of T and $E_2$ were highest in 1.08 to 12-mm oocytes and $17{\alpha}20{\beta}OHP$ was produced only in 1.90 to 95-mm oocy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ocyte size and steroidogenesis showed that 1.08 to 12-mm oocytes are full vitellogenic following induction of the maturation process. Moreover, $17{\alpha}20{\beta}OHP$ acts as a maturation inducing hormone in H. otakii.

자연산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 농도 변동 (Plasma Sex Steroid Hormone and Vitellogenin Profiles during Ovarian Development of the Wild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 김대중;안철민;민광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1-397
    • /
    • 2006
  • This study correlated changes in estradiol-l7$\beta$ ($E_2$), testosterone (T), 17$\alpha$,20-dihydroxy-4-pregnen-3-one (DHP), and vitellogenin (VTG) levels with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and ovarian histology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wild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Synchronous oocyte development occurs in this fish. Ovary maturity was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spawning (December to February), post-spawning (February to April), recovery (May to August), and vitellogenic (September to November) periods. Seasonal changes in the GSI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s and reflected the degree of ovarian maturity. Plasma VTG levels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the GSI, which increased from September to a peak in January, and levels remained comparatively high until February. Estradiol-17$\beta$ was at baseline levels (<0.11 ng/mL) during the spring and summer, and peaked rapidly (1.55$\pm$0.445 ng/mL) from October to January. Plasma T and DHP levels had a similar profile; they rose markedly during the spawning period and remained low (or were not detectable) from spring through autumn. These data indicate that changes in plsama steroid hormones and VTG levels are correlated with the annual ovarian activity of the marbled sole. Based on these results and published reports, it appears that in this species DHP is the most important maturation-inducing steroid and that T is also related to final maturation.

실내 사육한 줄가자미(Clidoderma asperrimum)의 성 성숙과 생식주기 (Sexual Maturity and Reproductive Cycle of Roughscale Sole Clidoderma asperrimum Cultured in Indoor Tank)

  • 임한규;정민환;도용현;손맹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03-1012
    • /
    • 2012
  • The gonadosomatic index (GSI), sex steroid hormones and gonadal development of roughscale sole Clidoderma asperrimum cultured in indoor tank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its sexual maturation and reproductive cycle. The highest GSI values of female and male were $6.91{\pm}4.03$ (May) and $0.16{\pm}0.08$ (August), respectively. The reproductive cycle would be classified into four successive developmental stages: growing stage (December to February), maturation stage (March to April), ripe and spawning stage (May to June), recovery and resting stage (July to November). The highest plasma testosterone (T) and estradiol-$17{\beta}$ ($E_2$) levels of female were $259.4{\pm}76.8$ and $633.3{\pm}182.5$ pg/mL, respectively in May. Also $17{\alpha}$, $20{\beta}$-dihydroxy-4-pregen-3-one ($17{\alpha}$, $20{\beta}$-OHP) levels of female peaked in April before spawning season ($244.2{\pm}42.5$ pg/mL). The highest plasma testosterone (T) and 11-ketotestosterone levels of male were $231.0{\pm}46.0$ and $273.9{\pm}54.5$ pg/mL, respectively in Apri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7{\alpha}$, $20{\beta}$-OHP.

Effects of Steroid Hormones on $In$ $Vitro$ GVBD and Oocyte Steroidogenesis in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 Hwang, In-Joon;Kim, Seol-Ki;Choi, Sang-Jun;Lee, Chi-Hoon;Lee, Young-Don;Kim, Hyung-Bae;Baek, Hea-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1호
    • /
    • pp.39-45
    • /
    • 2012
  • To verify the sex steroids which are involved in oocyte maturation of the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we incubated vitellogenic oocytes (0.41 and 0.50 mm in average diameter) in the presence of exogenous steroid precursor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Steroids were extracted, separated and i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major metabolites produced were androstenedione, estradiol-$17{\beta}$, estrone and progestogens. Progestogen metabolites in the oocytes of 0.50 mm were more abundant than those of 0.41 mm. Also,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effect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5, 50 and 500 $IU/m{\ell}$),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and $17{\alpha},20{\beta}$-tr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21P$; 5, 50 and 500 $ng/m{\ell}$, respectively) on oocyte maturation. In the oocytes of 0.41 mm, treatment with 50 IU HCG stimulated GVBD ($55.30{\pm}1.20%$) compared with controls ($32.41{\pm}3.13%$, $p$<0.05). In the oocytes of 0.50 mm, treatment of $17{\alpha}20{\beta}P$ (50 and 500 $ng/m{\ell}$) stimulated GVBD ($50.13{\pm}2.52$ and $51.77{\pm}5.91%$,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s ($36.81{\pm}2.89%$, $p$<0.05). Treatment with 500 IU HCG also stimulated GVBD ($49.59{\pm}5.15%$) compared with controls ($p$<0.05).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th HCG and $17{\alpha}20{\beta}P$ were effective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and $17{\alpha}20{\beta}P$ may act as a maturation inducing hormone in blacktip grouper.

