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tlement criter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연직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의 새로운 설계 방법 (New Design Method for Pile Group Under Vertical Load)

  • 이수형;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1-40
    • /
    • 2003
  • 현행 무리말뚝 설계에서는 하나의 무리효율을 이용하여 개별말뚝의 지지력으로부터 전체 무리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무리말뚝의 지지 거동은 말뚝 시공 방법, 말뚝지반말뚝 상호작용, 캡-지반말뚝 상호작용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하나의 무리효율만으로 이렇게 다양한 영향 요소들을 합리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효율을 도입하여, 이들 영향 요소들을 분리하여 고려할 수 있는 무리말뚝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이 외에도 말뚝의 하중 전이 특성과 위치에 따른 말뚝 거동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으며, 침하 기준을 이용한 효율의 산정을 통해 침하 관점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의 모형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설계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을 산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모형 실험의 지지력을 산정하고 시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정재하시험 결과를 통한 타입말뚝 지지력 판정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of Bearing Capacity for Driven Pile in Static Load Test)

  • 천병식;서덕동;최헌길;윤환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7-686
    • /
    • 2005
  •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a pil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tability estimation, is determined by applying safety factor to the ultimate load or yield load. There are several but contradictory methods available in current design codes to estimate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the safety factor. This paper analyzes load-settlement curves obtained from 19 static load tests measured from 11 sites. At all tests, the load is applied until apparent failure is observed. The validity of the ultimate and yield load estimation method and load caculated from the settlement criterion is investiga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data. In addition, a new procedure to estimate allowable load and safety factor is proposed. Additional data from field static load tests, such as those incorporated in this study, are needed to more reliably apply the proposed method in design practice.

  • PDF

연직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의 새로운 설계 방법 (New Design Method for Pile Group under Vertical Load)

  • 이수형;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기초기술학술발표회
    • /
    • pp.11-29
    • /
    • 2002
  • Current design of pile group is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overall bearing capacity of a pile group from that of a single pile using a group efficiency. However, the behaviors of a pile group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method of pile installation, pile-soil-pile interaction, cap-soil-pile interaction, etc. Thu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these factors reasonably with the only group efficiency,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the design of pile groups is proposed, wher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a pile group are considered separately by adopting several efficiencies. Furthermore, in the proposed method, the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iles and the difference of pile behaviors with respect to the pile locations in group can be taken into account. The efficiencies for the method are determined using the settlement failure criter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allowable settlement for structures. The efficiencies calculated from the results of existing model tests are presented, and the bearing capacity of a pile group in the other model test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at from the test resul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 PDF

CPR 공법의 압축재하시험을 통한 기초지반의 보강효과 (Effect of CPR Foundation Reinforcement Assessed by Compressive Loading Tests)

  • 강성승;김정한;노정두;고진석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211-222
    • /
    • 2019
  • 본 연구는 CPR 공법을 적용한 압축재하시험을 통하여 지반의 항복하중과 허용지지력을 평가하여 기초 지반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재의 평균압축강도는 계획된 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지층에서 표준관입시험 결과는 시험 전보다 시험 후의 평균 N값이 향상되었다. 즉, 이것은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두 종류의 CPR 말뚝 압축재하시험 결과에 의하면, 최대 재하하중에 의한 전침하량과 순침하량은 CPR 말뚝직경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침하량을 나타냈다. 침하량 기준과 하중-침하량 곡선에 의해 산정한 항복하중 및 허용지지력은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값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허용지지력은 다양한 항복하중 산정법을 적용한 후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값을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도로 성토 시 인근 구조물에 각변위기준 적용에 있어 계측시스템의 한계성 (Limitation of Measurement System in Application of Angular Distortion Criterion to Structure Near Road Embankment)

  • 김태형;김동인;김윤태;유상호;정용은;김성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4
  • 부등침하로 인한 각변위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실무에서는 현재 Bjerrum이 제안한 각변위기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로 성토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계측시스템은 구조물의 각변위를 적합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충분하지 못한 계측 수, 부정확한 계측기 설치, 계측된 자료의 해석에 있어 각변위 기본개념의 잘못된 이해 등과 관련이 된다. 본 연구에서 도로 성토 현장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도로 성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상대변위 계측시스템이라는 개선된 계측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한 인천송도지반 이차압축침하량의 공간적 분포 평가 (Evalu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condary Compression of Songdo Marine Clay by Probabilistic Method)

  • 김동휘;배경두;고성권;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9호
    • /
    • pp.25-35
    • /
    • 2010
  • 해안매립지반에서 압밀층 두께는 위치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이차압축침하를 공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이차압축침하량의 공간적인 분포가 포함하고 있는 불확실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확률론적 방법의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규크리깅기법으로 추정된 압밀층의 공간적인 분포 추정결과와 지반정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이차압축침하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영역 전체에 대하여 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차압축침하량이 특정 시간에서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영역을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영역의 면적은$C_{\alpha}/(1+e_o)$의 변동계수가 크고 확률론적 설계기준 a 가 작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확률론적인 설계기준이 확립될 경우에는 연약지반설계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확률론적인 방법들을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압분리형 교량 접속슬래브의 비지지길이와 지반 침하에 따른 거동 해석 (Behavior Analysis of Approach Slabs of IPM Bridges according to Unsupported Length and Settlement)

