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age Toxicity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S-Nitrosoglutathione (GSNO) Alleviates Lead Toxicity in Soybean by Modulating ROS, Antioxidants and Metal Related Transcripts

  • Methela Nusrat Jahan;Islam Mohammad Shafiqul;Da-Sol Lee;Youn-Ji Woo;Bong-Gyu Mun;Byung-Wook 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5-105
    • /
    • 2023
  • Heavy metals, including lead (Pb) toxicity, are increasing in soil and are considered toxic in small amounts. Pb contamination is mainl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 smelting, mining. Agricultural practices - sewage sludge, pests and urban practices - lead paint. It can seriously damage and threaten crop growth. Pb can adversely affect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by affecting the photosystem, cell membrane integrity, and excessiv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hydrogen peroxide (H2O2)andsuperoxide(O2.-). NO is produced via enzymatic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to scavenge ROS and lipid peroxidation substrates in terms of protecting cells from oxidative damage. Thus, NO improves ion homeostasis and confers resistance to metal stress. Our results here suggest that exogenous NO may aid in better growth under lead stress. These enhancements may be aided by NO's ability in sensing, signaling and stress tolerance in plants under heavy metal stress in combination with lead stress. Our results show that GSNO has a positive effect on soybean seedling growth in response to axillary pressure and that NO supplementation helps to reduce chlorophyll maturation and relative water content in leaves and roots following strong burst under lead stress. GSNO supplementation (200 µM and 100 µM) reduced compaction and approximated oxidative damage of MDA, proline and H2O2. Under plant tension, a distorted appearance was found in the relief of oxidative damage by ROS scavenging by GSNO application. In summary, modulation of these NO, PCS and prolongation of metal past reversing GSNO application confirms the detoxification of ROS induced by toxic metal rates in soybean. In summary, these NO, PCS and metal traditionally sustained rates of reverse GSNO application confirm the detoxification of ROS induced by toxic metal rates in soybean.

  • PDF

관거 및 지하구조물 균열 보수에 사용되는 아크릴 누수 보수재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crylic Water Leak Repair Materials used to Repair Cracks in Conduits and Underground Structures)

  • 이은미;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9-146
    • /
    • 2024
  • 노후된 관거 및 지하구조물의 균열 보수에 아스팔트계 주입재, 우레탄계 주입재, 시멘트계 주입재, 아크릴계 주입재 등 다양한 주입재가 사용되고 있다. 친환경적이고 습윤상태에서 경화가 잘되고 온도변화에 안정적인 물성을 갖는 아크릴계 누수 보수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량된 아크릴 누수 보수재와 기존 아크릴레이트 주입재의 성능 비교를 위하여 KS 규격의 실험방법에 준용하여 수중침지 길이변화율 시험, 수중 유실 저항성 시험, 내화학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 실험해 본 결과 개량된 아크릴 누수 보수재는 기존 아크릴레이트 주입재보다 습윤상태, 온도변화, 화학적 반응에 따른 수축변화가 없었고 수중 저항성 실험에서 유실되지 않았다. 또한, 개량된 아크릴 누수 보수재의 환경적 영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어류급성독성 실험과 급성경구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관찰해 본 결과 실험체의 사망률이 없었고 특별한 유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개량된 아크릴 누수 보수재가 성능적으로 우수하고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인체에 무해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다양한 실험결과 기존의 아크릴레이트 보수재보다 개량된 아크릴 누수 보수재가 관거 및 지하구조물 균열 부위의 보수재로 사용되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아크릴 누수 보수재에 대한 적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로 향후 기술 개발에 활용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내 잔류 향정신성 의약품의 독성평가를 위한 zebrafish의 행동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Change of Zebrafish For Toxicity Evaluation of Residual Psychoactive Medic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 윤효직;김민재;김종락;김성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4-579
    • /
    • 2019
  • As interest in health issues increases, it is imperative to ensure good water quality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to preserve environmental health. In particular,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water ecosystem risk assessment on pharmaceutical substances remaining in effluent. In this study, antidepressant escitalopram (ESC), antiepileptic carbamazepine (CBZ) and lead, which impact the behavior of aquatic organisms, were used to test their impact on the potential behavior of zebrafish. Zebrafish have been widely used in toxicological assessment studies due to the ease of handlinggenerically and genetically. It was possible to observe changes in the growth of organisms through monitoring the embryos' cognitive and behavior assessment. In this study, the embryo lethal dose test showed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ESC and CBZ was at 10 ppb, which is below the water quality criterion (100 ppb), increased by 32.5 % and 40 %, respectively. In the cognitive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ability function decreased by 22 % and 17% for ESC(500 ppb) and CBZ(1,000 ppb) respectively relative to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itiate efforts to remove these trace pollutant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protect the health of aquatic organisms.

