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um indicum growt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IAA-Producing Penicillium sp. NICS01 Triggers Plant Growth and Suppresses Fusarium sp.-Induced Oxidative Stress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Radhakrishnan, Ramalingam;Shim, Kang-Bo;Lee, Byeong-Won;Hwang, Chung-Dong;Pae, Suk-Bok;Park, Chang-Hwan;Kim, Sung-Up;Lee, Choon-Ki;Baek, In-Yo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6호
    • /
    • pp.856-863
    • /
    • 2013
  • Application of rhizospheric fungi is an 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of improving plant growth and controlling many plant diseases.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dentify phytohormone-producing fungi from soil, to understand their roles in sesame plant growth, and to control Fusarium disease. Three predominant fungi (PNF1, PNF2, and PNF3) isolated from the rhizospheric soil of peanut plants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promoting efficiency on sesame seedlings. Among these isolates, PNF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hoot length and fresh weight of seedlings compared with controls. Analysis of the fungal culture filtrate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of indole acetic acid in PNF2 than in the other isolates. PNF2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sp.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sequence similarity. The in vitro biocontrol activity of Penicillium sp. against Fusarium sp. was exhibited by a 49%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in a dual culture bioassay and by hyphal injuries 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greenhouse experiments revealed that Fusarium inhibited growth in sesame plants by damaging lipid membranes and reducing protein content. Co-cultivation with Penicillium sp. mitigated Fusarium-induced oxidative stress in sesame plants by limiting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by increasing the protein concentration, levels of antioxidants such as total polyphenols, and peroxidase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Penicillium sp. is a potent plant growth-promoting fungus that has the ability to ameliorate damage caused by Fusarium infection in sesame cultivation.

Fusarium oxysporum에 의(依)한 참깨줄기반쪽썩음 병상(病狀)의 병원학적(病原學的) 연구(硏究) (Etiology of a Half Stem Rot in Sesame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 조의규;최성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0
    • /
    • 1987
  • 참깨줄기의 반쪽부분(部分)만이 특징적으로 변색(變色)되며 결국은 식물체전체(植物體全體)가 고사(枯死)되는 병미(病微)이 장려품종(奬勵品種)인 광산(廣産)깨와 풍년(豊年)깨가 심겨진 포장(圃場)에서 관찰(觀察)되었다. 병미(病微)은 처음에 줄기의 한쪽 부분(部分)만이 수침상(水浸狀)의 줄무늬(條斑)형태(形態)로 변색(變色)되며, 병징후기(病徵後期)에는 변색부위상(變色部位上)에 황백색(黃白色)$\sim$선홍색(鮮紅色)의 Fusarium 포자퇴(胞子堆)들이 많이 형성(形成)된다. Fusarium oxysporum에 감염(感染)된 참깨 유묘(幼苗)에서는 주로 시들음 증상(症狀)이 나타나지만, 성묘(成苗)에서는 토양접종(土壞接種)이나 상처접종(傷處接種)에 의해 줄기반쪽썩음증상(症狀)을 재현(再現)시킬 수 있었다. 본(本) 병해(病害)는 주로 생육후기(生育後期)인 7월하순(月下旬) 경에 많이 발생(發生)된다. 참깨줄기반쪽썩음증상(症狀)에서 분리(分離)한 Fusarium oxysporum의 균학적(菌學的) 특성(特性)을 이미 참께시들음병(病)에서 보고(報告)되어 있는 Fusarium 균(菌)들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본(本) 균(菌)은 F. oxysporum f. sp. sesame로 생각된다.

  • PDF

더덕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충의 증식억제 식물 탐색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to Suppress Population of Meloidogyne hapla i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임주락;황창연;김대향;최정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9-346
    • /
    • 2006
  • 비름과 쇠무릎등 총 36과 81속 90종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70종의 식물에서 당근뿌리혹선충 감염을 확인하지 못했고, 이들 70종 중 42종의 식물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더덕의 피해가 많았던 포장에 심고, 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26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고, 지치 등 16종은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42종의 식물중 30종의 식물을 Pot 재배를 통하여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별 뿌리혹수와 토양 내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패랭이, 원추천인국, 기린초, 아주까리, 지모, 해변아욱, 애기똥풀, 흑참깨, 짚신나물, 큰뱀무, 오이풀, 현삼 등 12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더덕은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뿌리혹수가 많아지고, 토양 내 유충밀도 역시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더덕의 생육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나빠지는 경향이었다.

