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Gu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Encapsulating Nitrate in Sesame Gum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 Mamvura, Chiedza Isabel;Cho, Sangbuem;Mbiriri, David Tinotenda;Lee, Hong-Gu;Choi, Nag-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577-1583
    • /
    • 2014
  • Encapsulation is a method used to protect material from certain undesirable environments, for controlled release at a more favorable time and place. Animal productivity would be enhanced if feed additives are delivered to be utilized at their site of action, bypassing the rumen where they are likely to be degraded by microbial action. A novel method of encapsulation with sesame gum was used to coat nitrate, a known enteric methane mitigating agent, and tested for the effect on methane reduction and other in vitro fermentation parameters using rumen fluid from cannulated Hanwoo steers. Orchard grass was used as basal diet for fermentation. The treatments were matrix (1.1 g sesame gum+0.4 g sesame oil cake) only, encapsulated nitrate (matrix+nitrate [21 mM]), free nitrate (21 mM), and a control that contained no additive. Analyses of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done at 0, 3, 6, 9, 12, 24, and 48 h time periods. In comparison to control, both free and encapsulated nitrate produced significantly reduced (p<0.01) methane (76% less) and also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reduced. A significantly higher (p<0.01)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ogen was obtained with the encapsulated nitrate treatment (44%) compared to the free form (28%) and matrix only (20%) (p = 0.014). This might suggest slow release of encapsulated nitrate so that it is fully reduced to ammonia. Thus, this pioneering study fou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methane production following the use of sesame gum encapsulated nitrate that shows the potential of a controlled release system in enhancing sustainability of ruminant production while reducing/eliminating the risk of nitrite toxicity.

Fluidized bed granulation을 이용한 참기름의 저온 미세캡슐화 (Low-Temperature Microencapsulation of Sesame Oil Us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 정찬민;이민경;이현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1
    • /
    • 2009
  • 식품의 원료인 참기름을 캡슐화하기 위해 전보(11)에서 최적화한 model system을 기초로 피복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3%의 gellan gum을 첨가한 후 유화압력을 20.7 MPa로 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공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화 수율, surface oil, 수분함량, 입자 크기, 캡슐의 저장 안정성 및 제품 응용성을 비교하였다.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top spray dryer에 의한 캡슐보다 상대적으로 surface oil 함량이 낮고 수율이 높으며 입자 크기가 컸다. 제조한 캡슐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flavor retention을 측정한 결과 참기름 원료 자체를 저장한 경우 향기 성분은 1% 이하의 잔존 함량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향기 성분이 소실되었다고 보았으나,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각각 37%, 42%의 향기성분을 보유하여 향기 성분 포집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쇠고기 죽 제품에 응용한 후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참기름 캡슐을 사용한 제품들이 모두 참기름 원료 자체를 사용한 제품보다 풍미의 강도 및 기호도면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을 사용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참기름 원료와 같이 향기 성분이 소실 되기 쉬운 소재를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저온 미세 캡슐화하면 풍미의 안정성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기름 첨가에 의한 어유 보강 에멀젼의 클로로필에 의한 광산화 개선 효과와 산화 방지제 함량 변화 (Improvement of Chlorophyll-photosensitized Oxidation of Fish Oil-enriched Emulsion by Sesame Oil Addition and Antioxidant Content Changes)

  • 안소진;이 에드월드;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4
  • 참치유 보강 에멀젼에 첨가된 참기름은 클로로필의 존재 하에 $25^{\circ}C$, 1,700 lux의 빛에서 에멀젼 유지의 광산화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참기름의 첨가는 에멀젼의 광산화 중 산성 조건에서 클로로필로부터 전환된 페오피틴의 분해속도를 낮추어 일중항산소 생성이 많았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일중항산소와 라디칼 소거능을 가진 인지방질, 토코페롤, 폴리페놀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참치유 보강 에멀젼 유지의 산화안정성을 개선하였으며 인지방질,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리그난 화합물은 에멀젼의 광산화 중 변화를 보이지 않아 물리적 기전에 의한 일중항산소 소거 작용을 암시하였다.

