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i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8초

참깨 초형별 등숙에 따른 항산화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Contents during Grain Filling in Different Plant Types of Sesame)

  • 류수노;이정일;최창열;강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3-30
    • /
    • 1993
  • 참깨 종실의 등숙진전에 따라 항산화성분, 함유률 및 천입중을 조사분석하므로써 품질향상을 위한 신품종육성과 재배기술 개선에 기초정보로 이용하고자 무분기형 단백깨와 수원깨, 분기형 안산깨와 한성깨를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기형 참깨는 sesamin 함량, sesamolin 함량이 축적시기가 개화후 10일경부터 무분기형 참깨는 개화후 20일경부터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여 분기형의 참깨에서 축적시기가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후 43일 이후에는 약간의 함량감소를 보였다. 2. 참깨 과성에 따라 sesamin 함량은 3과정 참깨에서는 개화후 10일부터 40일까지 완만한 함량증가를 보인반면 1과성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30일까지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였으며 sesamolin 함량은 3과정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50일까지 완만한 함량증가를 보인반면 1과정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30일까지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여 1과성 참깨에서 축적시기가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Sesamin 함량, sesamolin 함량, 함유률, 천입중의 급격한 증가시기는 개화후 20일에서 40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여 이 시기가 동화저장양분이 종실로 전환하는 시기일 것으로 생각된다. 4. 2차 회귀방정식에 의해 최대에 달하는 시기는 Sesamin 함량 43일, sesamolin 함량 45일, 함유률 47일, 천입중이 48일로 추정되었다. 5. 따라서 참깨의 유질이 가장 우수한 생리적 성숙기는 개화후 43일에서 48일 사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물전환된 참깨 발효물의 Lignan 화합물의 분석법 검증 (Method Validation for Determination of Lignan Content in Fermented Sesame by Bioconversion)

  • 정태동;김재민;최선일;최승현;조봉연;이진하;이상종;박선주;허인영;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46-6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참깨의 lignan 화합물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표준용액 sesamol, sesamin, sesamolin과 참깨 비발효물 및 발효물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의 경우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검량선은 모두 0.9999로 1에 가까운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참깨 비발효물의 lignan 함량 측정 결과, intra-day에서 2.67 mg/g 및 inter-day에서 2.42 mg/g으로 나타났으며, sesamolin은 intra-day에서 3.77 mg/g 및 inter-day에서 3.37 mg/g을 나타내었다. 참깨 발효물의 sesamin 함량은 intra, inter-day에서 각각 2.97 mg/g, 2.75 mg/g을 보였으며, sesamolin은 intra-day 4.23 mg/g, inter-day 3.92 mg/g으로 나타났다. 일내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의 경우 0.25~0.43%로 나타났으며 참깨 발효물은 0.47~0.69%를 나타냈다. 일간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은 RSD 0.27~0.64%의 정밀도를 보였으며 참깨 발효물은 1.34~1.94%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모두 RSD 5%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samol은 98.43~110.72%, sesamin은 106.45~115.10%, sesamolin은 99.18~112.05%의 범위의 우수한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sesamol $0.34{\mu}g/g$, sesamin $0.26{\mu}g/g$, sesamolin $0.23{\mu}g/g$으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각각 $1.03{\mu}g/g$, $0.78{\mu}g/g$, $0.70{\mu}g/g$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기름의 옥배유 혼합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Mixed with Corn Oil)

