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otonin (5-H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9초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의 약리학과 임상적용 (The Pharmacology and the Clinical Us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 이민수;김표한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205-217
    • /
    • 1995
  • 1) Paroxetine이 5-HT흡수에 가장 강력하고, 선택적이었으며, 그 다음이 fluvoxamine, sertraline, fluoxetine순이었고, sertraline은 다른 SSRIs와는 달리 NE보다 DA억제작용이 더 강했다. 2) Paroxetine이 muscarinic cholinergic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다소 높았을 뿐, 전반적으로 SSRIs는 histamine $H_1$${\alpha}_1$에 대한 친화력은 약했다. 3) Paroxetine은 ${\beta}$-adrenoceptor와 cyclic AMP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sertraline은 ${\beta}$-adrenoceptor와 cyclic AMP의 감소를 가져왔다. 4) SSRIs의 생체이용율은 대략 50%이었으며, 투약후 2~8시간 사이에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였으며, 특히 sertraline은 음식물과 같이 복용시 혈장의 concentration time curve와 최고 농도를 증가시켰다. 5) Sertraline은 혈중농도가 용량에 비례하였으며, 모든 SSRIs는 비교적 큰 용량분포를 보이고, 높은 비율로 혈장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었다. 6) Fluoxetine 대사물의 5-HT 억제 작용이 제일 강했다. 그러나 paroxetine, fluoxetine, sertraline 대사물은 강도는 서로 다르지만 간의 isoenzyme IID6를 억제하며, 그 중에서 paroxetine의 억제작용이 제일 강력하다. 7) Sertraline은 TCAs나 haloperidol과 병합사용시 TCAs나 haloperidol의 혈중농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MAOI A형인 moclobemide와 비교적 안전하게 병용 치료할 수 있다. 8) SSRIs는 TCAs와 비교해볼 때 치료효과는 유사하였으나 fluvoxamine은 자살사고에, paroxetine은 우울중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운동성 초조증에 효과적이다. 9) 급성 우울증 삽화시 현저한 효과를 보인 후 적어도 4개월 이상의 유지치료기간이 필요하다. 10) SSRIs는 위장관계통의 부작용이 가장 많았고,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분복한 경우가 적었다.

  • PDF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The Effect of Neuroactive Compounds on Settlement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ediveliger Larvae)

  • 허영백;조규태;변순규;문태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1
    • /
    • 2014
  •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L-3,4-dihydroxyphenylalan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29.1{\pm}2.2%$, $19.2{\pm}2.1%$, $11.0{\pm}1.2%$, $15.2{\pm}0.9%$$42.7{\pm}2.7%$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The Effect of Neuroactive Compounds on Settlement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ediveliger Larvae)

  •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6
    • /
    • 2013
  •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 (L-3,4-dihydroxyphenylalanine, 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35.4{\pm}2.0%$, $19.2{\pm}2.1%$, $11.0{\pm}1.2%$, $15.2{\pm}0.9%$$42.7{\pm}2.7%$ 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Majarine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II) -마우스에 있어서 Majarine의 체온감소에 미치는 dopamine, serotonin 길항제의 작용에 관한 연구- (The Actions of Majarine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I) -The Effects of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Antagonists on Majarine-induced Hypothermia in the Mouse-)

  • 박영현;이종화;김유재;조병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9-110
    • /
    • 1985
  • 한국특산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Palibin)의 뿌리에서 분리한 majarine은 isoquinoline 알카로이드로서 본 교실에서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작용을 검토하고 있다. Majarine을 마우스 복강내로 투여하여 직장온도 변화와 haloperidol, cyproheptadine과 reserpine 등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Majarine은 마우스에 있어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한 체온감소를 나타내었으나, 0.1 mg/kg투여시 체온증가의 유의성을 보였다. 체온감소는 haloperidol과 cyproheptadine으로 억제되었다. Reserpine처치 마우스에 있어서 ${\alpha}$-methyl-p-tyrosine으로 전처치한 다음 majarine 2.0mg/kg 투여시 체온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ajarine의 체온변화는 dopamine과 serotonin수용체에 관련성이 있다고 사려되고, 체온감소는 dopamine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되는 바이다.