N Use Efficiency and Nitrate Leaching by Fertilization Level and Film Mulching in Sesame Cultivated Upland

  • Lee, Dong-Wook;Park, Ki-Do;Park, Chang-Young;Son, Il-Soo;Kang, Ui-Gum;Ko, Jee-Yeon;Shim, Kang-Bo;Cho, Young-Son;Park, Sung-T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96-30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s (SRF),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latex coated urea (LCU), on nitrogen (N) use efficiency (NUE) and nitrate-N leaching in a silty clay loam soil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PFM) for sesame cultivation. In PFM plot, concentrations of $NO_3-N$ and $NH_4-N$ in SRF applied soils were less than that in the urea plot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However, $NO_3-N$ and $NH_4-N$ in all the non-mulched plots (N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rea-N in soil treated with SRF was higher than urea plot until 50 days after application and was comparable in all the treatments after 50 days. $NO_3-N$ concentrations in leached solution in 21 days after urea fertilization in PFM and NM were 26 mg $L^{-1}$ and 83 mg $L^{-1}$, respectively. However, $NO_3-N$ in leached solution at applied CDU and LCU was less than that of urea similar to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NO_3-N$ in leached solution in applied CDU and LCU in 44 days after application was about 25% lower than that urea plot and PFM, while the $NO_3-N$ concentration of CDU and LCU treatment in NM did not changed. Application of SRF increased the yield of sesame and N recovery compared to urea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SRF and N levels.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80% N level with SRF increased N recovery and reduced nitrate leaching without reduction of yields compared with urea application.

고령자 영양 보충을 위한 흑임자 음료 개발 및 품질특성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verages containing black sesame for nutritional supplementation in the elderly)

  • 이재은;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8-84
    • /
    • 2021
  • 한 끼에 필요 열량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고령자들의 영양보충을 위해 로스팅 시간을 0, 10, 15, 20분으로 달리하여 준비한 흑임자를 포함하여 한 끼 권장 영양의 1/2에 해당하도록 영양균형을 맞춘 음료를 개발하고 흑임자의 볶은 정도가 음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였다. 흑임자의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개발한 음료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흑임자의 항산화성분인 리그난의 함량은 로스팅하지 않은 대조군부터 15분 로스팅한 시료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20분 로스팅한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20분 로스팅한 시료에서 감소함을 보여 흑임자의 항산화특성은 리그난 함량에 우선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관능 특성은 로스팅한 시료첨가군이 대조군이나 로스팅하지 않은 흑임자 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10분과 15분 로스팅한 시료를 첨가한 음료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15분간 로스팅한 흑임자를 첨가하여 개발한 음료의 경우 리그난과 총 폴리페놀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아 항산화기능을 부여하면서 관능 특성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용 영양보충 음료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Word Retrieval Performance in Aphasics

  • Jeong, Ok-Ran;Lee, Young-Mi
    •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65-75
    • /
    • 2000
  •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word retrieval deficit in Korean aphasics. Eleven nonfluent and 9 fluent aphasic patients served as subjects. The 20 subjects' age ranged from 14 to 65 with the mean of 43.0 (SD: 17.6). A neurologist examined them and diagnosed that they had no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impairment. The study consisted of 2 experiments: Experiment I included visual stimulation while experiment II included visual and olfactory stimulation. The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19 pictures for them to name in the experiment I, whereas they were exposed to the 19 pictures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olfactory stimulus in the experiment II. The 19 items included soy sauce, chilly pepper, Kimchi, chewing gum, cigarette (smoked), soybean paste, lemon, banana, alcohol (wine), apple, fish, vinegar, cuttlefish (dried), milk, rose, sesame oil, melon, coffee, and perfu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lfactory stimulation tended to improve aphasics' word retrieval deficit although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nonfluent aphasics seemed to take more advantage from olfactory stimulation compared to the fluent aphasics. Third, olfactory stimulation (olfactory + visual) did not produce a different naming performance compared to visual stimulation in the pre- and post-test when the pre- and post-test was composed of naming tasks through auditory + visual stimulation. Fourth, the fluent aphasics performed better with unpleasant olfactory stimulus while the nonfluent aphasics performed better with pleasant olfactory stimulus.

