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aria italic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조, 기장, 수수의 지방질과 지방산 조성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 하영득;소한섭;이삼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28
    • /
    • 2002
  • 시료로부터 chloroform-methanol(2:1/v:v)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조, 기장, 수수의 총지질 함량은 각각 3.9%, 2.7% 및 2.3%였다. 추출한 총지질을 silicic acid column을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하고 그 함량을 구한 결과 총지질에서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함량은 조에서 72.4%, 18.8% 및 8.8%였고, 기장은 69.2%, 21.1% 및 9.6%였으며, 수수는 77.4%, 16.1% 및 6.6%였다. 모든 시료에서 중성지질이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각 지방질의 지방산을 GC로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가장 많은 지방산은 linoleic acid 였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그 다음으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조의 인지질에서 behenic acid가 12.77%로 상당한 양이 검출된 것과 중성지질에서 극히 소량이지만 myristic acid가 검출된 것이 특징적이다. Linolen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Setaria italica on 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Son, Jang-Won;Fang, Ming-Zhu;Cho, Myung-Haing;Kim, Kyung-Ho;Kim, Soo-Un;An, Gil-Hwan;Lee, Chong-Soon;Kim, Ki-Nam;Chang, Il-Moo;Mar, Woong-Ch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88-92
    • /
    • 1999
  • Inhibition of 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umor promotion phase of carcinogenesis. Recovery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re measured by scrape-loading and dye transfer method using Lucifer yellow after administration of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 on WBF344 cells. Among tested natural products, the hexane fraction and subfractions (F-01 and F-04) of Setaria italica were relatively effective for recovery of GJIC. The hexane fraction of Setaria italica $(EC_{25},\;12.14\;{\mu}g/ml)$ and subfractions $(F-01:EC_{50},\;10.74\;{\mu}g/ml;EC_{25},\;1.58\;{\mu}g/ml,\;F-04:EC_{50},\;11.03\;{\mu}g/ml;\;EC_{25},\;3.12\;{\mu}g/ml)$ revealed dose-dependent recovery effects on GJIC. Our data show GJIC activity measurement by Lucifer yellow spread on cell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with possibl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 PDF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Setaria italica Beauv.)의 품종별 파종시기에 따른 이화학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wo Varietie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 during Different Seeding Periods)

  • 정건호;김성국;이재은;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9-456
    • /
    • 2018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varieties of foxtail millet were evaluated across different seeding periods. Results indicated the moisture, crude ash, fat, protein, and carbohydrate levels of the foxtail millet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variety and seeding periods.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early-season seeding periods; However,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late-season seeding periods.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Hwanggeumjo varie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eeding periods were delayed though the color of the Samdame variety decreased. The swelling power of foxtail millet increased as the seeding periods were delaye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Hwanggeumjo and Samdame varieties were 298.68~315.13 and 288.84~297.73 mg GAE/100 g, and flavonoid contents were 181.32~172.92 and 172.49~183.86 mg CE/100 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04.70~126.89 and 111.75~136.92 mg TE/100 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8.69~114.64 and 69.80~100.09 mg TE/100 g,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wanggeumjo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seeding periods of the early-season, and Samdame was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seeding periods of the late-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