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design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5초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들깨잎차 볶음처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Roasted Perilla Leaf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한호석;박정혜;최희진;성태수;우희섭;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96-106
    • /
    • 2004
  • 들깨잎차 개발을 목적으로 볶음처리 한 차의 관능적 특성 및 전자공여능 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을 통한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볶음온도 $140{\sim}220^{\circ}C$와 볶음시간 $5{\sim}25$분 등 두 가지 조절을 독립변수로 하고 관능검사를 통한 맛, 색, 향기와 전자공여능의 기능적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측정한 결과를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program을 사용하여 들깻잎의 기능성 차 개발을 위한 볶음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깻잎차는 볶음처리에 따라 Hunter 색체계에서의 백색도(L)와 황색도(b)는 볶음시간과 볶음온도가 증가될수록 높아진 반면, 적색도(a)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1%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며,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0.9828로써 $220^{\circ}C$, 15분에서 볶음처리 했을 때 70.30%로 높게 나타났다. 깻잎차의 관능적 품질로써 맛, 색 및 향은 볶음처리와 더불어 기호도가 증가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에 의해 볶음온도 $210{\sim}220^{\circ}C$,볶음시간 $10{\sim}20$분 범위를 최적 볶음조건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최적볶음조건에 의해 만들어진 들깨잎차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xanthine oxidase 및 전자공여능에서 각각 10.14, 14.37 및 59.19%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 Induced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Children With Hemiparesis)

  • 고명숙;전혜선;권오윤;유은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8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MCIT) on the effected upper extremity of children with hemiparesis. Four children with hemiparetic upper extremity caused by brain injuries were trained by MCIT for ten weeks. During the same period, all of the subjects were also involved in thirty-minute regular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ies of the subjects were restrained by a specially designed hand splint or a mitten for five hours a day, five days per week. For two hours out of the five-hour restraint period, the affected upper extremities were intensively trained 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al tasks, which were individually structured to emphasize use of the affected arm. A single-subject design with A-B-A reversal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affected limb motor ability was evaluated by Melbourne Assessment, measuring the time to grasp and release nine pegs, and measuring grasping power.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affected limb motor test scores of all four subjects in the baseline period were improv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 was maintained during a one-month follow-up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ssumption that MCIT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to improve the sensory and motor abilities of hemiparetic children. It also increases the frequency of functional use of the hemiparetic hands of brain-injur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modified CIT method is especially beneficial to these children by reducing th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forceful restraint of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To optimize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by CIT, the restriction period per day should be decid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 PDF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의 제조 및 생리활성 (Development of an Onion Vinegar Beverage Containing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3-570
    • /
    • 2016
  • 양파식초는 양파특유의 냄새로 인한 관능적인 저하를 가지므로 양파의 불쾌치를 차폐할 수 있는 감미조향제의 선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심합성계획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감미조향제(유자착즙액, 사과농축액 및 황설탕)의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즉 독립변수를 달리한 각 실험조건을 다섯 단계로 부호화 하고 실험설계 18조건(8개 요인실험점, 6개의 축점, 4개의 중심점)에 따라 기호도검사(9점 평점법)를 실시하여 중심합성법의 종속 변수로 선정하여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양파식초 : 용수 : 황설탕 : 사과농축액 : 유자착즙액 = 6.0 : 77.6 : 4.9 : 9.2 : 2.3(w/w비율))를 제조하였다. 최적 배합조건에서 제조된 유자 양파발효음료의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quercetin 및 생리활성(항균성, 항항산화성, 항혈전용해능) 분석결과 총 phenol함량은 14.8 mg/100 g, total flavonoids의 함량 2.6 mg/100 g, quercetin 함량은 1.4 m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는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및 Enterobacter aerogenes 4종의 균에서 항균성을 가졌고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18.2%, SOD 유사활성에서는 11.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 개발된 유자 양파발효음료는 원료인 양파로부터 기인되는 영양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유기산으로부터 복합적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제품으로 사료된다.