  • PDF

코로나19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여성호르몬이 강화된 캐나다산 식이 보충제의 동향 (Trends in Canadian Dietary Supplements Enhanced with Female Hormone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 심윤영;뤠니 제이 티 마틴;이학성;김혜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22
  • As one of the post-COVID-19 response strategies, representative processed products derived from the natural plant material flaxseed and a dietary supplement fortified with female hormones (estrogens) were developed in Canada, an eco-friendly country was introduced. These products were: 1) flaxseed oil to help maintain cognitive and immune function, 2) Lignan50, a substance with effects similar to estrogen, a female hormone, 3) XanFlax, a thickener for confectionery/baking and egg substitute, 4) MediFlax, a constipation reliever, 5) SesaFlax, which has a fragrance similar to sesame, 6) Linusorb, which is effective for its pharmaceutical anti-inflammatory/anti-oxidation and anti-aging properties, and 7) LinuLyte, a water/electrolyte supplement containing high dietary fiber. It is expected that these dietary products will help maintain and promote health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초등학교 아동의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Intakes on Dental Caries in Primary School Students)

  • 박경숙;서은숙;신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2
    • /
    • 1999
  • 초등학교 아동 211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 대상자의 65.4%가 치아우식 아동이었고, 간식은 전체 아동의 83.9%가 섭취하였으며, 간식을 하는 아동의 치아 우식율이 간식을 하지 않는 아동의 우식율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2. 1일 양치질 횟수는 전체의 38.4%가 1회, 61.6%가 2회 이상이었으며, 양치횟수 2회 이상인 아동과 식사후에 양치하는 아동에서 치아 우식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3. 주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음식은 양호한 아동이 밥33.30%, 라면 14.81%, 빵 9.57%, 떡 6.16%, 국수 4.88%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밥 27.04%, 떡 12.04%, 라면 8.50%, 빵 8.11%, 볶음밥 5.49% 순이었다. 4. 부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음식은 양호한 아동이 김치가 13.88%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계란 6.21%, 김 5.51%, 어묵 5.51%, 생선 5.03%순이었으며, 콩자반이 0.44%로서 가장 낮았다. 치아우식인 아동은 감자국이 6.86%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오이 6.56%, 콩나물국 5.78%, 두부 5.33%, 깻잎 5.21% 순이었고, 상치가 1.23%로서 가장 낮았다. 5. 간식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에서 아이스크림이 9.85%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비스킷 7.35%, 껌6.17%, 밤 6.16%, 사과 5.81%, 우유 5.56%, 요구르트4.86%, 어포 4.39%, 사탕 4.15%, 초콜릿 3.91% 순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에서는 비스킷이 10.00%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아이스크림 6.75%, 사탕5.88%, 과일통조림 5.70%, 우유 5.41%, 옥수수 5.00%, 바나나 5.00%, 땅콩 4.42%, 튀김 4.39% 순이었다. 6. 부식의 우식성식품ㆍ청정식품ㆍ보호식품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이 각각 4.0%, 40.8%, 55.1%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11.5%, 43.9%, 보호식품 44.6%로서 치아우식인 아동이 양호한 아동보다 우식성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반면에 보호식품을 적게 섭취하였다.(p<0.001). 7.간식의 우식성식품ㆍ청정식품ㆍ보호식품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이 각각 67.8%, 10.4%, 21.7%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75.3%, 8.8%, 15.9%로서 치아우식 아동의 우식성식품 섭취율이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들의 부식에서는 청정식품과 보호식품의 섭취율이 우식성식품보다 높았으나 간식에서 우식성식품의 섭취율이 청정식품과 보호식품보다 2∼3배나 높아 간식으로 인한 치아우식의 문제가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치아우식 아동이 양호한 아동보다 부식과 간식에서 치아우식 유발지수가 높은 우식성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식이조절법으로 치아우식 유발지수가 낮고 당질 함량이 적은 식품과 채소류나 과실류 등의 청정식품 및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보호식품을 많이 섭취하도록 권장하여야 하며, 한정되어 있는 간식을 다양하고 균형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