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Integration Therapy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초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on Short-term Memory and Atten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박아름;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30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 사용하였다. 총 18회기로 매주 2회기씩 총 9주 진행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IM 훈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Electroencephalogram(EEG)를 부착하여 단축형 검사(short form test)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대상자가 무작위(random)로 선택한 단기기억 과제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중재기 12회기는 IM 훈련을 40~50분간 실시한 후 단기기억 과제(shot-term memory test)를 측정 하였으며, 단축형 검사를 측정하였다. 재기초선 3회기에도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 후 집중력의 향상과 뇌파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단기기억 과제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의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chool Setting Interview(SSI)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Transl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ool Setting Interview (K-SSI))

  • 박민경;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55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9-19세의 학생과 학교 환경과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학교 환경 인터뷰(School Setting Interview; SS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번역-역번역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한국판 SSI를 전문가 집단 35명에게 항목 적합성에 대한 설문을 총 2회 실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 K-SSI(Korean-School Setting Interview) 도구 전체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1차 검증에서 .90으로 나타났고, 1차 검증에서 .75 이하로 나온 항목들인 읽기 항목의 '지도와 도표', 스포츠 활동하기 항목의 '샤워하기'에 대해서 수정을 거쳐 2차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2차 검증은 .93로 더 상승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K-SSI는 국내문화에 부적합한 항목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높은 내용타당도를 가진 평가도구임이 증명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실질적으로 학교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연구와 같이 임상에서의 지속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한다.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기능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중심 훈련의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of Liv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아름;이재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8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기능과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중심 훈련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검색 기간은 2008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을 위해 CINAHL, MEDLINE,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총 18편이 선정되었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과제 중심 훈련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운동학습 및 운동조절 이론의 전략인 과제(Task), 실행(Practice), 피드백(Feedback)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그 결과 13편의 연구가 운동기술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2편의 연구에서 일상생활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과제는 개별 과제(discrete task)와 닫힌 과제(closed task)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실행은 전체 실행(whole practice) 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부분 실행(part practice), 차단 실행(blocked practice) 순으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피드백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외재적 피드백(extrinsic feedback)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조절을 촉진하는 기술의 체계적인 선택과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과제 중심 훈련이 임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뇌성마비 아동의 진동 자극 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강셋별;김만제;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편마비 뇌성마비 후기 아동의 위팔두갈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상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3세에서 15세 사이의 경직성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개별실험연구를 이용한 AB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마비측 손에 제공되었다. 상지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는 라파엘 스마트 보드는 매 회기 별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er hand function test)와 운동 활동 척도 검사(Motor Activity Log; MAL)를 실험 전, 후로 실시하였다. 결과 : 라파엘 스마트 보드로 매 회기 상지기능의 부드러움과 종합점수를 측정한 결과 대상자 3은 평균값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고 대상자 1, 2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중재 전후로 평가한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 및 운동 활동 척도 검사에서는 대상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마비측에 대한 경험이 적은 편마비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 기능과 움직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단축형을 사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Motor Ability of Preschool Aged Children by Using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Short Form)

  • 홍기훈;김도연;강혜빈;박태영;윤은정;이지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40
    • /
    • 2016
  • 목적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적합성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 능력을 제시하고, BOT-2의 표준화를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과 김해의 만 4세~6세 8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하였다. 기술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운동능력의 평균값,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운동능력의 차이는 독립 t 검정과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만 4세와 5세간 원점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0), 만 5세와 6세간의 미세운동 정확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4). 미세운동정확성, 미세운동 통합, 균형 항목에서 여자의 평균이 높았다(p = .022, p = .006, p = .031). BOT-2 개발 대상 아동에 비해 4세와 5세 아동은 높은 원점수 평균을 나타내었고(p = .007, p = .000), 전 연령에서 높은 표준 점수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 학령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을 제시하였고, 나이와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으로 연령이 제한되어 일반화의 한계가 있으나 BOT-2 단축형 학령전기 아동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행문제가 있는 아동의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를 통한 타이밍 변화: 단일 대상 연구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a Child With Praxis Problems: A Single Subject Design)

  • 송지원;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8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실행 문제가 있는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을 적용하고, IM 훈련에 따라 타이밍의 변화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12세 2개월의 남아 1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의 A-B설계를 사용하여 총 11회 기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 동안 아동에 대한 IM 전체형 평가, 임상관찰, 단축형 감각프로파일을 실시하였고, 중재 기간 동안 IM 훈련을 하였다. 모든 회기 동안 동일하게 IM의 단축형 평가(Short Form Assessment; SFA) 동작 과제 1, 2를 실시하였고, 변화도를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초기평가 결과, 대상 아동은 양측통합과 순서실행장애로 의심되었다. SFA 동작 과제 1, 2에서 기초선 기간에 비해 중재선 기간 동안 타이밍에 대한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SFA 동작 과제 1의 추세선을 살펴본 결과, 기초선 기간에 음의 기울기를 보였으나 중재기간에는 양의 기울기를 보였다. 결론 :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의 타이밍에 IM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므로 임상에서 IM 훈련을 적용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이 타이밍과 주의력,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Timing, Attention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 Case Report)

