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oli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품질 (Growth and Seed Quality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 in Sesame)

  • 김동관;국용인;천상욱;강명화;이주철;김명석;박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43-447
    • /
    • 2002
  •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수량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개화기가 빠른 반면 성숙기가 늦어 생식생장기간이 길었다. 또한 경장과 착삭부위장이 매우 길었다 한편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57%가량 많았다. 2.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6월 8일 파종구가 5월 9일 파종 구에 비해 착삭부위장이 길었다. 그리고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웠다. 또한 착삭 상단부위 등숙율이 높고 착삭 중, 하단부위 천립중이 무거우나 수량은 비슷하였다. 3. 노지 재배에서는 5월 9일 파종구가 6월 8일 파종구에 비해 유효분지수와 주당삭수가 많았다. 그러나 착삭 상, 중단부위의 등숙율이 낮고 천립중이 가벼워 수량은 비슷하였다. 4. 종실의 $L^*$값은 재배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a^*$값은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높았으나 $b^*$값은 노지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파종기간 색차($\Delta E^*{ab}$)는 노지 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수용성 성분인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이 높고, 노지 재배에서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Correlation of Lignan Contents with Protein and Oil Contents in the Seeds of Sesamum indicum L.

  • Lee, Jin-Hwan;Baek, In-Youl;Ko, Jong-Min;Shim, Kang-Bo;Kang, Nam-Suk;Kim, Hyun-Tae;Kang, Churl-Hwan;Park, Keum-Yong;Park, Ki-Hun;Ha, Tae-J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20-27
    • /
    • 2008
  • The contents of lignan, protein, and oil of nine Sesamum indicum cultivar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lignan contents, sesamin 1 and sesamolin 2 were isolated from the ethylacetate extracts of the Suwon cultivar, and the structures were fully characterized by spectral and physical methods. The seeds of nine cultivars were screened for two lignans, which were determined by HPLC using a $C_{18}$ reversed phase column coupled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Suwon cultivar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1: $6.24{\pm}0.04$ and 2: $3.58{\pm}0.01\;mg/g$), whereas Soonheuk displayed the lowest (1: $0.91{\pm}0.01$ and 2: $0.73{\pm}0.01\;mg/g$). The average content ratio of sesamin 1 (3.64 mg/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samolin 2 (2.57 mg/g). The protein content ranged from $21.52{\pm}0.35$ to $31.22{\pm}0.25%$, Suwon containing the highest level and Soonheuk had the lowest. Kwangbaek showed the highest oil level ($49.84{\pm}0.40%$), while Soonheuk exhibited the lowest ($42.52{\pm}0.05%$). Sesamin 1 exhibited a strong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the ABTS ($IC_{50}:\;63.2{\pm}2.4\;{\mu}M$) than i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C_{50}>200\;{\mu}M$).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lignan content is affected by protein and oil contents.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cultivars could be a key factor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 high quality species.

저장중(貯藏中) 참깨의 결합형태별(結合形態別) 지질(脂質) 및 미량성분함량변화(微量成分含量變化) (Changes in Fractionation Pattern of the Sesame Seed Lipid and Minor Components during Storage)

  • 최상도;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55-260
    • /
    • 1983
  • 산가(酸價)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저장(貯藏) 4개월(個月)에서 9개월(個月)까지 뚜렷하게 증가(增加)하였다. 그러나 옥소가(沃素價)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고 또한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았다. steryl ester는 기간(期間)이 길수록 LA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나 DS에서는 감소(減少)하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DS에서는 감소정도(減少程度)가 미약(微弱)하였으나 LA, DA와 LS에서는 감소정도(減少程度)가 컸다. 야-glycerid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LA가 가장 높고 DS와 LS가 가장 낮았다. free fatty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다가 9개월(個月) 이후(以後)는 거의 변화(變化)하지 않았다. phospholipid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밀봉저장(密封貯藏)이 통기저장(通氣貯藏)보다 감소정도(減少程度)가 적었다. 유리(遊離) sesamol은 총지방량(總脂肪量)의 $0.0021{\sim}0.0058%$이며 모든 저장조건(條件)에서 저장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으나 결합(結合) sesamol과 ssamolin은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다. sesamin은 총지방량(總脂肪量)의 $0.65{\sim}1.18%$로서 저장조건(條件)에 따른 변화(變化)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볶은 참기름의 제조 및 저장 중 토코페롤과 리그난 함량 변화 및 산화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Tocopherols and Lignans and the Oxidative Properties of Roasted Sesame Oil during Manufacturing and Storage)

