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gastri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1초

Luciferase Assay to Screen Tumour-specific Promoters in Lung Cancer

  • Xu, Rong;Guo, Long-Jiang;Xin, Jun;Li, Wen-Mao;Gao, Yan;Zheng, You-Xian;Guo, You-Hong;Lin, Yang-Jun;Xie, Yong-Hua;Wu, Ya-Qing;Xu, Ru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557-6562
    • /
    • 2013
  • Objective: Specific promoters could improve efficiency and ensure the safety of gene therapy. The aim of our study was to screen examples for lung cancer. Methods: The firefly luciferase gene was used as a reporter, and promoters based on serum markers of lung cancer were cloned. The activity and specificity of seven promoters, comprising CEACAM5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GRP (Gastrin-Releasing Peptide), KRT19 (cytokeratin 19, KRT), SFTPB (surfactant protein B, SP-B), SERPINB3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A), SELP (Selectin P, Granule Membrane Protein 140kDa, Antigen CD62, GMP) and DKK1 (Dickkopf-1) promoters were compared in lung cancer cells to obtain cancer-specific examples with strong activity. Results: The CEACAM5, DKK1, GRP, SELP, KRT19, SERPINB3 and SFTPB promoters were cloned. Furthermore, we successfully constructed recombinant vector pGL-CEACAM5 (DKK1, GRP, SELP, KRT19, SERPINB3 and SFTPB) contained the target gene. After cells were transfectedwith recombinant plasmids, we found that the order of promoter activity from high to low was SERPINB3, DKK1, SFTPB, KRT19, CEACAM5, SELP and GRP and the order for promoters regarding specificity and high potential were SERPINB3, DKK1, SELP, SFTPB, CEACAM5, KRT19 and GRP. Conclusion: The approach adopted is feasible to screen for new tumour specific promoters with biomarkers. In addition, the screened lung-specific promoters might have potential for use in lung cancer targeted gene therapy research.

만성 위염에 대한 이중탕(理中湯)의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The Effect of Yijung-tang for Chronic Gastriti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예슬;이영서;김경민;진명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75-70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Yijung-tang to treat chronic gastriti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The search was conducted using keywords such as "gastritis", "Lizhong", "Yijung", and "Chronic gastritis" on July 31, 2023.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outcome measurements, such as total effective rate (TE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mptom score (TSS), gastric hormones, and symptom relief time, using the Review Manager website. Results: A total of 11 RCT studies were selected. The treatment group (Yijung-tang-gagam or Yijung-tang-gagam+Western medicin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s in terms of TER, TSS, serum gastrointestinal hormones (motilin (MTL), gastrin (GAS), and somatostatin (SS)), and symptom relief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stern medicine). TER-RR : 1.20, 95% CI : 1.11 to 1.30, P≤0.00001, RR : 1.21, 95% CI : 1.14 to 1.28, P≤0.00001; MTL-MD : 35.99, 95% CI : 30.79 to 41.20, P≤0.00001); GAS-MD : 103.33, 95% CI : 97.62 to 109.04, P≤0.00001); SS : MD : -37.19, 95% CI : -41.75 to -32.64, P≤0.00001; symptom relief time (nausea)-MD : -1.96, 95% CI : -2.47 to -1.45, P≤0.00001; symptom relief time (colic)-MD : -1.75, 95% CI : -2.31 to -1.18, P≤0.00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Yijung-tang is effective against chronic gastritis.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was insufficient, and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not standardized. Furthermore, because of the low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more clinic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우유투여가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유발 위십이지장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한덕종;김진복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9-180
    • /
    • 1990
  • MNNG 투여에 의한 백서 위십이지장암 발생에 있어서 우유의 영향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키 위해 조직학적 및 혈청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군은 생후 8주 전후의 Sprague-Dawley 백서 136마리로서 일반사료만 준 대조군 20마리(제 1군)와 6% 우유사료만 준 군 20마리(제 2군), MNNG$(100\;{\mu}g/ml)$ 투여군 24마리(제 3군), MNNG 및 6% 우유사료군 24마리(제 4군), MNNG 및 13% 우유사료군 24마리(제 5군), MNNG 및 26% 우유사료군 24마리(제 6군)로 분류한 후 군별에 따라 28주간 발암제 및 우유사료를 투여하고 실험시작 40주째 생존한 109마리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NNG 단독 투여로 실험시작 12주 이후의 성장에 영향을 주었으나(p<0.01) 가역적이었고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2. 위암발생은 대조군, 우유사료군에서 없었고 제 3군 25%, 제 4군 36.8%, 제 5군 27.8%, 제 6군 14.3%로 우유사료군에서 우유농도 증가에 따라 위암발생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제 6군에서는 제 3군보다 암발생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제 4군에서는 제 3군보다 상회하는 발암율을 보였다. 3. 위의 양성병변은 재생성 과증식, 선종성 과증식, 섬유 증식증 등이었고 MNNG 투여 각 우유사료군간의 분포는 우유농도 증가에 따라 위 양성병변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암 수반율이 작은 재생성 과증식 발생군에서 뚜렷하였다. 재생성 과증식군에서의 암 수반율은 22.2%, 선종성 과증식군에서는 57.9%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소장암 발생은 위암에서와 같이 십이지장의 선암이 주이었고 종양 발생 빈도는 3군에서 5%, 4군에서 21.1%, 5군에서 22.2%, 6군에서 9.5%이었으나 발생예수가 작아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혈중가스트린치는 암발생이 많았던 제 4군에서 증가되었고(p<0.01), 양성 위 병변과 관련된 혈중 가스트린치도 제 4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재생성 과증식 수반동물군에서의 가스트린 증가는 유의하였으며(p<0.05), 위암발생군에서도 가스트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이상의 성적을 바탕으로 위암발생은 우유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되며 고농도의 우유사료군에서 발생이 억제되고 있음은 전암성 병변으로부터의 암발생을 억제하려는 우유의 암 발생 지연효과인 것 같다. 저농도 우유사료군에서의 암발생율의 증가는 혈중 가스트린치의 증가가 그 한 요인으로 해석되며 암발생군에서의 가스트린치의 증가와 더불어(p<0.05) 전암성 병변인 재생성 과증식군에서의 가스트린 증가가(p<0.05)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