Endocrine Disruption Induced by Some Sulfa Drugs and Tetracyclines on Oryzias latipes

  • Kang Hee-Joo;Choi Kyung-Ho;Kim Min-Young;Kim Pan-Gy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4
    • /
    • 2006
  •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in recent years about the occurrence, fate and toxicity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 Although these compounds have been detected in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al samples including sewage effluent, surface waters, ground water and drinking water,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range from the low ppt to ppb levels. It is therefore often thought to be unlikely that pharmaceuticals will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ndocrine disruption effects of the several pharmaceutical residues in water using adult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The common antibiotics were used sulfa durgs (sulfamethoxazole and sulfamethazine) and tetracycline drugs (oxy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Positive control that was induced Vtg (vitellogenin) in male fish was used $17\beta$-estradiol. Vtg was qualified and quantified through Western blotting and ELISA. After SDS gel electrophoresis, the dominant protein band was identified to molecular weight approximately 205 kDa in whole body samples of vitellogenic female. In female medaka exposed to $17\beta$estradi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tein induction. In contrast, three to five day exposure of male fish to $17\beta$-estradiol resulted in more than 60.0% increase of total protein compared to that of control males (p<0.01). In case of antibiotics, female fish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male fish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Vtg induction in male fish was observed with all the test chemicals. On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1 ppm of sulfamethoxazole, 1 ppm of sulfamethazine, 1 ppm of oxytetracycline and 20 ppm of tetracycline, Vtg induction was increased in a dose response manner. This study is one of the early reports suggesting potential endocrine disruption mechanism of antibiotic pharmaceutical products in aquatic ecosystem. Although the effect concentrat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high as unrealistically as in environments, it is endocrine disruption that w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consequences of pharmaceutical contamination at water environment, and warrants due attention in future researche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oxins in Marine Sediment from Busan Port in Korea

  • Jeong, Tae-Uk;Seo, Dong-Cheol;Jeong, Seung-Ryul;Song, Bok-Joo;Cho, Jeong-Gu;Yoo, Pyung-Jong;Kim, Gi-Gon;Cho, Ju-Sik;Heo, Jong-S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7-111
    • /
    • 2012
  • Eight marine sediments from Busan port in Korea were annually analyzed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dioxins from 2006 to 2010. Yearly mean concentration of dioxins ranged from 186.3 to $383.3pg\;g^{-1}$ in real values and 5.087 to 8.541 pg-TEQ (Toxicity equivalency) based on dry weight of samples. The dioxin concentration at the site near fishing market was the highest concentration among all sampling sites. Also the dioxin concentration at the sites with various pollutant sources such as large ships, sewage influx and thermal power station as well as fishing marke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ites without specific pollutant sources. Another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dioxin concentration is topography characteristics of the bay. The bay has relatively high dioxin concentration because of the lack of the pollutant diff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ioxin concentration in the site with pollutant sources and the lack of the pollutant diffusion was relatively high as compared with the other sites. As a result of contribution ratio of dioxin congeners, OCDD (Octachlorodibenzodioxin) in all sites was major contributor in real value, in contrast, dioxin congeners in TEQ values were dominated by 2,3,4,7,8-PeCDF.

용존성 방류수 유기물질이 비스페놀 A의 흡착 및 에스트로겐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solved Effluent Organic Matter on Adsorption and Estrogenic Activity of Bisphenol A)

  • 유지수;나주림;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2호
    • /
    • pp.128-135
    • /
    • 2019
  • 본 연구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용존성 방류수 유기물질이 비스페놀 A (BPA)의 흡착과 에스트로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이적 자외선 흡수 (SUVA)와 형광 지수 (FI) 분석 결과, 방류수 유기물질은 참조물질로 사용한 스와니강 자연 유기물질과는 달리 미생물 기원의 비휴믹성 유기물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Langmuir와 Freundlich 모델 모두 방류수 및 자연 유기물질에 대한 BPA의 흡착을 잘 설명하였다. 방류수 유기물질은 자연 유기물질 보다 더 높은 BPA 흡착능을 보여주었고, 이에 따라 에스트로겐 활성 역시 더 많이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기물질의 기원에 따라 BPA 흡착능과 에스트로겐 활성 저감이 크게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제시한다.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지렁이에게 미치는 독성 (Toxicity of Organic Waste-Contaminated Soil on Earthworm (Eisenia fetida))