수직적 안모형태와 치아성숙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INTER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FACIAL TYPE AND DENTAL MATURATION)

  •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4
    • /
    • 2010
  • 본 연구는 수직적 안모형태와 치아성숙도의 관계를 평가하고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사춘기 성장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7세에서 9세, 13세에서 15세 환자 1306명을 Ricketts의 VERT index를 이용하여 수직적 안모 형태를 분류하였고 환자들의 치령을 Demirjian법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치령이 역령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크게 측정되었다. 2. 사춘기 연령군에서 brachyfacial type의 경우가 dolichofacial type 보다 치아성숙도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는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3. Brachyfacial type의 경우 사춘기전 군들과 비교 시 사춘기 군들에서 치아성숙도가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dolichofacial type의 경우는 연령층간 치아성숙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Induction of Sex Maturation and Growth in Comb Pen Shells, Atrina pectinata per Microalgae Classes)

  • 문태석;조필규;김병학;박기열;구학동;신윤경;임영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5-112
    • /
    • 2009
  •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 PDF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성성숙과 성비 (Sexual Maturation and the Sex Ratio of the Jedo Venus, Protothaca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 김지현;정의영;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7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보령 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 Protothaca jedoensis) 를 대상으로 생식소지수, 생식소 성숙 및 산란에 따른 생식주기, 산란기, 군성숙도, 그리고 성비 등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외벽 근섬유막으로부터 족부의 외벽근 섬유막 사이에 있는 망상결체 조직층 사이에 다수의 소낭 또는 세관으로 분포하였다 . 난소는 수많은 난소소낭으로, 정소는 다수의 정소세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암수의 생식소지수 (GI)의 월별 변화는 2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에 이른 후 6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 최소에 이르고 있어 생식주기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본 종의 산란기는 1년에 1회로 5-7월사이에 일어나며, 산란성기는 해수 수온이 20$^{\circ}C$이상인 6월과 7월사이 이었다. 살조개 암수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7월), 부분산란기 (5-8월), 퇴화 및 비활성기 (7-1월) 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암수 개체의 군성숙도(%) 는 각장 30.1-35.0 mm 인 경우 군성숙도 (%) 는 각각 52.6%와 60.0%이었고, 각장 45.1 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X$^2$ = 0.40, p > 0.05).

  • PDF

성숙한 랫트의 번식 기능에 있어 프탈레이트/아디페이트 에스테르의 주산기 노출의 영향 (Effects of Phthalate/Adipate Esters Exposure during Perinatal Period on Reproductive Function after Maturation in Rats)

  • 이휘철;고응규;임기순;정학재;성환후;장원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51-662
    • /
    • 2006
  • 프탈레이트 에스테르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이용되며 또한 유제품과 같은 음식에서 미량으로 발견되고, 종종 내분비 교란물질로 의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BP, DINP 또는 DEHA의 주산기 노출이 랫트에 있어 성 성숙 후, 번식기능 특히 뇌의 성분화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어미에게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함유가 낮은 분말 사료에 다음과 같은 단계적 농도의 DBP (20, 200, 2000, 10000 ppm), DINP (40, 400, 4000, 20000 ppm), DEHA (480, 2400, 12000 ppm)를 혼합한 후, 임신 15일째부터 출생 후, 21일째 (이유기)까지 섭취 시켰고, 성 성숙 후, 혈청 성호르몬 및 성선자극호르몬의 레벨과 교배행동 및 성주기 회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DBP, DINP 또는 DEHA의 주산기 노출에 의한 생후 20~21주째의 암수 랫트에 있어, 성호르몬 및 성선자극호르몬의 레벨뿐만 아니라 암컷의 성주기의 회귀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시상하부-하수체-성선축의 내분비계를 제어하는 뇌의 성분화에는 이들 화학물질이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하지만, 수컷의 성행동 특히, 사정 (ejaculation)과 암컷의 로도시스 반응이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BP, DINP 또는 DEHA의 주산기 노출은 성선자극 호르몬의 분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성행동을 제어하는 시상하부의 어떤 영역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 즉, 뇌의 성분화에 영향을 끼쳐 성 성숙 후, 성 특이적 행동을 억제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and Vitellogenin mRNA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ffects of Hypo-osmotic Environmental Changes

  • Choi, Young Jae;Kim, Na Na;Shin, Hyun Suk;Choi, Cheol Y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479-487
    • /
    • 2014
  • Lep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ergy homeostasis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fish, especially in reproduction. Migrating fish, such as salmonoids, are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salinity changes are a particularly important influence on spawning mig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changes in salinity affect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ERs), and vitellogenin (VTG) i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leptin, the expression of ERs and VTG, and the levels of estradiol-$17{\beta}$ and cortisol increased after the fish were transferred to FW, demonstrating that changes in salinity stimulate the HPG axi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These findings reveal details about the role of elevated leptin levels and sex steroid hormones in stimulating sexual maturation and reproduction in response to salinity changes in chum salmon.

Assessment of In Vitro Oocyte Maturation in Two Gobiid Fish Species,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fter Exposure to Benzo[a]pyrene

  • Hwang, In-Joon;Baek, Hea-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3호
    • /
    • pp.223-230
    • /
    • 2011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ubiquitous environmental contaminants derived from incomplete combustion of carbons and crude 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nzo[a]pyrene (B[a]P), a representative PAHs on in vitro sex steroid hormone production and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using isolated oocytes of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Oocytes in diameters of 0.8-0.9 (end vitellogenic stage) and 0.9-1.0 mm (germinal vesicle migratory stage) from longchin goby and 0.5 mm (fully vitellogenic stage) from chameleon goby were used. In GVBD assay, B[a]P at 10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of 0.8-0.9 mm from longchin goby. B[a]P at 1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5 mm from chameleon goby. In steroid production from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decreased testosterone (T) production, B[a]P at 1,000 nM increased estraiol-17 (J (E2) production and 10 and 100 nM increased $17,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8-0.9 mm. B[a]P at 1,000 nM increased E2 production, 100 and 1,00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9-1.0 mm. In steroid production of oocytes from chameleon goby, B[a]P at 1,000 nM increased $E_2$ production. B[a]P at 1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ratio of $E_2$ to T ($E_2$/T), B[a]P at 100 and 1,000 nM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also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chameleon gob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P have not only weak estrogenic effects but progestogenic effects on oocyte mat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