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nse of Loss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초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ef of Loss and the Sense of Ego-Integrity of the elderly)

  • 김후경 ;이순철 ;오주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17-32
    • /
    • 2007
  • 상실이란 일반적으로 개인이 가장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물건, 사람, 소유 혹은 생각을 박탈 당하는 것으로 일생에 있어 불가피한 경험이며, 특히 고령자의 특성상 이와 같은 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상실로 인한 부정적 정서, 즉 상실감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것이지만, 이를 원활히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심리·사회적인 부적응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상실감이 어떤 요소들로 구성이 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이것이 고령자의 자아통합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 9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상실감의 요인은 '경제적 상실', '사별 상실', '건강 상실', '관계의 상실'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요인들이 전체적으로 '죽음에 대한 수용'을 제외한 나머지 자아통합감의 요인들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특히 '경제적 상실'로 인한 상실감은 '죽음에 대한 수용'과 '노령에 대한 수용'을 제외한 나머지 자아통합감 하위요인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건강 상실'과 '관계의 상실'도 각각 '노령에 대한 수용' 및 과거부터 현재까지를 포함하는 생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령자 상실감 척도의 '사별 상실' 요인과 자아통합감의 '죽음에 대한 수용' 요인은 모든 분석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노인의 차별경험과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Elderly'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ense of Loss on Suicidal Ideation)

  • 이은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61-371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31개 시군구를 층화표집하여 노인복지관 10개소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8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 하위요인인 개인적 차별경험과 사회적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였다. 둘째, 개인적 차별경험은 상실감을 부분매개로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별경험은 상실감을 완전매개로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상실감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을 예방하고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상실감 해소를 통해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농촌노인의 상실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Lo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Elders use Primary Health Care Post's Services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봉은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농촌노인의 상실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남지역 보건진료소의 건강증진프로그램을 3년 이상 꾸준히 이용하고 이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총 345명으로,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의 상실감과 우울 및 자살생각은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역사회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의 상실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상실감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보건진료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건강증진프로그램과 함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결합하여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Making Sense of Loss and Belongingness: Korean Transracial Adoptees' Journey from Europe to Korea

  • Favre, Beatrice;Park, Hye Jun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6권1호
    • /
    • pp.1-16
    • /
    • 2016
  • From 1953 to 2015, approximately 200,000 children born in Korea were adopted into foreign countrie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Korean adoptees growing up in the US, as the majority of these children were adopted by American families. In comparison, research on Korean transracial adoptees raised in European countries is limited. Thus, the current study aims to highlight the journey of Korean transracial adoptees from Europe to Korea. Three participants narrated their life stories as adoptees in two separate interview ses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ll attention to the adoptees' ongoing reconsideration of their identity as they assimilate life experiences within two disparate cultural settings in Europe and Korea. The study found that ambiguous loss faced by the adoptees from their childhood in Europe continued to their adulthood in Korea. Major themes of the participants' narratives in their journey from Europe to Korea focused on their feelings of loss and the lack of belongingn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sense of loss and the lack of belongingness changed over time. Participants were active agents in the process of their journey from Europe to Korea, as they constantly worked to adapt to and improve their situation in face of adversity.

유방암 수술환자의 수술 후 불편감, 상실감, 가족지지가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st-operative Discomfort, Sense of Loss, and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in Patient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 권안나;김태현;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4-4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t-operative discomfort, sense of los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in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breast cancer in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were as follows: having a religion (${\beta}=-.20$, p=.006), having an occupation (${\beta}=.14$, p=.049), having a high school diploma (${\beta}=.31$ p=.001), making less than 2-3 million won (${\beta}=-.19$, p=.036) per month, experiencing a sense of loss (${\beta}=-.22$, p=.003) and family support (${\beta}=.44$, p<.001). The total explanatory power amounted to 53.8% (F=14.83, p<.001, $AdjR^2=.54$). Conclusio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or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that improve resilience by reducing the sense of loss and increasing family support must be developed.