  • 남궁영;손다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73
    • /
    • 2015
  • 목적 :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타이밍과 주의력 그리고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보고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진단을 받은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008년생 남아(사례1)와 일반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001년생 남아(사례2)를 대상으로 2015년 1월 12일부터 2월 6일까지 4주간 IM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M Pro 9.0을 이용하여 타이밍 향상을 위한 중재로 사용하였다. 총 3주간, 주 5회, 총 15회기, 회기 당 50-60분간 적용하였다. 또한 IM 훈련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후에 타이밍, 주의력, 운동기능을 평가하였는데 평가 도구로는 타이밍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IM의 Long Form Assessment(LFA)를 사용하였다.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Rhehacom 판별 검사(RehaCom screening module)를 사용하였고,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판(BOT-2)를 사용하였다. 결과 : LFA의 타이밍 능력의 평가 결과는 사례 아동 모두에서 전체 운동과제의 평균 반응 속도가 감소되어 타이밍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의력은 사례1 아동에서 시각적 분리 주의력(visual attention division), 편측무시(neglect) 그리고 충동 조절(response inhibition) 기능이 향상되었고. 사례2 아동에서는 지속적 주의력(sustained attention) 기능이 향상되었다. 운동기능은 BOT-2 단축폼(short form)의 백분위(%ile Rank)가 사례1 아동은 42%ile에서 96%ile로 향상되었고, 사례2 아동은 21%ile에서 66%ile로 향상되었다. 두 사례 아동 모두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항목과 상지 협응(upper-limb coordination)항목의 등가연령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사례보고는 IM 훈련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타이밍, 주의력, 운동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측 경련성 사경 수술적 치료 후 좌측에 발병한 경련성 사경 환자에서 시행된 국소마취제 신경차단술의 임상효과 - 증례보고 - (Positive Effects of Local Anesthetic Nerve Blocks for a Patient with Newly Developed Left Side Spasmodic Torticollis after Surgical Intervention of Right Side Spasmodic Torticollis - A case report -)

  • 최창훈;최진환;성춘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246-250
    • /
    • 2007
  • We report here on a case of right side spasmodic torticollis (ST) that was refractory to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and medication. The patient finally underwent a selective ramisectomy with ipsilateral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resection, but the remaining symptoms slowly aggravated, and a contralateral left side SCM spasm began. As conservative therapy for reducing the spasmodic symptoms, accessory nerve block, upper cervical plexus block and stellate ganglion block were performed twice in a week. After 6 months, the spasmodic symptom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ronto Western Spasmodic Torticollis Rating Scale (TWSTRS) decreased by more than 70%. After one year of serial intermittent local anesthetic blockade therapy, the patient became almost free from the original ST symptoms (TWSTRS = 1). Serial local anesthetic interventions for the ST patient may have a beneficial role on the pathological peripherocentral neural activity of the ST patient and can modulate motor-sensory integration in the patient.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APAEL Smart Glove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76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ethods : The subjects were equally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6) to whom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as applied and a control group (n=16) who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iv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 each time, for six weeks.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Manual Function Test was measured to examine their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tervention, and a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was calculated to look at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p<.05). However, the improvements in these parameter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is a stable and reliable interven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COVID-19로 인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놀이 활동 참여 변화: 주제범위 문헌고찰 (The Change in Participation Patterns in Play Activ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COVID-19: A Scoping Review)

  • 김향원;송예지;강성현;원하은;정윤화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놀이 활동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재난으로 인한 아동의 놀이 활동 참여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Arskey와 O'Malley가 제시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COVID-19가 발표된 2020년 3월부터 2022년 8월까지 CINAHL, PubMed, ERIC, MEDLINE,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와 Google 검색엔진을 통해 영문 문헌과 웹사이트 정보를 검색하였다. 문헌의 출판연도, 연구가 이루어진 국가, 연구유형, 대상자 연령, 대상자 수, 연구 결과 등의 10가지 항목에 따라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양적 자료를 통해 관련 주제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주제 분석을 통해 COVID-19로 인한 아동의 놀이 양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437개의 문헌 및 152개의 웹사이트 정보를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문헌이 분석되었다. 분석된 연구는 다양한 나라와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문헌에서 공통으로 강조된 5가지 주제는 COVID-19로 인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실외 놀이 감소, 스크린 이용 시간 증가, 가족 간 시간 증가, 감각적 어려움, 그리고 연구자가 권고하는 서비스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재난 상황 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경험하는 놀이 활동 참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주양육자와 자녀가 함께할 수 있는 공동 미디어 참여, 부모 행동 전략 교육 등의 비대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는 향후 재난 상황 시 장애아동의 놀이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서비스 지침을 체계화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