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rity-Adjustm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Risk Factors and Effects of Severe Late-Onset Hyponatremia on Long-Term Growth of Prematurely Born Infants

  • Park, Ji Sook;Jeong, Seul-Ah;Cho, Jae Young;Seo, Ji-Hyun;Lim, Jae Young;Woo, Hyang Ok;Youn, Hee-Shang;Park, Chan-H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5호
    • /
    • pp.472-483
    • /
    • 2020
  • Purpose: Sodium is an essential nutritional electrolyte that affects growth. A low serum sodium concentration in healthy premature infants beyond 2 weeks of life is called late-onset hyponatremia (LOH). Her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LOH severity and growth outcome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born at ≤32 weeks of gestation were reviewed. LOH was defined as a serum sodium level <135 mEq/L regardless of sodium replacement after 14 days of life.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0 mEq/L (severe) and ≥130 mEq/L (mild).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02 premature infants with LOH were included. Gestational age ([GA] 27.7 vs. 29.5 weeks, p<0.001) and birth weight (1.04 vs. 1.34 kg,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vere group. GA was a risk factor of severe LOH (odds ratio [OR], 1.328, p=0.022), and severe LO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2.950, p=0.039) and led to a poor developmental outcome (OR, 9.339, p=0.049). Growth parameters at birth were lower in the severe group, and a lower GA and sepsis negatively affected changes in growth for 3 years after adjustment for time. However, severe LOH was not related to growth changes in premature infants. Conclusion: Severe LO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developmental outcomes. However, LOH severity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remature infants beyond the neonatal period.

Efficacy of the Anteriorly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on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 Jang, Hoon-Ho;Kim, Hye-Kyoung;Kim, Mee-Eu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1호
    • /
    • pp.7-15
    • /
    • 2016
  • Purpos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is wide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treatment optio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is readily accepted than any other treatment options owing to its simplicity and ambulatory nature. At this time, there are a multitude of MAD designs and their efficacies may be influenced by adjustment and retention mechanism. The MAD with the anterior connector (anteriorly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AMAD) was newly developed in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Cheonan, Korea) and was prescribed for the OSA patients including snoring patients.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AMAD on the OSA patients using the self-applied portable device (ApneaLink), and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various severity of OSA level. Methods: Results of the treatment of fourteen patients (13 male, 1 female) with the AAMA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Each patient underwent home sleep test before treatment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those with mild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and <15) to moderate OSA (AHI ${\geq}15$ and <30) and severe OSA (AHI ${\geq}30$). After treatment, home sleep test was conducted again and treatment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mild to moderate and severe OSA patients. Results: Of all patients, 78.6% showed more than 50% AHI reduction. We found a significant reduction (85.3%) of AHI in the severe OSA patients.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OSA showed the reduced AHI (56.1%).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AAMAD is an effective oral appliance for the majority of OSA patients.

Impact of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on Mortality in Different Subtypes of Acute Stroke in Korea :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Data

  • Kim, Taikwan;Jwa, Cheols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1호
    • /
    • pp.51-59
    • /
    • 2021
  • Objective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inconsistent findings among countries on whether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is associated with worse outcome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However, its association is yet not clear and has not been thoroughly studied in Korea. We assessed nationwide administrative data to verify off-hour effect in different subtypes of acute stroke in Korea. Methods : We respectively analyzed the nationwide administrative data of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in Korea; 7144 of ischemic stroke (IS), 2424 of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and 1482 of subarachnoid hemorrhage (SAH), respectively.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was defined as weekends, holidays, and any times except 8:00 AM to 6:00 PM on weekdays.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in-hospital mortality in different subtypes of acute stroke. We adjusted for covariates to influence the primary outcome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In subjects with IS,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was associated with unfavorable outcome (24.6% off hours vs. 20.9% working hours, p<0.001) and in-hospital mortality (5.3% off hours vs. 3.9% working hours, p=0.004), even after adjustment for compounding variables (hazard ratio [HR], 1.244;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6-1.400; HR, 1.402; 95% CI, 1.124-1.747, respectively). Off-hours had significantly more elderly ≥65 years (35.4% off hours vs. 32.1% working hours, p=0.029) and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32.5% off hours vs. 29.9% working hours, p=0.017) than working hours. However,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was not related to poor short-term outcome in subjects with ICH and SAH.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off-hour hospital presentation may lead to poor short-term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IS, but not in patients with ICH and SAH in Korea. Excessive death seems to be ascribed to old age or the higher severity of medical conditions apart from that of stroke during off hours.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시도 여부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 MMPI-2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in Depressed Patients : Using MMPI-2 Profiles)

