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cessing Abilit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신지은;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2-54
    • /
    • 2020
  • 목적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도구의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고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 소재의 일반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일반 아동 만 3~5세 337명을 대상으로 표준점수와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을 사용하였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표준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1 표준편차, 평균-2 표준편차를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감각처리척도의 총점에 대한 표준점수를 확인한 결과, 총점이 115~150점일 때 '정상', 105~114점일 때 '문제 가능성', 50~104점일 때 '확실한 문제'로 선별할 수 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는 .755로 강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임상적 사용을 위해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였고, 다른 평가도구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여 만3~5세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Therapy on Vestibulo-Proprioceptiv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 김은성;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6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 고유감각 처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만 11세 2개월 된 남아로, 8세되던 해에 아스퍼거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 중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 기간(A) 3회, 중재 기간(B) 8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중재기간에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정 고유감각 처리는 자세 조절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므로 자세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테이블 활동 후 아동의 앉은 자세 변화와 복와위 신전 자세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앉은 자세 조절 능력과 복와위 신전 자세는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 표준편차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 고유감각 처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아스퍼거 아동이 보이는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접근하고 그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감각통합치료의 질적인 효과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PDF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선호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Play Preferences of School-Age Children)

  • 김예지;김지원;윤나래;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놀이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2년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S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48명을 대상으로 Short Sensory Profile (SSP)과 Pediatric Interest Profile (PIP)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를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감각처리능력과 8가지 놀이 항목의 빈도, 선호도, 숙련도에서. Outdoor activities 선호도는 맛/냄새 민감성, 청각여과, 총점과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Creative activities 선호도와 숙련도는 맛/냄새 민감성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Lessons / Classes 선호도는 촉각 민감성, 맛/냄새민감성, 움직임 민감성, 청각여과, 시각/청각 민감성,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Lessons / Classes 빈도와 숙련도는 시각/청각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처리기능과 놀이선호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일부 놀이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놀이 항목을 확인하여 아동의 놀이 선호도와 놀이 작업치료 시 제공하는 놀이 활동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의의가 있다.

한글판 감각처리 및 자기조절 체크리스트(SPSRC)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 (SPSRC) )

  • 김예은;이혜림;이선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3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이하 SPSRC)의 국내사용을 위해 일반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을 사용하여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구성타당도는 두 집단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 일치도의 경우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 동시타당도의 검증 결과 한글판 SPSRC와 SSP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1), 구성타당도는 한글판 SPSRC의 영역 및 하위항목에 대해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의 범위가 .700 ~ .975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상관계수의 범위가 .937 ~ .997로 나타났다. 결론 : 한글판 SPSRC는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지는 평가도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치료목표를 계획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향후 관련된 연구에 의미 있는 근거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따른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 신지연;신혜정;조현희;차수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35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thods : Mothers of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ages of 4 and 6 who attend Y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Busan, H kindergarten in Suwon, S kindergarten in Gimhae was participated. Mot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t home from 4th to 14th of January in 2004. We used SSP(short sensory profile) which was used by Kim, Mi-Sun in 2001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We also used Behavior During Testing Checklist find their places in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to understand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0.0. Results : 1. Total incidents in sensory processing were 157 out of 190. Among sub items of the sensory processing, the mark of lower energy/weak was highest with 4.39 point and the mark of taste/smell sensitivity was lowest with 3.60 point. Total incident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20 out of 24. Among the area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ark of sensory responses/threshold area was highest with 2.73 point and the mark of social interaction area was lowest with 2.29 point. 2. Children's total sensory processing capacity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or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the mo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nsory processing point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points except this item, reaction to separation from caretaker. Conclusions : We hope that the children who ha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 difficulti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can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is studying. Also, as we find and relieve early stage of the symptoms, following study which can present based to facilitat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 PDF

감각처리 및 자기조절 체크리스트(SPSRC)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안 및 내용타당도 연구 (A Content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 (SPSRC))

  • 김예은;이혜림;이선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SPSRC)의 국내사용을 위해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번역, 내용 적합성 검증, 역번역, 번역 검증 위원회, 내용 이해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한글판 SPSRC를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과 작업치료사 7명에게 제시하여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확인하였다. 결과 : 한글판 SPSRC의 내용 타당도 지수(CVI)는 130문항 모두 .90 이상이었다. 또한 전체 문항의 CVI 역시 .99로 높은 수준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한글판 SPSRC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높은 내용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글판 SPSRC는 임상에서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용이하게 하며, 감각통합 중재 계획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직형 양하지 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astic Diplegia)

  • 김보람;신지은;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29
    • /
    • 2015
  • 목적 : 뇌성마비아동 중 양하지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 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을 학령전기와 학령기로 나누어 연령에 따른 감각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축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 중 양하지마비 유형으로 진단받은 만 3~10세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가 직접 설문지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설문지 배부 및 수거가 이루어 졌으며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 40명, 일반아동 4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은 집단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 연령별 비교를 위해 Mann 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단축형 감각프로파일 총점과 모든 영역에서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촉각 민감성과 맛/냄새 민감성을 제외한 5가지 영역과 감각처리 총점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전기 아동은 총점과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령기 아동은 움직임 민감성,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의 감각처리 평가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뇌성마비의 다른 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감각처리 능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Balance Ability in Healthy Elderly)

  • 김원호;이충휘;정보인;조상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33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certain differences of the sensory system, central processing system, effector system,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x, fall experience, and age), an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s of the sensory, central processing, and effector system to balance ability in 83 healthy elderly subjects. The subjects were elderly (over 60 years) who live in Wonju Cit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six tests (position sense test, visual acuity, vestibular stepping test, Mini-Mental Status Exam-Korea,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erg Balance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sex showed that vestibular func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in women than in men. But visual acuity,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men than in women (p<0.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vestibular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between fallers and non-fallers (p>0.05). 3. However,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age (group A: 60-69 years, group B: 70-79 years, group C: 80-89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tests. In the Scheff$\acute{e}$ test,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the strength of the dorsiflex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B, and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and between in group B and group C (p<0.05). 4.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lance ability.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balance ability was 38%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play an important role in balance ability. This would seem to suggest that programs for evaluation or improvement of elderly's balance ability in the elderly should consider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 PDF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 김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34-641
    • /
    • 2017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능력의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사례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9월부터 12월이며,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각각 2회기, 9회기, 2회기로 총 13회기 진행하였다. 감각통합프로그램은 50분씩 9회기 진행하였고 윌버거프로토콜(Wilbarger's Protocol)을 하루 2~3회씩 실시하였다. 아동의 기초적 발달 수준을 알기 위해 영역별 관찰 평가와 사회성숙도검사를 초기에 실시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작업수행 능력정도를 일상생활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통해 각각 평가하였다. 아동의 사회행동인 탐색행동과 식사하기는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행동을 증가시키고 식사하기를 가능하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식사하기는 중재 후 5회기부터 안정적으로 가능하였으며, 탐색행동은 중재 후 3주 후부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해 7주 후 부터는 안정적인 탐색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중재하는데 감각통합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말해 준다.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Paired-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Peer Interaction,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 Case Study)

  • 박미래;박윤이;김은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만 4세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경험이 없는 2명의 대상자로 중재 40분, 부모 상담 10분씩 주 1회, 총 1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감각처리조절을 위한 활동과 다양한 작업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Knox Preschool Play Scale-Revised(KPPS-R)를 실시하여 결과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시각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 중재 후 대상자 모두 SSP 평가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향상과 KPPS-R 평가에서 놀이발달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대상자들은 PIPPS 평가에서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결론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의 대상자에게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