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er Facility Ma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GIS를 이용한 하수도 시설물 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werage Facility Management Technique based on GIS)

  • 최재화;박희주;이홍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3-51
    • /
    • 1993
  • 도시 시설물에 관한 도면들은 시민의 생활과 도시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반시설자원이다. 현재 이들에 대한 관리에 있어 존재하는 비효율성 방지를 위해 전산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용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도시시설물중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경기도 안산시 일부지역을 표본으로 하여 하수도관리를 전산화하는 시스템구축을 위하여 도형 자료의 입력에는 1:38,000 안산시 행 정구역도와 1:3,000 도시 계획 총괄도, 그리고 1:500 시설물 도면을 이용하였고, 속성자료로서는 토지의 지번, 하수도의 설치 년도, 관의 재질, 관경, 길이 등을 입력하였다. 데이타베이스의 구축은 관계형(Relational) 자료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의 검색, 분석, 처리를 위하여 위상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후관의 교체, 보수를 위한 공사와 관련된 물량, 시간, 비용 등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PDF

하수도시설물도 자동 검수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Inspection of Sewer Facility Map)

  • 김창환;옥원수;유재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8
    • /
    • 2006
  • 국가GIS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상 하수도를 비롯한 지하시설물도가 수치지도로 구축되어 왔으며 이렇게 구축된 지하시설물 수치지도를 지자체에서 관련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정확도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하수시설물에 대한 고품질의 DB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검수방안을 제시하여 공공측량 성과심사 품질기준에 적합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하시설물도를 지방자치단체의 관련분야에서 활용될 경우 분석 상 오류에 대한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부정확한 의사결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측량 성과심사기관에서 요구하는 지하시설물도의 품질기준과 검수현황을 살펴보았고, 지하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오류유형을 바탕으로 기존 현장 검수 방법의 한계점을 파악하였으며, 하수관거의 속성을 기준으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논리적 일관성, 기하구조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관망분석 검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하매설물 속성을 활용한 기계학습 기반 지반함몰 위험도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the Ground Subsidence Risk Gra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Facility)

  • 이성열;강재모;김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5-10
    • /
    • 2022
  •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시 중심지에서 발생하는 지반함몰의 주요 원인은 하수관 및 상수관과 같은 지하매설물의 손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반함몰의 원인 규명과 지반함몰 위험 예측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현재 지반함몰은 지중탐사레이더를 통해 선제적으로 공동을 발견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이는 인력 및 비용의 소비가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장비의 운영을 위해 위험지역을 예측하고 예측된 지역을 우선순위로 탐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의 2개 구를 500m×500m 크기의 그리드로 분할하고, 해당 그리드 내의 지하매설관 속성과 지반함몰 발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을 통한 적절한 지반함몰 위험등급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모델을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지반함몰 위험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