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Spac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망둑어과(농어목) 어류 1미기록종, Gymnogobius taranetzi (First Record of the Goby Gymnogobius taranetzi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6-249
    • /
    • 2011
  • 망둑어과 (Family Gobiidae)에 속하는 Gymnogobius taranetzi 25개체가 강원도 삼척시와 양양군의 기수역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형태적으로 망둑어과의 다른 꾹저구속 종들과 유사하나 양안 사이의 안견갑관이 감각공기열로 대체되어 전안견갑관 개공 C가 없으며, 산란기의 암컷은 체측에 황색의 가로띠가 나타나는 특정을 갖고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종은 동해연안에 분포하는 점을 들어 국명을 "동해날망둑"이라고 명명하였다.

Near-body Interaction Enhancement with Distance Perception Matching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 Yang, Ungyeon;Kim, Nam-Gyu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2호
    • /
    • pp.111-120
    • /
    • 2021
  • As recent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provide a more natural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environment, users naturally learn to explore space and interact with synthetic objects. The virtual reality researcher develops a technique that realizes realistic sensory feedback to get appropriate feedback to sense input behavior. Although much recent virtual reality research works extensively consider the human factor, it is not easy to adapt to all new virtual environment contents. Among many human factors, distance perception has been treated as very important in virtual environment interaction accuracy. We study the experiential virtual environment with the feature of the virtual object connected with the real object. We divide the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in which distance perception and behavio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to two types (whole-body movement and direct manipulation) and analyze the real and virtual visual distance perception heterogeneity phenomenon. Also, we propose a statistical correction method that can reduce a near-body movement and manipulation error when changing the interaction location and report the experiment results proving its effectiveness.

Data Visualization of Site-Specific Underground Sounds

  • Tae-E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77-84
    • /
    • 2024
  • This study delves into the subtle sounds emanating from beneath the earth's surface to unveil hidden messages and the movements of life. It transforms these acoustic phenomena into digital data and reimagines them as visual elements. By employing Sismophone microphones and utilizing the FFT function in p5.js, it analyzes the intricate frequency components of subterranean sounds and translates them into various visual elements, including 3D geometric shapes, flowing lines, and moving particles. This project is grounded in the sounds recorded in diverse 'spaces of death,' ranging from the tombs of Joseon Dynasty officials to abandoned areas in modern cities. We leverage the power of sound to transcend space and time, conveying the concealed narratives and messages of forgotten places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se sounds, this resear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death' and 'life,' 'past' and 'present,' aiming to explore new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and broaden perceptions through the sensory connection between sound and vision.

협간극과 상악동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 증례보고 (Schwannoma in the maxillary sinus and buccal space: Case report)

  • 최병환;박수원;손장호;조영철;성일용;변기정;김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94-498
    • /
    • 2009
  • Schwannomas are tumors which originate from the neuroectodermal Schwann cell of cranial, intraspinal, peripheral and autonomic nerve sheaths, and they are solitary, benign, slow growing and well encapsulated neoplasm. Schwannomas are usually asymptomatic. No strong gender or age predominance exists. The incidence of extracranial schwannomas in the head and the neck region varies from 25~45%. In addition, schwannomas are rare in the maxillary sinus or buccal space. In this paper, it diagnosed and treated a 54-years old female patient, who had schwannoma in the maxillary sinus derived from infraorbital nerves, the branch of the left trigeminal nerve, and a 19-years old male patient, who had schwannoma arose in the buccal space derived from the buccal branch of the right facial nerve. There was no particular complication except sensory extinction of the nerve in the female patient and paralysis by the nerve in the male patient. It is determined those two cases of schwannoma in the rare portion is valuable and herein, it reports those with literature discussions.

