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erage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2초

Mornitoring and Identification of Human Astrovirus from Groundwater in Korea Based on Highly Sensitive RT-nested PCR Primer Sets

  • Lee, Siwon;Bae, Kyung Seon;Park, Jihyun;Kim, Jin-Ho;Lee, Jin-Young;Choi, Jiwon;Park, Eung-Roh;You, Kyung-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5-263
    • /
    • 2021
  • Human Astrovirus (HuAstV) is an important gastrointestinal pathogen that is frequently reported worldwide. Monitoring of contaminated groundwater has been suggested since HuAstV is transmitted through the fecal-oral route. This study developed a test method based on conventional reverse transcription (RT)-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at involves SL® non-specific reaction inhibitor for unknown non-specific amplification taking place in the groundwater environment. An optimal method for detecting HuAstV in groundwater sample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against conventionally reported method was also suggested. The developed method enabled the production of nested PCR amplicon of 630 nt, which is a sufficient length for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sequencing and genotyping. Amplicons suspected to be HuAstV were amplified in two out of the twenty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in Korea, presenting 99.77% and 99.73% similarity against HuAstV 1 strain lhar/2011/kor (JN887820.1) in sequencing, respectively. These amplicons were identified as HuAstV 1.

항공사진 기반 하수 지하시설물도 시범구축 (A Demonstration Construction of Sewerage Underground Facilities Map Based on Aerial Photograph)

  • 민관식;최민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67-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도 구축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편집지적도의 대안으로 가독성 및 일반인의 접근성을 높인 항공사진을 사용하여 하수 지하시설물도를 시범구축 하였다. 구축된 하수 지하 시설물도는 기존의 편집지적도기반 지하시설물도와 연계하여 그 활용 가능성 및 정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적도와 항공사진을 융합하여 지하시설물도를 구축 활용하면 지하시설물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통합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도정보화 사회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하시설물도 작성은 관리기관별로 존재한 도면 및 기존 도면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관리를 위한 기본도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수 지하시설물도 구축 정보는 앞으로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에 연계하여 체계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및 관리의 효율 성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불완전 분류식 하수처리구역의 강우에 의한 하수도시설의 침입수/유입수 영향 분석 (Effect of infiltration/inflow by rainfall for sewerage facilities in the area with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 신정섭;한상원;육준수;이춘구;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7-1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werage facilities through I/I analysis by rainfall by selecting areas wher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s remained due to the non-maintenance drainage equipment when the sewerage system was reconstructed as a separate sewer system. Research has shown that wet weather flow(WWF) increased from 106.2% to 154.8% compared to dry weather flow(DWF) in intercepting sewers, and that the WWF increased from 122.4% to 257.6% in comparison to DWF in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As a result, owing to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of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with untreated tributary of sewage treatment plant,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RDII) has been analyzed 2.7 times higher than the areas without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Meanwhile, infiltration quantity of this study are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tudy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infiltration quantity through sewer pipe maintenance nearby river. Drainage equipment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not to operat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n order to handle the appropriate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for rainfall because it is also expected that RDII due to rain will occur after maintenanc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RDII(allowance of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 and to be reflected it on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because aRDII can occur even after maintenance to the complete separate sewer system.

하수관거시설의 침수대응 운영·관리 실태 연구 (I)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

  • 류재나;황성환;오재일;현인환;김영란;김찬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5-270
    • /
    • 2009
  • A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authorities in operating and maintaining sewerage systems especially for urban flooding.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incidences of flooding since 1980, the existence of any guidance for preventing flood damage and the design frequency currently used for sewers in each local authority. Among 160 local author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95(59.3%) has experienced flooding more than once since 1980 while only 36(37.9%) of the 95 has prepared operation/maintenance guidelines for flooding.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applied the 10 year design frequency for sewer design and 57(35.6%) of them agreed to adjust the 10 year design frequency regulation.

하수관거의 최저유속 (Minimum Velocity of Sewerage Pipes)

  • 유동훈;이정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469-478
    • /
    • 1999
  • 한수관내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최저유속과 에너지경사, 관경을 산정하여 제시하여야 되는데 이들 수치를 바로 결정하는 양해법 산정식들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사의 임계전단력과 상용관 마찰계수 산정을 위하여 지수형 산정식들을 도입하였으며, 이들 지수형 산정식들은 기존 실험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제시된 수치들의 적합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여러 예들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정식들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도시기반시설 건설을 위한 잠재적 환경영향 발생 특성 평가 - 하수처리시설, 하수관거, 방수로를 중심으로 -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Sustainable Urb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 A Case Study 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Sewerage System and Tailrace -)

  • 박광호;김창희;황용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19-926
    • /
    • 2006
  • In this stud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sewerage system, and tailrace were performed using LCA methodology. The life cycle stages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construction stage, maintenance stage and demolition & disposal stage. As a tool of impact assessment, Ecoindicator99 containing fate analysis, exposure & effect analysis and damage analysis, was used. As tile results of WWTP LCA, more than 80% of environmental impact was produced from maintenance stage. On the other hand, most of environmental impact was produced from construction stage in the case of tailrace and sewerage system construction.

