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innovation

검색결과 1,327건 처리시간 0.026초

서비스혁신 연구 동향: 국내 및 해외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A Review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 유현선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4권4호
    • /
    • pp.577-610
    • /
    • 2014
  • Although service innovation is not a new concept, innovation research in general tends to focu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by manufacturing firms. With this view, innovation studies focus on product(e.g., goods) and process(e.g., product systems) innovation, ignoring service innovation and its inherent opportunities. Since major economy has been transformed to service economy, service innovation is considered a new effective way to sustain and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Service innovation is no longer regarded merely as a side activity to product innovation; it has become a main research topic in its own right, accompanied by an increasing focus on services. While the number of service innovation stud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ast 30 years in international research,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domestic studies because domestic service innovation research began from the middle of 2000. In addition, there are no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s describing the evolution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in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because of the heterogeneities of service industry and multidiscipline characteristics of service innovation studies. To bridge this research ga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to enable a critical review of extant research on service innovation and trace its evolution, which will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By reviewing 169 articles (136 international papers; 33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4 (in past 15 years), primarily in leading service, innov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journals, this study analyzes the progression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according to the four aspects such as number of studies, topics, methodologies and target industries. Overall, the view of service innovation has evolved, from a complement of traditional product innovation to a multidimensional, all-encompassing concept that entails several function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firms. The results showed that domestic research still stays at the formation phase of service innovation studies although international research is in the maturity or multidimensional phase. We found increasing recent activities pertaining to service innovation, resulting from the increasing interest in services innovation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the links of new topics to the service innovation concept in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However, the main focus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showed a different propensity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the former mainly focuses on a much more diversified pattern, emphasizing the linkages between service innovation and business strategy while the latter mainly focuses on the service innovation process(system) and service design.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 studies in domestic studies while many empirical studies in international studies. Domestic studies should increases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between service innovation and product innovation within manufacturing firms. Furthermore, rather than focusing on intrinsic distinctions between service innovation and product innovation, researchers should strive to develop and conceptualize service innovation in domestics studies. The present research also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by performing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econd, tracing and comparing the progression and trends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this study sho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hich provide practical guidance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research agenda. Third,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establishing the analysis system in the initial stage and using them to analyze articles, which is leading to explain the research review of service innovation more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omestic researchers their future interests and topics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혁신목적과 혁신전략이 서비스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aims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strategy as the determinants of firm performance in the service sector)

  • 박다현;박상욱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3-377
    • /
    • 2010
  •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sector has been highlighted recently, service innovation remain under-researched by scholars. Innovation research based on manufacturing sector suggests that innovation strategy varie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innovation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firm performance. To investigate the path that links the objectives of innovation, innovation strategy used an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develops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innovation from the literature and tes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using STEPI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data. We could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both between the objectives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strategy and between innovation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in service as in manufacturing, but we also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for the service industry, in particular,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ms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strategy used,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for manufacturing.

한국 ICT서비스산업의 개방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n Determinant Affecting Open Innovation of Korean ICT Service Industry : Focusing on Network Service)

  • 김응도;김홍범;배기수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175-192
    • /
    • 2015
  • Due to the emergence of open innovation driven by development of network service technologies and convergence in ICT service industry, It is necessary for ICT service firms to examine their capabilities for open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examine determinants affecting open innovation in Korean ICT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is paper uses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based on survey data of Korean ICT service firm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external network for collaboration is positive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regardless of the innovation type. Specifically, user networks are significant in all types of technology innovation, revealing that it is important to innovation activities of the ICT service firms.

기술이 서비스 혁신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지식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echnology on Service Innov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Korean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Service Firms)

  • 유현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67
    • /
    • 2016
  • 서비스와 기술 간 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서비스 분야에서 기술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많은 연구에서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이 무엇이고 어떻게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진행 중에 있다. 기존 문헌에서는 서비스 혁신 성공과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 대해 다양한 역할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명확한 역할에 대해 이론적으로 실증적으로 명확하게 규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기업이 기술을 활용을 통해 성공적으로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서비스 혁신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며,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 성과 간의 인과 관계를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한다: 2)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를 통해 4개의 서비스 혁신 지향성(예,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 그리고 기술)을 도출하고, 국내의 193개의 지식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 성과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술 지향성은 서비스 창출 지향성과 서비스 전달 지향성에는 선행자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객 상호작용 지향성에는 촉진자로서 상호작용하여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지향성에 선행적으로 그리고 조절적으로 영향을 받은 모든 서비스 혁신 활동은 기업 성과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전략과 서비스혁신 전략의 전략적 적합성에 대한 연구: 실증적 검증과 기업성과의 의미 (The Strategic Alignment between Service Innovation Strategy and Business Strategy: The Empirical Investigation and Implications for Firm Performance)

  • 유현선;이재남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3-137
    • /
    • 2012
  • Since service innovation is considered as a new way to gain an advantage in a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it is imperative for companies to align their service innovation strategy with their business strategy in order to achieve better firm performance. Accordingly, a critical challenge facing firms is how to effectively organize and manage a well-planned service innovation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ir business strategy. Firms with a good fit between business strategy (i.e., cost leadership, innovative differentiation, and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and service innovation strategy (service creation-focused, service delivery-focused, and client interface-focused strategies) are expected to have better firm performance than those without such a fit. Based on empirical data from 209 service firm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first to investigate whether a certain service innovation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others within a particular business strategy. We then examine whether their effective alignment positively affects firm performance. The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the alignment of service innovation strategy with business strategy significantly influences firm performance. The adoption of service innovation strateg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irm performance with innovative differentiation and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effects with cost leadership strategy. Lastly, we discuss our study'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 PDF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Service Sector)