경막외차단 중 발생된 우발적 경막하 스테로이드 주입에 의한 난치성 요추수술 후 실패증후군의 치료 경험 -증례 보고- (Accidental Subdural Steroid Injection during Intended Epidural Block Relieves Intractable Radiculopathy in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A case report-)

  • 정기승;송선옥;조영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104-109
    • /
    • 2001
  • We describe the accident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containing steroid into the subdural space during an attempted lumbar epidural injection for intractable radiculopathy in a patient with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A 24-year-old man complained of severe radiating pain to left lower extremity and showed a walking disturbance and severe lumbar scoliosis. The MRI finding was a left paramedian recurred disc herniation on L4-5 in a laminectomy state. Several therapeutic modalities such as epidural steroid injection, transforaminal injection, L2 root block, medication, and exercise therapy, etc failed. Initially, during epidural block at L4-5 under fluoroscopic guidance, a railroad track appearance appeared on epidurogram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subdural space. A second epidural block was tried at L5-S1. Following confirmation of epidural space upon epidurogram, 6 ml of 0.5% lidocaine including triamcinolone 40 mg was injected. The patient showed signs of the subdural injection including an unexpectedly high sensory block (T2) and a motor weakness of both lower extremities. Following this event, the severe radiculopathy and lumbar scoliosis were improved. Therefore, we conclude that subdural injection of steroid could be helpful in intractable radiculopathy, especially in the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However, it must be used cautiously with careful patient selection.

  • PDF

Effect of Stewing Time on the Small Molecular Metabolites, Free Fatty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Broth

  • Rong Jia;Yucai Yang;Guozhou Liao;Yuan Yang;Dahai Gu;Guiying W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51-661
    • /
    • 2024
  • Chicken broth has a taste of umami, and the stewing time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hicken broth, but there are fewer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stewing time. Based on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fferent stewing times on the sensory, small molecular metabolites, free fatty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contents in chicken broths by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Eighty-nine small molecular metabolites, 15 free fatty acids, and 8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Palmitic and stearic acids were the more abundant fatty acids, and aldehydes were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s. The study found that chicken broth had the best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content of taste components, and the richest content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en the stewing time was 2.5 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ewing time on the quality of chicken broth to provide scientific and theoretical guidance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local chicken.

부운동영역의 뇌지도화 (Somatotopic Mapping of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 한영민;정수현;이헌;진공용;이상용;정경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04
  • 목적 : 운동, 감각, 단어형성 , 듣고이해하기, 기억력과제를주면서 기능적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하여 부운동영역의 기능적 지도화를 한다. 대상 및 방법 : 16명의 오른손잡이 정상지원자를 대상으로 1.5 T자기공명영상기기를 사용하여 전뇌를 BOLD EPI를 기능적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왼손가락운동, 고온감각, 단어형성 , 듣고이해하기 그리고 기억자극을 주면서 5번의 자극기와 휴식기를 반복하여 영상을 얻었다. p = 0.0001의 역치를 사용하여 활성화된 뇌의 지도화를 시행하였고 역치 이상의 뇌활성화가 보이는 부위를 MNI 공간으로 표시하여 각각의 자극에 대한 해부학적 위치와 활성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16명의 정상지원자 중 부운동영역의 활성화는 운동자극시 16명 모두에서, 감각자극시 11명, 단어형성자극시 15명, 듣고이해하기자극시 5명, 그리고 기억자극시 15명에서 보였다. 부운동영역중 앞부분의 활성화는 단어형성자극과 기억자극시 보였으며, 뒤부분의 활성화는 운동과 감각자극시 측정되었다. 운동과 감각자극시 자극부위와 반대편의 부운동영역에서 활성화, 그리고 단어형성자극과 기억자극시 왼쪽반구의 활성화가 주로 측정되었다. 결론 : 부운동영역은 운동과 감각 그리고 단어형성기능과 기억기능에 연관이 있는 뇌부위이며, 부운동영역중에서도 각각의 기능에 해당하는 부위가 존재한다.