  • 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50-660
    • /
    • 2018
  • 접속슬래브는 교량의 접속부의 주행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고속도로 교량의 접속슬래브는 길이의 70%를 지간으로 하는 단순보로 설계하고 부재력만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슬래브의 거동과 지지점의 침하로 인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분리형 교량의 접속슬래브에 대해 비지지길이와 지반 침하에 따른 거동을 평가하였다. 이 교량은 보강토옹벽으로 횡방향토압을 지지하므로 접속슬래브가 지면에 지지되지 않는 비지지구간이 발생되고 지지되는 지반에서도 침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접속슬래브의 길이에 따라, 토압분리형 교량 설계지침 (2016)에 제시된 접속슬래브 길이의 70%를 지간으로 하는 단순보로 설계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비지지길이와 지반 침하에 따른 거동을 규명하기 위한 구조해석 모델을 생성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비지지길이가 증가되면 휨모멘트는 감소되었고 침하량이 증가되면 휨모멘트는 증가되었다. 그리고 설계 단면력이 구조해석보다는 크게 산정되었으며, 설계지침에 따라 접속 슬래브를 설계하면,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직변위는 비지지길이에 관계없이 침하량이 10mm 이상이 되면, 유지관리기준인 1/200 곡선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압분리형 교량의 접속슬래브는 비지지길이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지반 침하에는 큰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접속슬래브를 지지하는 보강토옹벽에 과도한 침하가 발생되며, 설계 휨모멘트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Square footing on geocell reinforced cohesionless soils

  • Biswas, Sefali;Mittal, Satyendr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4호
    • /
    • pp.641-651
    • /
    • 2017
  • Ground improvement with use of geosynthetic products is globally accepted now.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e improvement in bearing capacity of square footing placed at surface of cohesionless soil reinforced with geocell.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has been used in the observations. To study effects of geocell with respect to planar geogrid, model tests were conducted on planar reinforcement also. A comparative study of unreinforced soil and soil reinforced with plane geogrid and geocell has also been made. Numerical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PLaxi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model tests and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A parametric study revealed the role of length of reinforcement, spacing between layers, placement of reinforcement from top surface etc. on bearing capacity. A design example given in paper illustrates the savings in cost of construction of footing on reinforced sand.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improvement in bearing capacity with respect to unreinforced soil which is of the order of 86%. Similarly settlement reduction is 13.07% for single layer of geocell which for double layers of geocell is 693% and 86.48% respectively. The cost reduction in case of reinforced soil is 35% as compared to unreinforced soil.

A new viewpoint on stability theorem for engineering structural and geotechnical parameter

  • Timothy Chen;Ruei-Yuan Wang;Yahui Meng;Z.Y. Che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5호
    • /
    • pp.475-487
    • /
    • 2024
  • Many uncertainties affect the stability assessment of rock structures. Some of the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echnology decisions. Some of these factors belong to the geological domain, and spatial uncertainty measurements are useful for structural stability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approach to study the stability of rock structures, including spatial factors. This study models two main components: discrete structures (fault zones) and well known geotechnical parameters (rock quality indicators). The geostatistical modeling criterion are used to quantify geographic uncertainty by producing simulated maps and RQD values for multiple equally likely error regions. Slope stability theorem would be demonstrated by modeling local failure zones and RQDs. The approach proided is validated and finally,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method and fuzzy Laypunov criterion are applied to mining projects with limited measurement data. The goals of this paper are towards access to adequate, safe and affordable housing and basic services, promotion of inclusive and sustainable urbanization and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and disaster-resilient buildings, sustainable human settlement planning and manage. Simulation results of linear and nonlinear structur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identify structural parameters and their changes due to damage and unknown excitations. Therefore, the goal is believed to achieved in the near future by the ongoing development of AI and fuzzy theory.

쌍곡선 근사에 의한 현장타설말뚝의 항복하중 판정 (Yield Load Interpretation for Drilled Shaft Foundations by Hyperbolic Approximation)

  • 원상연;황성일;조남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79-8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일반 토사층에 선단지지된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결과로부터 얻은 하중-침하 량곡선을 쌍곡선으로 회귀분석하고 여기에 곡률방정식을 이용하여 최대곡률을 나타내는 하중을 항복하중으로 규정하는 판정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하중과 침하량의 단위 또는 축척에 따라 최대곡률점의 위치가 변하고 따라서 항복하중도 다르게 판별된다(원상연, 1995). 따라서 하중과 침하량을 정규화(normalization)하고 정규화된 침하량(x축)과 하중축(y축)의 축척이 1:1이 되도록 함으로써 하중과 침하량의 단위와 축척에 상관없이 유일한 최대곡률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기존의 판정 법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항복하중을 구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정규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이 판정법을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연직재하시험결과에 적용하여 연직항복하중을 판정하고, 이 결과를 기존의 판정 법들에 의한 항복하중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