  • 나영은;방혜선;김명현;이정택;안용준;윤성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1-56
    • /
    • 2007
  • 유기성폐기물을 농경지에 투여하기 위하여 작물에 미치는 영향, 토양에 축적되는 중금속 농도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토양에 축적된 총 오염물질이 지렁이에게 얼마나 독성을 갖고 있는지가 구명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종류 유기성 슬러지(생활하수슬러지, 공단하수슬러지, 피혁슬러지, 주정슬러지)와 돈분퇴비를 8년 동안 매년 ha당 12,5톤, 25.0톤, 50.0톤으로 처리한 토양에 대한 지렁이의 독성을 측정하였다. 공단하수슬러지를 처리한 토양를 돈분퇴비와 비교해 보면, 축적된 구리는 18.9~26.2배, 크롬은 7.7~34.7배, 니켈은 14.8~18.8배로 나타났고, 피혁슬러지의 크롬은 35.7~268.0배, 니켈은 14.8~18.8배가 축적되었다. 이렇게 오염된 토양에 지렁이를 8주와 16주 동안 각각 노출시켰다. 8주 노출에서 생활하수슬러지와 주정슬러지의 모든 처리토양과 피혁슬러지 25.0톤 처리 토양은 돈분퇴비와 비슷한 낮은 독성을 나타냈으나, 나머지 공단슬러지와 피혁슬러지의 지렁이 치사율은 26.7~96.7%으로 높게 나타났다. 16주 노출에서 주정슬러지 12.5톤, 25.0톤의 토양만 돈분처리 토양과 비슷한 낮은 지렁이 독성을 보였고, 나머지 처리토양들은 모든 53.3~100%의 지렁이 치사율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정슬러지 50.0톤 처리 토양을 제외한 다른 슬러지 처리 토양은 지렁이에게 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하수처리장 유입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성상분석 평가 (Evaluation of microplastic in the inflow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pretreatment methods)

  • 김성렬;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3-92
    • /
    • 2022
  •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수계 내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에 대한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대체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성질 개선을 위해 첨가하는 화학물이 유독하다는 사실은 여러 문헌을 통해 증명되어있다. 하수처리장(MWTP)은 오수를 처리하는 시설로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이 모이는 미세플라스틱이 모이는 장소이다. 따라서 MWTP 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를 진행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WTP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을 위한 하수 시료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론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J 하수 처리장에서 수집한 유입수 샘플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하는 다양한 전처리 방법 중에서 하수처리장 샘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펜톤산화와 H2O2 산화법을 선정하였다. 각 전처리 방법별로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킬 요소들이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펜톤산화 전처리의 경우 밀도분리법 대신 여과를 진행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H2O2 산화법의 경우 반응 이후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분석 결과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는 H2O2 산화법을 이용한 샘플의 경우 2.75 ea/L, 펜톤산화법을 이용한 샘플의 경우 3.2 ea/L 로 측정되었으며 대부분 섬유형태로 존재하였다. 또한 정량분석을 현미경을 이용해 육안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해 검정곡선을 만들었다. 총 3개의 검정곡선이 그려졌으며 해당 검정곡선들을 분석한 결과 R2 값이 전부 0.9 이상이였으며 이는 정량분석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정성분석으로 MWTP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계열에 대해선 판단할 수 있었지만 각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인 조성에 대해선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 MWTP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 조성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에 미치는 구리 독성의 영향 (Effect of Copper toxicant on Suspended and Attached Growth Nitrifying Bacteria)

  • 김금용;백주헌;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55-8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질산화 반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존 하수처리장 슬러지를 이용하여 3개월 이상 농축 배양한 후에 부착 및 부유성장 상태로 적응시킨 질화균을 이용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목적은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을 이용하여 이들의 비표면적에 따른 독성물질의 영향을 상호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유 및 부착상태의 농축 질화균의 비표면적을 다르게 하여 각각에 대한 독성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부착성장 질화균 및 부유성장 질화균의 경우 비표면적이 클수록 독성에 대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12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09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46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5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또한, 기질에 아질산염을 주입하지 않고 실험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83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78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27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2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리튬 함유 폐액에서의 리튬 농도와 생태독성과의 연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Lithium Concentration and Ecotoxicoloigy in Lithium Contained Waste Water)

  • 진연호;김보람;김대원
    • 청정기술
    • /
    • 제27권1호
    • /
    • pp.33-38
    • /
    • 2021
  • 리튬계 이차전지의 수요는 휴대전화 및 전기자동차 등의 관련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과 더불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은 전 세계 이차전지 사업의 40%를 점유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 강국이다. 폐기된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대부분은 스크랩 형태로 유가금속 회수 차원에서 재활용되고 있으나, 코발트와 니켈 등 유가금속 회수 후 폐액은 잔류 리튬 농도에 따라 일부 폐기되고 있으며, 제조 공정 시 발생하는 폐액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 농도에 의한 수계 오염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으며 해마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은 엄격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장시간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니켈계 NCM 양극재 제조 공정에서 전극 코팅을 위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에 대하여 분석하고, 폐액 처리공정에 대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제조 공정 폐액 처리 공정별 리튬 이온의 농도 및 pH 영향에 따른 수질오염 척도인 생태독성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수질검사와 함께 물벼룩 생태독성 시험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다른 산업군의 생태독성 시험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리튬 공장 폐액에 대한 현실적인 처리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