  • PDF

피시방의 혼성적 도시경관과 인간 육체에 대한 사회-공간적 영향 (Hybrid Urbanscapes of PC Bangs and Their Socio-Spatial Effects on Human Bodies)

  • 이희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10-727
    • /
    • 2007
  • 본 논문은 한국에서 피시방으로 불리는 인터넷 카페에 의해 생산된 도시경관의 성격과 함의, 그리고 피시방에서 실제와 가상공간 사이에 혹은 인간과 기계 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사이보그로서 인간 육체의 활동과 경계에 대한 그들의 영향을 탐구한다.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논문은 먼저 전자 건축 공간으로서 피시방의 거리경관을 조사하고 피시방의 도시 전자 공간을 하이퍼텍스트 공간의 의미에서 제시한다. 그런 다음, 피시방에서 인간-기계 혼성체 혹은 사이보그로서 존재하는 인간 육체에 대한 피시방의 영향을 조사한다. 실제와 가상 공간 사이의 혹은 인간과 기계 공간 사이의 제삼 공간, 경계 공간 혹은 혼성 공간으로서 피시방의 패러독스적 사회-공간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피시방에서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가상 공간에서는 이동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공간에서는 정적이라는 점에서 유목적이고 동시에 정착적인 경관이 나타난다. 둘째, 비록 피시방이 열린 공적인 전자공간으로서 역할을 하지만, 남성주의적인 젠더화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보이지 않는 사회적 경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열린 공간이면서 닫힌 공간이다. 셋째, 피시방에서 인간 육체의 감각적 경계는 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되지만, 동시에 그것의 사회적 경계는 자기중심적인 상상의 공간을 통해 수축된다. 그리하여 마지막으로, 피시방은 육화되고 젠더화된 경관을 갖고 있는 사회적 공간일 뿐만 아니라, 인간-기계의 결합의 사이보그 경관을 수반하는 비-장소로 특징지을 수 있다.

효율적인 입체 라이드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연구 (Developing a Sensory Ride Film 'Dragon Dungeon Racing')

  • 채일진;최철영;최규돈;김기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8-185
    • /
    • 2011
  • 입체 영상 기술 및 응용 콘텐츠들이 개발이 되면서 3D/4D/VR 특수영상, 3D 라이드필름, I-max 특수영상, 체감형 3D게임 등을 테마파크나 대규모의 박람회, 4D 시네마, Video Ride에서 누구나 체험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 속에서 실제 상황 같이 몰입을 유도 하고 간접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베이스 기반의 비디오 라이드 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주목받는 체감형 입체영상이라는 장르와 상업적 성격이 강한 콘텐츠인 라이드 필름이라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 과정을 보여준다. 입체 영상 프로젝트의 소재 선택 면에서 라이드의 격렬한 움직임에 적합한 공간과 설정을 연구하여 기획하고 MAYA 2009 버전부터 적용된 Stereo Camera 기능을 활용한 창의적인 연출 구상과 입체영상의 효과적인 기술 구현 사례를 설명한다. 입체 영상 분야에 종사하는 기획 및 제작 전문가들이 흥미로운 소재와 이야기를 발굴하고 향상된 입체 제작 기법을 도입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내포한 콘텐츠로 제작하는 시스템을 유지하면 영상콘텐츠 시장에서 해외 유명 업체와 당당히 경쟁하더라도 성공적으로 고유한 영역을 차지할 것이다.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에서 업무 특성, IT 특성,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cess, I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rocess Virtualizability)

  • 풍일척;권순동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9-142
    • /
    • 2022
  • 조직은 물리적 환경에서의 업무 처리를 정보시스템과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적 업무 처리로 디지털 전환함으로써 업무수행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많은 조직이 원격근무를 실시하면서 급진전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성과인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은 가상환경에서의 업무처리의 적합성이나 수월성과 같은 결과적 품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가상화 이론에 근거하여 업무 특성과 IT 특성과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성성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가상 환경에서 원격근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업무 특성 측면에서 감각적 요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적 요구, 동기화 요구, 식별제어 요구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IT 특성 측면에서 표현력과 도달력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특성 측면에서 근무 자율성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평가 불공정성은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IT의 표현력과 도달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직무 자율성은 다음이며, 감각적 요구는 영향이 가장 낮음을 규명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 가상화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