Excessive soil water stress response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cultivated from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opographic features

  • Ryu, Jongsoo;Baek, Inyeoul;Kwak, Kangsu;Han, Wonyoung;Bae, Jinwoo;Park, Jinki;Chun, Hyen Ch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49-760
    • /
    • 2018
  • In Korea, the largest agricultural lands are paddy fields which have poor infiltration and drainage propertie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cultivating upland crops in paddy fields to reduce overproduced rice in Korea. For this policy to succeed,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topographic information of paddy fields and its effects on upland crops cultivated in the soils of paddy fiel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growth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from paddy fields with three soil topographic features and soil water effects which were induced by the topographic features of the sesame and perilla. The crops were planted in paddy fields located in Miryang, Gyeongnam with different topographies: mountain foot slope, local valley and alluvial plain. Soil water contents and groundwater levels were measured every hour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alleviating wet injury for the sesame and perilla in the paddy fields.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had a decreased average soil water content and groundwater level during cultivation. Stress day index (SDI) from the alluvial plain paddy field had the greatest values from both crops and the smallest from the ones from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This result means that sesame and perilla had the smallest stress from the soil water content of the paddy field on the mountain foot slope and the greatest stress from the soil water content of the alluvial plai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opography of paddy fields to reduce wet injury and to increase crop yields.

Effect of soil physical properties on nitrogen leaching during sesame (Sesamum indicum L.) cultivation under lysimeter conditions

  • Chan-Wook Lee;Jung-Hun Ok;Yang-Min Kim;Yo-Sung Song;Hye-Jin Park;Byung-Keun Hyun;Ye-Jin Lee;Taek-Keun O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79-387
    • /
    • 2022
  • A large amount of the mineral nitrogen is necessary for crop growth. With the use of nitrogen fertilizers, agricultural yield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at the same time, nitrate from the cultivated land can be a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in water systems. For nitroge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nitrogen movement in soil. In this study, nitrogen leaching in upland soils was evaluated using undisturbed lysimeters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during sesame cultivation. The soil texture of the lysimeters was clay loam (Songjung series) and sandy loam (Sangju series) soils. Sesame was cultivated from May 25 to August 24 in 2020. The standard amount of NPK fertilizer (N-P2O5-K2O = 2.9-3.1-3.2 kg·10 a-1) was applied before sowing.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itrogen (NO3-N + NH4-N)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water drained below 1.5 m soil depth. The water was drained through percolation into macropores in the clay loam lysimeter. In contrast, in the sandy loam lysimeter, water drained more slowly than in the clay loam lysimet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total amount of leachate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but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was high in sandy loam soil. During the sesame cultivation period,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from clay soil was 5.64 kg·10 a-1, and 10.70 kg·10 a-1 for sandy soil.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ching depending on the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oil to evaluate the leaching of nitrogen.

발효 5종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Antioxidative and Hair-growth-promotion Effects of a Fermented Compound Composed of Five Materials)

  • 이하늘;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3-670
    • /
    • 2018
  • 이 연구는 5가지 물질로 구성된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발효 5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 검은콩, 솔잎, 검은깨, 발효 2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으로 구성되어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모발 성장 효과는 생체 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P), ${\gamma}$-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gamma}-GT$) 및 육안적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샘플에 따라 물(NOR), 판시딜(P-CON), 발효 5종 혼합물(5NC), 발효 2종 혼합물(2NC) 총 4군으로 나눴다. 샘플은 일정한 시간에 하루 1번 4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5NC군에서 ALP, ${\gamma}-GT$ 활성 모두 2NC에 비해 증가하였다. 육안적 관찰에서 P-CON군은 털이 가장 길고 면도 전의 상태와 유사하였다. 5NC군은 P-CON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털이 자랐다. 모든 결과에서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5종 혼합물은 유용한 모발 성장 촉진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모효과를 가지는 한방복합처방단 (Medicinal Herbal Complex Extract with Potential for Hair Growth-Promoting Activity)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이명희;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7-287
    • /
    • 2012
  •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23가지 한방소재를 선정하여 한방복합처방단을 개발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을 구성하는 한방소재들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발모 및 탈모방지, 흰머리방지, 염증 치료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당귀, 보골지, 측백엽, 한련초, 구기자, 복분자, 상백피, 숙지황, 여정실, 적하수오, 흑지마, 고삼, 백지, 익모초, 단삼, 도인, 몰약, 감국, 유향, 인삼, 천궁, 합환피, 현호색 등이다. 또한, 한방복합처방단의 발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와 in vivo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모발성장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상에서는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머리방지 효과와 관련하여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능력을 확인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의 in vitro 상에서의 육모효과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상에서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방복합처방단은 $50{\mu}g/mL$의 농도에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175 %까지,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의 증식은 120 %까지 증가시켰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의 증식을 133 %까지 증가시켰다. 멜라닌 합성의 경우, $50{\mu}g/mL$의 농도에서 154 %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과에 있어서는 한방복합 처방단 처리 4주 후 98 % 이상의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방복합처방단은 모발의 성장 촉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사료된다.

삭과의 착생부위(着生部位)가 참깨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apsule Position on the Seed Germination and Juvenile Growth of Sesame (Sesamum indicum L.))