당귀와 승검초의 혼합비율에 따른 혼돈병의 기호도 (Acceptance of Hondonbyung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Leaf and Root of Angelicae powder)

  • 최은정;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8-95
    • /
    • 2006
  •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승검초 가루와 당귀 가루를 일정 비율 혼돈병에 첨가하여 제조한 떡살과 감미료의 양을 감소한 고물의 관능적 측정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의해 일정 비율의 승검초 가루와 당귀 가루를 첨가한 혼돈병 떡살의 관능적 특성 측정 결과 색, 맛, 텍스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당귀 함량이 높을수록 관능적 특성치가 감소하였다(p<0.05). 혼돈병 떡살의 반응표면 분석 결과 색,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안장형을, 향과 맛은 최고형을 나타내었다 색의 최적 조건은 승검초 가루 $2.25\sim3.00%$, 당귀 가루 $0.50\sim0.63%$의 범위었으며, 향의 최대점은 승검초 가루 1.55%, 당귀 가루 0.85%였다. 맛의 최대점은 승검초 가루 1.95%, 당귀가루 0.80%였으며, 텍스쳐는 승검초 가루 $1.00\sim1.22%$, 당귀가루 $0.58\sim0.99%$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의 최적 조건은 승검초 가루 $2.79\sim3.00%$, 당귀가루 $0.50\sim0.56%$의 범위였다. 전통적인 고물을 만드는 방법에서 감미료의 양을 감소시킨 결과 전통군과 감미료를 10%, 20% 감소한 고물의 색, 향, 맛,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전통군과 유의차가 없었다(p<0.05).

삼백초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를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Dressing Preparation from Yogurt Adde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Extract)

  • 황보미향;김현정;유미희;이지원;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6
  • 삼백초 추출물을 0.4%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시 유고형분 함량을 14%, 16%, 18%로 달리하여 pH 및 산도를 측정한 결과 각 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점도의 경우 18%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점도 값을 나타내어 드레싱의 제조시의 발효기질 함량을 18%로 결정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를 첨가한 드레싱의 최적 제조공정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를 위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로 요구르트 첨가량을 (30, 40, 50, 60 및 70 g), 마요네즈첨가량 (6, 12, 18, 24 및 30 g) 소금 (0.1, 0.3, 0.5, 0.7 및 0.9 g)에 대하여 중심합성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각 제조 조건별 색, 향기, 맛, 조직감, 후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최적 제조조건 범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의 최적배합비율은 요구르트 61.20%, 마요네즈 23.50%, 소금 0.58%, honey 11.75%, mustard 1.76%, tabasco pepper sauce 0.23%, white wine 0.94% 및 white pepper 0.04%로 나타났다.

주간보호시설 치매환자의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효과-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Dementia Patient in Day-care center)

  • 이성아;정원미;황윤정;박정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55-2063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에게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치매진단을 받은 9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총 4주간 감각적, 신체적,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전 후 시지각 기능,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실시 후에 대한 분석 결과 시지각 기능과 작업수행에서는 기초선과 프로그램 종결 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p<0.01, p<0.05)가 있었지만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전 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via Addition of Purple Barley Flour and Olive Oi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진곤;김영호;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13-18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뛰어난 자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첨가한 제빵개발을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자맥가루와 올리브유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빵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무게, 부피, 비용적, 명도, 황색도,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적색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 중에서는 색, 외관, 조직감, 맛, 전체적 기호도가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고, 향은 이차 회귀분석의 설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자맥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 황색도, 경도, 검성, 씹힘성이 증가하였고 부피, 비용적, 명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올리브 첨가량이 증가하면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고, 황색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특성에 자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이 올리브유 첨가량에 대한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자맥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향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며, 올리브유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 관능특성 중 유의성이 있었던 항목의 최대값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비율은 자맥가루 10.00%, 올리브유 1.45%로 이 경우에 기호도는 색 6.45, 외관 6.60, 조직감 6.13, 맛 5.96, 전체적 기호도 6.37로 산출되었다. 또한 다소 관능평가 점수가 낮아지더라도 자맥가루를 첨가량을 최대로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자맥가루가 15.85~22.10%에서는 올리브유 첨가량에 관계없이 5.0의 전체적 기호도를 보였고, 자맥가루가 14.62% 이하일 때 올리브유 첨가량에 관계없이 6.0 이상의 전체적 기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이용한 식빵을 비롯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노인에게 시청각 자극을 병행한 회상요법의 적용효과 (The Effect of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on Senile Dementia)