  • PDF

Antidepressant-like and Hypnotic Effects of the Herbal Extract Combination of Stauntonia hexaphylla and Vaccinium bracteatum Fruit in Mice

  • Oh, Dool-Ri;Kim, Yujin;Jo, Ara;Im, Sojeong;Kim, Cho Een;Jung, Myung-A;Shin, Jawon;Kang, Huwon;Choi, Eun Jin;Kim, Jaeyong;Choi, Chuly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8-96
    • /
    • 2020
  • Stauntonia hexaphylla (SH) and Vaccinium bracteatum (VB) are herbal extracts widely used in food an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have the ability to perform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H and VB combination (SHVB) on mice models of chronic restraint stress (CRS) an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o elucidate its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CRS-exposed mice treated with SHVB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mmobility time, increased swimming and climbing times in the forced swim test (FST), and increased locomotor activity in the open field test (OFT). SHVB decreased serum CORT levels, but enhanced brain monoamine neurotransmitters. SHV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leep latency and increased total sleep duration in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 in mice. SHVB showed inhibitory effect on 5-HT2A receptor-mediated ERK1/2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VB has antidepressant and hypnotic effects by regulating the 5-HT2A receptor.

Anew formula CPC22 regulates bone loss, hot flashes, and dysregulate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postmenopausal mice

  • Hee-Yun Kim;Hyunwoo Jee;Hosong Cho;Dongjun Park;Hyun-Ja Jeong
    • 셀메드
    • /
    • 제13권14호
    • /
    • pp.15.1-15.15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 A new formular CPC22 consists of Cynanchum wilfordii root, Pueraria thomsonii flower, and Citrus unshiu peel and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postmenopausal symptoms. The research intended to evaluate whether CPC22 would regulate bone loss, hot flashes, and dysregulate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OVX) postmenopausal mice. Method: The OVX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CPC22 daily for 7 weeks. Results: CPC22 regulated OVX-induced bon loss by enhancing serum osteoprotegerin,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levels and diminishing serum receptor-activator of the NF-κB ligand (RANKL), collagen type 1 cross-linked N-telopeptide,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levels. As a result of CPC22 treatment, notable decreases in tail skin temperature and rectal temperature were observed, along with diminishment in hypothalamic RANKL and monoamine oxidase A levels and enhancement in hypothalamic serotonin (5-HT), norepinephrine, dopamine, 5-HT2A, and estrogen receptor-β levels. CPC22 enhanced levels of serum estrogen and diminished levels of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CPC22 regulated levels of serum lipid metabolites, includin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urthermore, CPC22 diminished levels of serum blood urea nitrogen, creatine kinase,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nd restored vaginal dryness without affecting uterus atrophy index and vagina weights. Conclusio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PC22 improves OVX-induced bone loss, hot flashes, and dysregulated lipid metabolism by compensating for estrogen deficiency without side effects, suggesting that CPC22 may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 menopause.

민들레의 Monoamine Oxidase 저해활성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Taraxacum mongolicum on Monoamine Oxidase)

  • 황금희;박태규
    • 생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9-234
    • /
    • 2006
  • We examined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onoamine oxidase (MAO) of Taraxacum mongolicum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Methanol extract of T. mongolicum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activities on MAO-A and MAOB that were prepared from rat brain and liver in vitro. MAO-A and MAO-B activities were potently inhibited by chloroform fraction of T. mongolicum in vitro tests. The $IC_{50}$ values of each fraction on MAO-A are as followed; methanol extracts (0.90 mg/ml), $CHCl_3$ fraction (0.10 mg/ml), EtOAc fraction (0.36 mg/ml). and those on MAO-B are methanol extracts $(0.39{\mu}g/ml)$, $CHCl_3$ fraction $(0.18{\mu}g/ml)$, BuOH fraction $(0.22{\mu}g/ml)$. Those MAO-A and MAO-B activities in vivo tests have different tendency each other. MAO-A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extract of T mon golicum, while MAO-B activity wa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of brain tissu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ic extract of T. mongolicum is slightly increased in rat. This tendency is not different from the activity of deprenyl which is the well known MAO inhibitor used as a positive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T. mongolicum may have the effects on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AO. Thess activities of T. mongolicum is considerable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control of depressant, dementia, Parkinson' disease, stress and promoting exercise.

Controlled Ondansetron Release Based on Hydroxyethyl Starch Hydroxyethyl Methacrylate

  • Tahir, Muhammad Nazir;Adnan, Ahmad;Cho, Eunae;Jung, Seun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035-4040
    • /
    • 2012
  • Presented study describes the synthesis of photo cross-linkable and water soluble hydroxyethyl starch hydroxyethyl methacrylate (HESHEMA) samples with different degree of substitution (DS) by functionalization of hydroxyethyl starch (HES) with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or hydroxyethyl methacrylate carbonylimidazole (HEMACI) in DMSO using two different routes. It was revealed that the reaction time for HESHEMA synthesis can be reduced from 5 days to 24 h by conducting the reaction at $80^{\circ}C$ instead of at room temperature. Solubility of HESHEMA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DS which in turn was dependent on ratio between HES and HEMA or HEMACI. HESHEMA samples with DS > 0.24 depicted insoluble in water, whereas the samples with DS < 0.05 did not form appreciable gel. HESHEMA samples with appropriate DS were converted into hydrogels by cross-linking polymer chains under UV radiations and resulting HESHEMA hydrogels showed swelling up to 1200%. Application of HESHEMA in controlled drug delivery was investigated by diffusion based encapsulation of Ondansetron, a serotonin 5-$HT_3$ receptor antagonist drug, mainly used for nausea and vomiting treatment.