  • 서정희;정윤희;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8
    • /
    • 1998
  • 참기름의 이종기름 함유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한 시료와 중국산 참기름에 대하여 지방산, sesamolin 및 sesamin 함량 , AOM에 의한 유도기간을 각각 조사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 acid는 옥배유를 20% 이상 혼입한 참기름에서 국내산 참기름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는 10%의 혼입시에도 미양하나마 함량의 차이를 보였다.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linoleic 비율은 옥배유의 혼입된 함량과 비례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이종기름으로 옥배유를 30% 혼합시에는 sesamolin이 18.3%, sesamin이 21.1% 감소하였다. AOM에 의한 유도 기간은 중국산, 옥배유 20% 혼입 참기름 , 40% 혼입 참기름에서 8.14~9.24 시간 범위였고, 국내산 참기름은 약 16시간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이종기름의 혼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는 참깨유의 stearic/linoleic 비율, sesamolin 과 sesamin의 함량 및 AOM에 의한 유도기간 측정 등이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근적외선분광(NIRS)을 이용한 참깨의 lignan 함량 비파괴 분석 방법 확립 (Establishment of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for Lignan Content in Sesame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정은;김성업;이명희;김정인;오은영;김상우;김민영;박재은;조광수;오기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61-66
    • /
    • 2022
  • 본 연구는 참깨에 함유된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NIRS 분석을 이용해 검량식을 작성하고 검량식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검량식 작성에 사용된 482점 참깨의 HPLC 분석 결과를 NIRS 스펙트럼에 적용시킨 후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R2 값은 각각 0.936, 0.875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cross validation 한 결과에서도 각각 0.899, 0.781로 조사되어 리그난 함량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작성된 검량식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20년에 생산된 참깨 유전자원 90종의 종자를 NIRS를 통해 분석한 결과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R2값이 각각 0.653, 0.596으로 크게 낮아졌으나 리그난 함량이 높은 상위 30%의 자원을 선발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작성된 NIRS 검량식은 육종 초기에 고리그난 함량을 선발하는데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Activity of Lignan Compounds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on the Oxidation of Sunflower Oil

  • Lee, Jin-Young;Kim, Moon-Jung;Choe, Eun-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81-987
    • /
    • 2007
  • Effects of lignan compounds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on the autoxidation at $60^{\circ}C$ for 7 days and thermal oxidation at $180^{\circ}C$ for 10 hr of sunflower oil were studied by determining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s, p-anisidine values (PAV), and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of lignan compounds during the oxidations were also monitored. ${\alpha}$-Tocopherol was used as a reference antioxidant. Addition of lignan compounds decreased CDA contents and PAY of the oils during oxidation at $60^{\circ}C$ or heating at $180^{\circ}C$, which indicated that sesame oil lignans lowered the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of sunflower oil. Sesamol wa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CDA formation and hydroperoxide decomposition in the auto- and thermo-oxidation of oil,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added to sunflower oil were degraded during the oxidations of oils, with the fastest degradation of sesamol. Degradation of sesamin and sesamolin during the oxidations of the oil were low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Th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the oxidative stability of sunflower oil can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sesamol, sesamin, or sesamolin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백모오가피로부터 분리된 트리터페노이드 및 리그난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riterpenoids and Lignans from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 김지연;양기숙
    • 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6-240
    • /
    • 2004
  • Acanthopanax species (Araliaceae) traditionally has been used as analgesics, stimulant of immune system, and replenishment of body functions.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is indigenous plant to Korea.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from A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were determin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ssay on human plasma low-density lipoprotein (LDL). The triterpenoid and lignan constituents from this plant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lignan, l-sesamin exhibit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Cu$^{2+}$ -induced LDL oxidation.n.

참오동나무 줄기의 성분 연구 (The Constituents of Paulownia tomentosa Stem)

  • 박유미;장성기;김연수;김박광
    • 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1-307
    • /
    • 1991
  • A benzofuran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Pauownia tomentosa stem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against gonorrhoea and contusion etc. in the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Its structure was elucidated as methyl-5-hydroxy-[1, 4]naphthoquino-[2, 3-b]benzo-[I, 2-g] benzofuran-6-carboxylate by X-ray crystallography and various spectroscopic evidences and also other three known compounds, paulownin, sesamin, $\beta$-sitosteryl-3-O-$\beta$-D-glucopyranoside, were obtained.

  • PDF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Lee, Sanghyun;Kim, Bak-Kwang;Cho, Seon-Haeng;Shin, Kuk-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80-284
    • /
    • 2002
  •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sesamin, scoparone, protocatechuic acid, ursolic acid, hyperin and 5-hydroxymethylfurfural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Among them, scoparone, ursolic acid and 5-hydroxymethylfurfural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Acanthopanax species.

좀가시 오갈피나무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Bark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ma intermis)

  • 육창수;김선창;김창종;한덕룡
    • 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47-153
    • /
    • 1991
  • Chemical constituents of fruits, leaves and bark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ma inermis were studied. Their fruits have higher contents of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fructose and glucose than those of other Acanthopanax species, and contained larger amount of glutamic acid and malic acid among amino acid and organic acid, respectively. The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ir barks and leaves, were $\beta$-sitosterol and stigmasterol, sesamin, savinin, syringaresinol diglucoside, oleanolic acid, chiisanoside and polyacetytene ($C_9H_{10}O_2$, mp. 62~6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