  • 이진영;김문정;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0
    • /
    • 2008
  • 볶은 참기름의 제조공정 단계에 따른 산화방지제의 함량 및 산화특성 변화를 볶은 참깨를 압착한 압착유, 1차 여과유, 2차 및 3차 여과유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제품유인 3차 여과유를 $25^{\circ}C$에서 어두운 곳에서 18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산화안정성과 산화방지제 함량을 평가하였다. 제조공정에 따른 참기름의 점도는 1, 2, 3차 여과과정에 의해 감소하였고, 유리지방산값은 증가하였으나 과산화물값은 변화가 없었다. 참기름의 세사민, 세사몰린 및 토코페롤 함량은 3차 여과유에서 높았으나 3차 여과유의 세사몰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제품유를 $25^{\circ}C$ 어두운 곳에서 저장하는 동안 유리지방산값과 과산화물값은 각각 저장 3개월, 9개월 이후 증가하였으나, 그 값은 매우 낮았다. 세사몰, 세사민, 세사몰린 및 토코페롤은 제품유를 $25^{\circ}C$ 어두운 곳에서 저장하는 18개월동안 분해되었으며 리그난 화합물이 토코페롤에 비해 안정하였다. 볶은 참기름에 존재하는 리그난 화합물과 토코페롤 중 세사몰과 ${\alpha}$-토코페롤이 참기름의 저장 중 산화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흑참깨분으로 착유한 참기름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 남미진;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45
    • /
    • 2008
  • 흑참깨분 참기름과 흰참깨분 참기름 및 흰통참깨로 제조한 상업용 참기름의 산화유도기간, 과산화물가,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각 참기름의 산화안전성을 비교하였다. 흑참깨분 참기름의 산화 유도기간은 평균 12.25시간으로 흰참깨분 참기름의 4.37시간에 비하여 2.8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참기름은 9.1시간이었다. 저장 12일 후 과산화물가를 비교해 보면 흑참깨분 참기름이 1.3 meq/kg oil, 흰참깨분 참기름이 18.2 meq/kg oil, 상업용 참기름이 1.7 meq/kg oi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공여능은 흑참깨분 참기름이 각 사용 농도 별로 흰참깨분 참기름에 비해 평균 9%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동일한 조건에서 흑참깨분 참기름의 산화안전성이 흰참깨분 참기름이나 상업용 참기름에 비해서도 대등하거나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흑참깨분 참기름에는 기존의 참기름에 함유된 sesamol 및 sesamolin과 같은 리그난류 뿐 만 아니라 흰참깨분 참기름에는 들어 있지 않은 적갈색 탄닌계 색소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볶음온도에 따른 참기름의 항산화성분 변화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esame Oils with Roasting Temperature)

  • 김현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6-251
    • /
    • 2000
  • 볶음온도$(110^{\circ}C{\sim}230^{\circ}C)$에 따른 항산화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170^{\circ}C$ 이상에서 백색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리그난변화에 있어서는 검출된 7종의 lignan들은 $170^{\circ}C$까지의 온도변화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sesamolin은 $170^{\circ}C$ 이후 급격히 감소되었고, sesamin은 약간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sesamol, unknown1, unknown3은 $170^{\circ}C$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코페롤 함량변화에 있어서는 ${\gamma}$체만이 검출되었으며, 미가열참깨의 경우 70.59mg%, 온도상승에 따라 $170^{\circ}C$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190^{\circ}C$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20^{\circ}C$에서는 33.87mg%이었고, $230^{\circ}C$에서는 26.73mg% 이었다. 산화안정성에 있어서는 미가열참깨의 경우 유도기간이 4.12hr로 가장 낮았고, 볶음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다가 $170^{\circ}C$ 이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화안정성과 백색도의 상관계수는 -0.993, $170^{\circ}C$ 이상에서 산화안정성과 sesamol의 상관계수는 0.934이었다. 따라서, 볶음온도에 따른 이러한 산화안정성의 현저한 증가는 sesamol, unknown1, unknown3 등 리그난의 증가에서 비롯됨을 알수 있었다.