  • PDF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대한 상실감, 우울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41-54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1개 시군구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지역별·유형별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10개소) 이용자인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1:1 심층면접 조사하여 총 36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과 Bootstrapping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우울감은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 및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연쇄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여성의 자궁절제술후 삶의 질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 김숙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1-17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marital intimacy, importance of uterus, professional support,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pre-operative symptoms. Endogenous variables were spouse's support, sense of loss and quality of life.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re from 203 women having hysterectomies at the outpatient clinics of four general hospitals and a mail survey in P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997 to January, 1998. Reliability of the eight instruments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which ranged from 0.639-0.915. For the data analysis, SPSS 7.5 WIN Program and LISREL 8.12 WIN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s follows : 1.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the empirical data. [$\chi$$^2$=6.93(df=5, P=.23), GFI=.99, AGFI=.94, RMSR=.019, NNFI=.97, NFI=.98, CN=440, standardized residuals(-2.14-2.10)] 2. For the parsimony of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3 paths and adding 1 path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3. The modified model also showed a good fit with the data. [$\chi$$^2$=5.26(df=7, P=.63), GFI=.99, AGFI=.97, RMSR=.014, NNFI=1.02, NFI=.99, CN=710, standardized residuals(-1.46-1.70)]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 1. Marital intimacy(${\gamma}$11=.78, t=14.37) and professional support(${\gamma}$13=.12, t=2.12)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pouse's support. 2. Pre-operative symptoms(${\gamma}$25=.32, t=3.12), importance of uterus(${\gamma}$22=.20, t=2.61) and spouse's support($\beta$2l=-.19, t=-2.43)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loss. 3. Sense of loss($\beta$32=-.66, t=-9.83) had a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Marital intimacy had a direct(${\gamma}$31=.19, t=3.33), indirect(${\gamma}$31=.14, t=2.52) and total effect(${\gamma}$31=.25, t=4.41) on the quality of life. Profession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gamma}$33=.11, t=2.07) and total effect(${\gamma}$33=.13, t=2.31) on the quality of life. The direct effect of pre-operative symptoms(${\gamma}$35=-.36, t=4.02) and positive coping behavior(${\gamma}$34=.15, t=2.06) had the in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while, due to the idirect effect these variables had overall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nse of loss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Marital intimacy, pre -operative symptoms and spouse's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s sense of loss. These four variables, the sense of loss, marital intimacy, pre-operative symptoms and spouse's support, were identified as relatively importa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needed to determine if nursing intervention would alleviate this sense of loss and promote a greater quality of life in women who have had hysterectomies.

  • PDF

농촌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on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ntegration-)

  • 남희수;진봉희;이정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2호
    • /
    • pp.81-9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self-integ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eath anxiet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First,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among the sub-elements of death anxiety, the anxiety of loss of existence and the anxiety of the death process were negative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which is a parameter such as anxiety about loss of existence, anxiety about the death process, and anxiety about post-mortem outcom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mediates betwee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by improving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and reducing death anxiety.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불편감 연구 (Undergoing Non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 신현자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9-8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scribe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going noninvasive ventilation(NIV). Method: Open-ended ques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atients using NIV. Considering the outcomes of the interviews, literature, and experts'opinion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wenty patients in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answered the questions. Results: Through open-ended question interviews and survey, the patients using NIV reported feeling heavy, impotent feeling, pain, loss in feeling, loss in communication, and lack of sleep as physical distress and a loss in sense of time, pain, anxiety, mind of desiring to die, worry about family, and a sense of burden for medical-cure expenses as psychosocial distress. Conclusion: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going NIV experience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tress to artificial respiratory ventilation treatment.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with a large sample for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

  • PDF

모바일 미디어 기술과 주거형태에 따른 노인 자살생각 완화 연구 (Investigation on the Mitigation of Suicidal Thoughts in the Elderly Depending on Mobile Media Technology and Living Arrangement)

  • 범철호;존 존슨;최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34-545
    • /
    • 2020
  • 초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한 독거노인의 인구는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홀로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은 상실감과 자살 생각이 높아질 수 있음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형태와 스마트폰이 이들의 상실감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2G폰을 사용하는 노인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들보다 낮은 사회적 역할과 관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구성원 또는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노인들은 독거노인들보다 낮은 자살 생각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사회적 역할과 관계의 상실감은 거주 형태보다 스마트폰의 사용 실태 여부에 더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노인들은 사회적 역할과 관계에 대해 낮은 수준의 상실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 사이에서 신체적 건강, 사회적 역할, 관계의 상실감은 자살 생각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는 점에서 놀랍게도 경제적 능력만이 자살 생각의 지표가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