  • 이슬아;김근향;서신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40-49
    • /
    • 2012
  • 연구목적 : 우울장애 환자군 내에서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중 주요우울장애와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37명을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자살시도군(N=15 ; 40.54%)과 비시도군(N=22 ; 59.46%)으로 분류하였다. BDI, BAI, HDRS, HARS, MMPI-2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증상 심각도와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자살시도자들은 우울 증상의 임상가 평정치인 HDRS 상에서는 비시도자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DI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MMPI-2 소척도 중 F, Fb, Pa, RC1, DEP, HEA, PK, AAS 상에서 비시도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우울장애 환자들이 현재의 삽화 중에도 객관적인 증상의 심각도와는 별개로 비시도자들에 비해 더 심한 주관적 고통감과 자살 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타인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을 더 많이 호소하고, 신체 증상에 대한 호소와 물질 사용과 관련된 문제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우울장애 환자 중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구분되는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MMPI-2는 그러한 특성을 변별하여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비만에 이환된 아동청소년에서 보이는 정신건강문제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 강나리;이지선;강기수;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2호
    • /
    • pp.119-12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ntal health problems in obese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We assess the frequenc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and severity of obesit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06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8-16 years (61 boys with mean age $10.98{\pm}2.26$, 45 girls with mean age $9.74{\pm}1.96$, p=.004) who were diagnosed with obesity and recrui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and somatotype drawings. Results: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having a T-score in clinical range on one or more CBCL subscale was 37.7%.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the high risk group for depression (CDI score above 17) was 20.8% and that in the high risk group for eating disorder (EAT-26 score above 20) was 6%. The girl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BCL T-scores in social competence ($48.39{\pm}15.66$ vs. $38.91{\pm}22.04$, p=.011), adjustment function ($49.51{\pm}17.35$ vs. $40.38{\pm}22.58$, p=.020) and school competence ($53.34{\pm}10.47$ vs. $48.22{\pm}15.11$, p=.042) than the boys, but the percentages of boys and girls in clinical ran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somatic symptoms ($60.86{\pm}9.44$ vs. $55.74{\pm}6.76$, p=.005), aggressive behavior ($58.81{\pm}6.74$ vs. $54.68{\pm}6.22$, p=.009), total problems ($59.86{\pm}9.91$ vs. $54.88{\pm}9.76$, p=.039) and externalizing problems ($57.90{\pm}10.57$ vs. $52.44{\pm}9.38$, p=.022) th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vere obes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attention problems ($59.18{\pm}9.45$ vs. $54.15{\pm}5.34$, p=.001), social problems ($59.25{\pm}8.59$ vs. $55.96{\pm}6.50$, p=.038), delinquent behavior ($58.07{\pm}6.97$ vs. $54.73{\pm}6.00$, p=.017) and total problems ($59.21{\pm}11.65$ vs. $54.67{\pm}9.03$, p=.037) than the mild to moderate obesity group. Conclusion: Significant proportions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suffer from mental health problems. Clinic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risk, especially in obese adolescents and severel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Low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tooth loss, and the prevalence of severe periodontitis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 Kim, Hyunju;Shin, Min-Ho;Yoon, Suk-Ja;Kweon, Sun-Seog;Lee, Young-Hoon;Choi, Chang-Kyun;Kim, OkJoon;Kim, Young-Joon;Chung, HyunJu;Kim, Ok-Su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6호
    • /
    • pp.368-378
    • /
    • 2020
  • Purpose: Vitamin D deficiency may cause bone loss and increased inflammation, which are well-known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are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status and tooth loss. Methods: Cross-sectional data from 5,405 individuals aged ≥50 years (2,253 males and 3,152 females) were obtained from the 2008-2010 Dong-gu study,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risk factors for chronic diseases. Periodont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periodontal probing depth (PPD), the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and bleeding on probing. The percentages of sites with PPD ≥4 mm and CAL ≥4 mm were recorded for each participant.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was classified us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case definitions. Serum 25(OH)D levels were classified as reflecting severe deficiency, deficiency, insufficiency, or sufficienc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ssociations of serum 25(OH)D levels with periodontal parameters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including age,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status, month of blood col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severe periodontitis. An overall statistical analysis and a stratified analysis by sex were performed. Results: Overall, the rates of severe deficiency, deficiency, insufficiency, and sufficiency were 6.5%, 67.9%, 22.4%, and 3.2%,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ers, vitamin D level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 association that was significant in males, but not in females. Sufficient serum 25(OH)D was associated with a low frequency of severe periodontitis. Conclusions: This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dicates that low serum 25(OH) 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oth loss and severe periodontitis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계획 설계 (Design of Truck Escape Ramps)