수도권 하수방제 방식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ing on the Sewage System in Seoul)

  • 남궁악
    • 물과 미래
    • /
    • 제15권2호
    • /
    • pp.11-22
    • /
    • 1982
  • 본 연구고찰은 서울시와 일부 주변지역의 하수 배제방식을 채택함에 있어서 지리적 조건과 시행지의 형성실태 그리고 하수처리 문제와 관련하여 합리적인 하수배제방식을 구명하는데 있다. (1) 절충식하수배제방식 하수관거의 보급에 있어서는 장래하수처리문제와 관련 분류식이 바람직하나 기성시가지의 경우 분류식 관거의 전환에 따른 투자규모가 크고 교통소통에 주는 영향 등을 감안 합류식으로 유지하되 시가지 재개발 또는 지하철 건설등 근본적으로 지상구조물을 개조할 때에 한하여 분류식 관거를 보급토록하고, 신개발 지역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분류식관거를 보급토록 하여 목표년도에 가서는 완전분류식이 되도록 제안하였다. (2) 하수배제는 주로 자연류하로 유도 배수구역의 편성에 있어서는 배수간선의 역할을 하는 38개 하천과 지세를 감안 자연류하가 극대화되도록 배수구역을 구분하였고 그것이 불가능한 구의, 자양, 한남, 반포, 암사등 지역에 대해서는 기설 유수지 배수펌프장 시설을 활용하여 배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 하천의 양안 또는 한쪽 하안에 찻집관거를 설치하여 하수를 집수하고 처리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각하천에서 용출하는 지하수량, 계곡수량, 강우시 일류수량등을 분리 배수케하여 한강수질개선에 기여케 하는 최적방버을 제안하였다.

  • PDF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분석연구 (Determination of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ground water in Korea)

  • 안혜실;서경애;박주현;이준배;김태승;한진석;권오상
    • 분석과학
    • /
    • 제24권1호
    • /
    • pp.10-14
    • /
    • 2011
  • 먹는 물 중 bromide의 국내 외 시험방법에 대한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최적 시험조건을 확인하고 ion chromatograph-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IC-CD)를 사용하여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함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원수 중 bromide농도와 먹는 샘물 중 bromide 및 bromate 의 농도 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시료 전처리를 위해 먹는 샘물 20 mL를 온가드 Ba-, H-카트리지 순서대로 통과시키고 마지막에 $0.2\;{\mu}m$ 맴브레인 필터로 여과 하였다. 여과한 시료는 IC-CD에 주입하였으며, 시료 중 bromide는 10~50 mM의 수산화이온용액 이동상에 적합한 가드 및 분석용 컬럼인 AG 19 및 AS 19에 의해 분리하였다. Bromide의 검정 곡선은 $0.5\sim80\;{\mu}g/L$의 농도 범위에서 $r^2$값이 0.9993으로 좋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MDL)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0.2, $0.5\;{\mu}g/L$이었다. 실제 먹는 샘물 23 개와 먹는 샘물 공장의 지하수 원수 75 개의 시료 중 bromide를 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농도는 $14.7\;{\mu}g/L$, $20.4\;{\mu}g/L$이었다. 지하수 원수 중 bromide농도와 먹는 샘물 중 bromide 및 bromate의 농도 합과의 상관계수(r)는 0.808이었다.

The System of Sewage and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Tan-Sui River Basin

  • Ko, Chun-Han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6.2-39
    • /
    • 2002
  • Tan-Sui River Basin covers Taipei metropolitan area of 2,726 square kilometers with more than six million residents. Since 1988, Taiwan government started to plan and construct an integrated sewerage system, consisted by both separated and concentrated trunk sewer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ocean outfalls.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the master plan and major facilities of Tan-Sui River Basin sewerage system. Other measures to protect general water quality and the environment of adjacent river basin area of Tan-Sui River and her tributaries by Taiwan EPA will be presented a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