  • 강영모;조찬우;이성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59-581
    • /
    • 2013
  • 지난 수년간 서비스 산업은 빠르게 성장해 왔으며, 현재도 그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 때문에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및 혁신활동이 국가경제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분야에서의 혁신과 관련된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진 것과 달리, 서비스 산업에서의 혁신 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특히, 서비스 혁신은 서비스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 서비스업 분야 데이터를 활용한다. 둘째, 서비스의 고객화 정도와 설비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서비스의 유형화를 수행한다. 셋째, 각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을 혁신활동의 투입, 프로세스, 산출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연구 결과, 각 서비스 유형은 고유의 혁신활동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비스 유형의 특성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분야에서의 혁신활동에 대한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서비스혁신 전략과 비즈니스 전략 간 연계와 정보기술 역량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How Should Service Innovation Strategy be Aligned with Business Strategy?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T Capability)

  • 유현선;이재남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5-229
    • /
    • 2015
  • Service innovation is considered a new way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enhance firm performance. However, service innovation does not always guarantee the desired outcome. The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well-planned service innovation practice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firm's business environment, become a critical challenge for service innovation success. In additio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apability in service innovations. Most studies on service innovation have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the strategic alignment and IT capability separately. In contrast, the current study combines them by investigating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IT capability on the alignment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ervice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83 service firms in Korea, we first explore the effect of service innovation strategies when coupled with different business strategies on better firm performance. We then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T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alignments and firm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alignment and IT capability on firm performance exists. Firms that have aligned service innovation strategy with business strategy should consider improving their organizational IT capability to ensure substantial leverage.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을 활용한 서비스 혁신 패턴 연구 (Investigating Service Innovation Patterns: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유현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54
    • /
    • 2017
  • 서비스와 기술 간 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서비스 혁신 활동을 간명하게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직관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패턴분류체계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의 상호연관 되고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서비스 혁신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4개의 서비스 혁신 차원(i.e.,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 그리고 기술)과 서비스 혁신 환경(기업 규모) 등 5개의 원인 변수들을 도출하고 기업 성과(매출성장률)를 결과 변수로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국내의 198개의 지식 서비스 기업들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높은 기업 성과를 보이는 4개의 서비스 혁신 패턴과 낮은 기업 성과를 보이는 4개의 서비스 혁신 패턴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 상호작용 혁신은 높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조건이나, 단독으로 수행되기보다 기술 혁신이나 서비스 전달 혁신 활동과 상호작용을 하였을 경우 높은 기업성과를 보였다. 기술 혁신은 비기술 혁신(i.e.,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과 결합하였을 경우 높은 기업성과를 가져오는 서비스 혁신의 핵심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경우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비기술 혁신 활동이 핵심 조건으로 수행되어야만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혁신은 서비스 혁신에서 단독으로 수행될 경우 오히려 낮은 기업성과를 가져왔다. 서비스 창출 혁신과 서비스 전달 혁신은 기술 혁신과 모두 핵심 조건으로 결합되어 수행되었을 때 높은 기업성과를 보였다.

개인적 특성과 점진적 혁신,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및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Modulating Effect of Org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cremental Inno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mental Innovation and Service Quality)

  • 안관영;안병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7-157
    • /
    • 2009
  • This paper is to test the modul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cremental innovation, and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mental innovation and service Quality in service industry. Based on 507 data gathered in service companies in Korea, analysis results and showed that procedural, interactional, and innovative culture have affirmative relation with incremental innovation. Therefore innovative culture appeared to have some modul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cremental innovation. And ana-lysis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incremental innovation and service quality are followed; service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s showed positive effects except some operation innovations.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서비스 지배적 논리와 자원 우위 이론을 중심으로 (Identifying Antecedents of Service Innovation: Based on Service-Dominant Logic and Resource-Advantage Theory)

  • 유현선;한진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79-106
    • /
    • 2016
  • 지난 30년간 서비스 혁신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관점의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지만, 아직까지 학계에서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서비스 혁신에 대한 관점 및 측정방법은 부재한 실정이다. 많은 서비스 혁신 연구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기술 개발 및 제품 혁신 이론에 기반을 두고 서비스 혁신을 이해하려 했다. 기존의 제품 중심의 분석방법론은 서비스 혁신의 비기술적 특성을 간과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접근법으로 서비스 지배적 논리가 있다. 서비스 지배적 논리는 새로운 관점에서 혁신과 혁신의 선행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이다. 또한 서비스 혁신이 기업 경쟁력과 기업성과를 향상 시킨다는 인식은 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혁신에 대한 이론 및 활용에 대한 연구와 이해 부족으로 인해 소수의 기업만이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비스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지배적 논리관점에서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다: 1) 서비스 혁신 선행요인은 서비스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2) 서비스 혁신은 기업의 비재무적 그리고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인적자원 관리 역량, 내부 협업 역량, 마케팅 역량, 정보기술 역량), 서비스 혁신 차원(서비스 창출 혁신, 서비스 전달 혁신, 고객 상호작용 혁신)과 기업성과(비재무적, 재무적)를 가지고 이들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189개의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인적자원 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은 모든 서비스 혁신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부 협업 역량과 정보기술 역량은 서비스 창출 혁신과 서비스 전달 혁신에만 제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상호작용 혁신에는 인력자원 관리 역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서비스 혁신 활동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재무적 성과에는 서비스 전달 혁신과 고객 상호작용 혁신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