  • 구본충
    • 기술사
    • /
    • 제28권4호
    • /
    • pp.54-75
    • /
    • 1995
  • 본 보고서는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에 관한 기술 자료, 문헌의 검토와 각 주별 운송 당국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Truck Escape Ram-ps)이 미국의 고속도로에 채택된 것은 35년의 역사가 있으며 지금은 서부의 산악 지대로부터 에팔라치아까지, LA 교외는 물론 동북부의 조그마한 마을까지 약 27개 주에서 채택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동차의 긴급 피난 차선의 위치는 통상 사고 발생 경위와 기술적인 판단에 따라 선정하였지만 지금은 대형 사고가 발생되기전에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필요성과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범이 도입되고 있다. 방법중에는 경사 평가제(Grade Severity Ra-ting System : GSRS)가 유력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설계법은 지금도 계속적으로 발전 단계에 있으며 현재는 (자갈 제동 노반식 피난 차선)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입자가 둥글고 균일한 입도 분포로서 입경이 13~18mm인 자갈이 회전 저항이 커서 피난 차선의 노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긴급 피난 차선의 길이 결정을 위한 새로운 계산 방법은 공사비 절감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긴급 피난 차선의 목과 종점부의 처리에 관한 설계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각 주별 조사에 의하면 1주일에 I~2회 이상 이용되는 곳이 있으며 자동차의 이용이 적어 4륜 구동 차량의 운전자들이 차를 시험하는 등국도 운전 연습장으로 사용되는 곳도 있었다. 따라서 긴급 피난 차선의 목적 외 사용을 제한하는 안내 표지판의 설치와 규정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내리막길의 정상부에는 미리 안내판을 설치하고 브레이크 점검 구역을 설치해 두면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공공 정펄 매체를 이용한 안내 광고를 함으로써 운전자가 한계 상태에 위치한 자동차의 긴급 피난 차선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적절한 유지 관리는 긴급 피난 차선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사용 후 입도 조정 및 표면 처리(fluffing :부풀림)가 필요하며 설계시나 유지 관리시에 노반의 세립토 제거 작업은 긴급 피난 차선의 수명 연장은 물론 만족할 만한 기능 유지에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현행 시공법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몇 개 분야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단. 예를 들면 비용 편익 분석, 위치 선정 기법 확립, 진입 속도 및 피난 차선 연장의 결정 조건, 골재 기능 평가, 다수 진입로의 필요성, 효과적인 운전자 교육 정책 등이 그것이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은 유용한 시설로 여러곳에서 그 기능이 발휘되고 있으므로 많은 고속도로 관계자들은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77-83
    • /
    • 2012
  •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관련요인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of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 장형주;정현강;고영훈;한창수;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1호
    • /
    • pp.44-54
    • /
    • 2013
  • 연구목적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월경 관련 요인이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방 법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 여자고등학교 학생 1,688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상, 우울, 불안 척도 및 사회인구학적, 월경 관련 문항이 포함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Premenstrual Symptom Screening Tool(PSST)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3군으로 분류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결 과 Moderate to Severe PMS와 PMDD의 빈도는 각각 20.1%와 6.4%였다. 월경전 증상 중 과민성(78.8%), 피로감(76.4%), 감정기복(69.8%)의 빈도가 높았으며, 학업 수행(67.1%)영역에서 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졌다. 우울, 불안 수준을 보정한 분석에서 생리통[odd ratio(OR)=3.68, 95% confidence interval(CI) 2.45-5.55], 월경전 증후군의 가족력(OR=1.91, 95% CI 1.35-2.71) 및 경구 피임약 복용 경험(OR=1.85, 95% CI 1.16-2.94)이 있을 경우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비교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우울, 불안 증상이 없는 대상군에서는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OR=15.60, 95% CI 3.61-67.42)가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여고생에서 월경전 불쾌장애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의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가 25%가 넘을 정도로 상당히 높고 이로 인한 기능의 장애 역시 심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월경 관련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우울, 불안 증상의 공존이환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