  • 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23-230
    • /
    • 1982
  • 참깨의 적정입모확보(適正立毛確保)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 저 청송등(等) 6개품종(個品種)에서 삭과착생부위별로 채취(採取)한 종자(種子)를 공용(供用)하여 발아(發芽)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播種期)를 지연(遲延)시킴에 따라 각품종(各品種)의 개화(開花)까지 일수(日數)는 현저(顯著)한 감소(減少)를 보였는데 파종기지연(播種期遲延)에 따르는 개화(開花)까지 일수(日數)의 감소정도(減少程度)는 품종간(品種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 내었다. 2. petri dish나 pot에서 공(共)히 IS103을 제외(除外)한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에서 하위절(下位節)에서 채취(採取)한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이 하위절채취종자(下位節採取種子)의 발아율(發芽率) 보다 높았다. 3. IS103은 하위절(下位節)에서 채취(採取)한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은 petri dish에서는 20%, pot에서는 7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상위절채취종자(上位節採取種子)에서는 petri dish에서는 17.0% pot에서는 72.5%의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4. 발아세(發芽勢)에 있어서도 발아율(發芽率)과 같은 경향(傾向)으로 하위절채취종자(下位節採取種子)가 상위절채취종자(上位節採取種子)의 발아세(發芽勢)보다 높았으며, petri dish에서의 발아세(發芽勢)보다 pot에서의 발아세(發芽勢)가 현저(顯著)히 낮았다. 5. 초장(草長), 근장(根長), 엽장(葉長) 및 생체중등(生體重等)은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에서 하위절채취종자(下位節採取種子)가 상위절채취종자(上位節採取種子)보다 컸으나 종자입중(種子粒重)에 따르는 발아율(發芽率)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은 동일품종내(同一品種內)에서는 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나 품종간(品種間)에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의(優占雜草)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 검색(檢索) (Determination of Allelopathic Activity in Dominant Upland Weeds)

  • 전재철;한강완;장병춘;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6-164
    • /
    • 1987
  •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優占雜草)의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수추출물(水抽出物)과 methanol 추출물(抽出物) 및 잡초건조분말(雜草乾燥粉沫)에 의해서 조사(調査)하였다. 2%(w/v) 수추출물(水抽出物)로 가장 큰 발아(發芽) 및 생장억제(生長抑制)를 보인 잡초(雜草)는 무우에 대해서는 쑥, 참깨에 대해서는 쇠비름이었다. 냉이의 2%(w/v) 수추출물(水抽出物)은 두 검정식물(檢定植物) 모두에 대하여 저해효과(沮害效果)가 컸다. 쑥의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무우의 발아(發芽) 및 조묘생장(助苗生長)을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하였다. 참깨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약 90% 이상 저해(沮害)한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쑥, 쇠비름 및 토끼풀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추출용매(抽出溶媒), 잡초초종(雜草草種) 및 검정식물(檢定植物)에 따라 다르며, 이는 잡초종내(雜草種內)에 함유(含有)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에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생장억제효과(生長抑制效果)는 추출물(抽出物)의 pH 및 수분(水分)포텐샬의 차이(差異)에서 기인(基因)되지는 않았다.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와 생장억제(生長抑制)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이 있는 4종(種)의 잡초추출물(雜草抽出物)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증가(增加)와 함께 증대(增大)되었다. 토양(土壤)에 혼화(混和)된 쑥과 쇠비름의 건조분말(乾燥粉沫)은 냉이와 토끼풀보다 무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대하여 더 큰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야간조명이 참깨와 들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 and Perilla)

  • 김충국;서종호;조현숙;김시주;변종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0-85
    • /
    • 2002
  • 야간조명 광도의 변화가 참깨와 들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참깨는 안산깨와 서둔깨, 들깨는 종실용인 옥동들깨와 엽실겸용인 아름들깨를 사용하여 1.0~10.0Lx(5~28 ㎽ m$^{-2}$ , 0.01~0.14 $\mu$㏖ s$^{-1}$ m$^{-2}$ )의 광도로 전 생육기간 동안 밤새조명을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깨 생육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경장과 초삭고는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되었고, 개화 및 성숙기가 지연되었다. 2. 참깨 수량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주당삭수와 등숙율이 감소되어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서둔깨보다 안산개의 감소정도가 컸다. 3. 들깨의 생육은 야간조명시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하였다. 4. 들깨의 개화와 성숙기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야간조명 광도 2Lx 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개화가 21~28일이 지연되었다. 5. 들깨의 수량은 야간광도가 높을수록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 및 천립중이 감소되어 야간조명 광도 2Lx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89~98%가 감소되어 수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 6. 수량과 생육특성과의 상호관계는 참깨와 들깨에서 모두 개화까지의 소요일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참깨의 주당삭수, 등숙율과 들깨의 화방군수, 화방당 립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