  • PDF

Active Phytochemicals of Indian Spices Target Leading Proteins Involved in Breast Cancer: An in Silico Study

  • Ashok Kumar Krishnakumar;Jayanthi Malaiyandi;Pavatharani Muralidharan;Arvind Rehalia;Anami Ahuja;Vidhya Duraisamy;Usha Agrawal;Anjani Kumar Singh;Himanshu Narayan, Singh;Vishnu Swarup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51-159
    • /
    • 2024
  • Indian spices are well known for their numerous health benefits, flavour, taste, and colour. Recent Advancements in chemical technology have led to better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active molecules (phytochemicals) from spic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spices against diabetes, cardiac problems, and various cancers has been well established. The present in silico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inding affinity of 29 phytochemicals from 11 Indian spices with two prominent proteins, BCL3 and CXCL10 involved in invasiveness and bone metastasis of breast cancer.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29 phytochemicals were extracted from PubChem database. Protein Data Bank was used to retrieve the 3D structures of BCL3 and CXCL10 proteins. The drug-likeness and other properties of compounds were analysed by ADME and Lipinski rule of five (RO5). All computation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utodock 4.0 on Windows platform. The proteins were set to be rigid and compounds were kept free to rotate. In-silico study demonstrated a strong complex formation (positive binding constants and negative binding energy ΔG) between all phytochemicals and target proteins. However, piperine and sesamolin demonstrated high binding constants with BCL3 (50.681 × 103 mol-1, 137.76 × 103 mol-1) and CXCL10 (98.71 × 103 mol-1, 861.7 × 103 mol-1), respectively. The potential of these two phytochemicals as a drug candidate was highlighted by their binding energy of -6.5 kcal mol-1, -7.1 kcal mol-1 with BCL3 and -6.9 kcal mol-1, -8.2 kcal mol-1 with CXCL10,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ir favourable drug likeliness and pharmacokinetics properti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piperine and sesamolin as drug candidates for inhibiting invasiveness and regulating breast cancer metastasis. However, further validation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 silico results and evaluate their clinical potential.

산지가 다른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Properties of White Sesame Produced from Different Origin)

  • Kang, Myung-Hwa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8-354
    • /
    • 2004
  • 중국, 수단, 인도 및 파키스탄에서 생산된 참깨(각 10종)의 조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세사민, 세사몰린 및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여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참깨의 조지방 함량은 파키스탄산 42.47 %, 중국산 38.95%, 인도산 34.96% 및 수단산 33.93%로 파키스탄산이 가장 높았으나 지역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사민 함량은 중국산 634.75 mg/100 g seed, 수단산 630.66 mg/100 g seed, 인도산 381.55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401.00 mg/100 g seed으로 중국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사몰린 함량은 중국산 218.99 mg/100 g seed, 수단산 234.49 mg/100 g seed, 인도산 (185.64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127.04 mg/100 g seed)으로 지역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은 중국산 321.40 mg/100 g seed, 수단산 218.99 mg/100 g seed, 인도산 505.04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342.87 mg/100 g seed로 인도산이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참깨 핵산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인도산의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파키스탄산 및 중국산순 이었다. 이상의 결과 지역별 참깨 품질 특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특히 최근에 기능성 성분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및 세사미놀 배당체는 지역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참기름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Sesame Oi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경수;허우덕;남영중;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8-352
    • /
    • 1984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를 이용하여 참기름에 이행된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을 측정하고 배소공정중 이들 성분의 안정성, 저장중의 함량변화등을 분석하여 참기름품질평가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참기름중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두성분 모두 국내산 참깨보다 수입산 참깨의 함량이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참기름 가공을 위한 배소공정중 상당량의 세사몰린이 감소되었으나 세사민의 안정성은 매우 높았고 착유방법별 뚜렷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참기름 저장중에도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로 세사민을 품질평가의 지표로 삼았고 내부표준물질로 첨가된 안트론의 양에 대한 상대값으로 참기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 Shim, Kang-Bo;Hwang, Jung-Dong;Pae, Suk-Bok;Lee, Myoung-Hee;Ha, Tae-Joung;Park, Chang-Hwan;Park, Keum-Yong;Son, Jeong-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5-199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um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We also compared major components in sesame seed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 The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e also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Grain yield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sowing dates. In general, sesame sowing on June 30th showed higher grain yields than July 10th, July 20th and July 30th in the greenhouse. We also found out sesame cultivation practice with the row spacing of 40 cm and interplant spacing of 30 cm (a few branch type) or 40 cm (many branch type) showed high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in main stem when thousand seed weight and grain yield were highest. In the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at the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sesame seed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contained 4% much more oil content than open field condition. The lignan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also higher by 6% in the greenhouse than open field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guaranteed higher grain yield with less labor input which is now emerging alternative farming practice system in present aging rural society and will also give sesame cultivation farmers to increase net incom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