  • 김남초;유양숙;한숙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8-10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decrease the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behaviors by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for senile dementia.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26 with mild senile dementia who were cared for at a Day Care Center for Dementia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1999.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Control Igroup with 10 subjects, reminiscence group(Control II group with 8 subjects), and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group(experimental group with 8 subjects). The Control I group got routine care as usual. Control II group participated in reminiscence sessions for one hour a day, five times a week , for a period of 4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sessions for one hour a day, five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4 weeks.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color photography with sound that was develope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bout events, objects, humans in action and animals that 100 Korean elderly over 60 would like to memorize. This was referred from the Sensory Stimuli Package by Namazi and Haynes(1994). The effects of treatment was evaluated through MMSE-K by Kwon & Park(1989). Also the Brief Cognitive Rating Scale(BCRS) by Reisberg et al(1983) for the cognitive function, through Agitation Inventory by Cohen- Mansfield and Colleague(1989) for behavioral response and through the Rapid Disability Rating Scale-2(RDRS-2) by Linn & Linn(1982) for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for $\chi$2- test,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did not improve cognitive function for senile dementia, but significantly improved verbal expression, the subscale of cognitive function. 2.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reduced agitation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3.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was an effective therapy to improve verbal expression and to reduce agitation behaviors of senile dementia. Further research with more indepth approach is needed, considering characteristic and level individualized for each senile dementia.

  • PDF

한국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Health Status of Elderly Persons in Korea)

  • 최영희;김문실;변영순;원종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7-323
    • /
    • 1990
  • This Study was done to design and test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cluding physical, psychologyical and social dimens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18 to August 17, 1990. Subjects were 412 older persons in Korea. A convenience sample was used but the place of residence was strat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ity and rural areas. Participants located in Sudaemun-Gu, Mapo-Gu, and Kangnam-Gu, Seoul were interviewed by brained nursing students, and those in Chungju, Jonju, Chuncheon, and Jinju by professors of nursing colleges. Rural residents were interviewed by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working in Kungsang-Buk-Do, Kyngsang- Nam - Bo, Jonla Buk -Do, and Kyung Ki- Do. The tool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nd then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tool contained 20 physical health status items, 17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items and 38 social health status items. Physic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 to six factors such as personal hygiene, activity, home management, digestive, sexual, sensory, and climination functions.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to two factors, mental health and emotional health. Soci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to seven factors, grandparent, parent, spouse, friend, kinships, group member and religious role functions. Data analysis included percentage, average, S.D.,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he tool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developed for this research had a relatively high reliavility indicated by a cronbach=0.97793. 2.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physical health status was 4, 054 in a 5 point likert scale,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was 3.803, social health status was 2.939 and the total average was 3.521. The social status of the subjects was the lowest and the next was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 physical health status was the highest. 3.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amount of pocket money were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and family structure was related mental-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health status. Occupation was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status. Area of residence was related to metal-emotional and social status. Source of living in the expeneses was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marital status to mental-emotional and social health status, and the number living in the home physical health status and religion to social health status. The following conciusions were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s ; 1. The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was relatively sound but social health status was the most vulnerable. The Social activity for Korean elderly is needed to improve social health. 2.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 amount of pocket money must be considered in the health assessment criteria of the elderly, Family structure, marial status, occupation, residence variables and sources of living expense must also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3. A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elderly, and provision of an occupational socioeconomic welfare policy will be useful in order to increase social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 PDF

3.0T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한 사람의 간지럼자극과 감각중추 자극의 활성화 차이 (Difference of fMRI between the Tickling and Sensory Stimulation Using 3.0 Tesla MRI)

  • 강현수;임기선;한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6-294
    • /
    • 2010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MRI)을 이용하여 일반 감각 자극과 다른 간지럼 자극 과제를 수행 할 때 대뇌 감각중추 신경 연결망을 규명하고, 간지럼이 웃음의 기전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6명(평균 : 28.9세)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감각 자극 과제 수행동안 3.0T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사용하여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감각 자극은 피험자마다 역균형화하여 제시되었으며, 블록 설계로 자극 제시와 영상 획득이 이루어졌다.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SPM 99 분석하였으며, 개별 분석과 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 분석 결과 두 과제 모두 체감각 영역의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간지럼 자극 조건은 감각자극 조건에 비해 베리니케 영역(BA40)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또한, 그룹 분석결과 일반 감각 조건에서는 양쪽 체감각 피질 영역(BA 1,2,3)이 활성화되었으며, 간지럼 조건에서는 양쪽 체감각 피질 뿐만 아니라 시상, 대상회, 대뇌섬엽 영역에서 커다란 활성화를 보였다. 간지럼 자극에서 감각자극을 뺀 결과에서는 우측 대상회와 좌측 MFG 영역 및 좌측섬엽 에서 유의미한 활성화를 보였다. 촉각을 통한 간지럼자극을 인지하는 대뇌영역에 대해 검증하였고, 간지럼과 같은 가장 원초적인 자극이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웃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