Naltrexone과 ondansetron의 병합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dansetron Alone and Combination of Naltrexone and Ondansetron on Alcohol Intake in C57BL/6 Mice)

  • 김현경;김성곤;강철중;박상익;김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6-1581
    • /
    • 2007
  • 알코올 의존의 음주 행동에 VTA에서 NA로 뻗어 있는 도파민 대뇌 보상 경로가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의 토파민 활성도가 $5-HT_3$계 신경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으며,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 (OND)이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음주량을 감소시키고 금주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의 투여 효과와, 이러한 ondansetron 및 비 특이적 아편계 수용체 길항제인 naltrexone (NTX)과의 병합 투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알코올 의존화 된 C57BL/6형 수컷 생쥐를 4군으로 나눈 뒤, 10일간 각 군에 vehicle, OND 0.01 mg/kg 단독, NTX 1.0 mg/kg 단독, 및 OND 0.01 mg/kg과 NTX 1 mg/kg 병합 투여하면서 2시간 알코올의 섭취량,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 군과 나머지 3군의 약물 투여군과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vehicle 투여군과 NTX 단독 투여군간에 유의한 교차가 관찰되었으나 (p=0.042), OND 단독 투여군과 NTX과 OND 병합 투여군은 vehicle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별 2시간 알코올 섭취량에 대하여 NTX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군간 비교시 vehicle 투여군에 비하여 NTX 투여군에서 약물 투여 4일부터 10일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10; 6일 p=0.050; 8일 p=0.017; 10일 p=0.005). 그리고 NTX과 OND 병합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양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이 4일과 10일에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49; 10일 p=0.022). 그러나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군과 나머지 3 군의 약물 투여군과의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교차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OND의 투여 효과는 없었으며, OND과 NTX의 병합 투여시에는 NTX의 알코올의 섭취량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5-HT_3$ 신경계와 도파민 및 아편 신경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니피그 유문동에서 기록되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에 미치는 전해질과 약물의 효과 (Effects of Electrolytes and Drugs on the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s Recorded from the Antrum of Guinea-pig Stomach)

  • 구용숙;서석효;이석호;황상익;김기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1-13
    • /
    • 1990
  • 기니피그 유문동 부위를 절제한 뒤 점막층을 박리하고 윤상근 주행방향으로 길이 10 mm, 너비 2 mm 되는 조직 절편을 만들어 수평형 실험용기에 넣어 핀으로 고정하였다. 유리미세전극을 세포내에 삽입하여 서파를 기록하면서 조직양편에 설치한 백금자극전극(직경 0.5 mm)에 강도 $10{\sim}50V$, 기간 $50{\sim}100\;{\mu}s$ 되는 자극파를 주어 신경-근 부위의 접합부 전압을 기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저부에서는 흥분성 접합부 전압이, 유문동에서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이 기록되었고 유문동의 억제성 접합부 전압은 atropine($10^{-6}\;M)$과 guanethidine$(5{\times}10^{-6}\;M)$을 동시 처치했을 때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세포외 $Ca^{2+}$ 농도를 높였을 때(7 mM)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고 세포외 $Mg^{2+}$ 농도를 높였을 때(5 mM)와 verapamil($10^{-5}\;M$)을 주었을 때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3) 아데노신을 투여하였을 때와 ATP를 투여했을 때는 모두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4) 5-HT$(10^{-6}\;M)$을 투여했을 때는 서파크기에는 변화없이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만 감소하였고 5-HT type 2 길항제인 ketanserin$(5{\times}10^{-6}\;M)$을 투여했을 때는 서파크기는 현저히 감소한 반면 억제성 접합부 전압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문동에서 기록되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은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신경에 의해 유발되며 $Ca^{2+}$은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신경에서 신경흥분전달물질의 유리를 촉진시키고 분비된 신경흥분전달물질로 인해 $Ca^{2+}$ 의존성 $K^{+}$ 통로가 활성화되어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