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of Connec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8초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 전통의 지속과 변화 (The Continuance and Changes of Horsehair Handicraft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황경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60-171
    • /
    • 2014
  • 국가에서는 수작업에 따른 높은 가격과 수요가 없어 작품판매가 부진한 중요무형문화재 종목의 전통공예품 제작 활성화와 활용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승자들의 작품을 구입하고, 전통공예품관리 시스템 마련과 전통공예품은행 설치, 국내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설 전시관 운영 등 전통공예품 활용과 관리체계 구축 등이 그것이다. 전통공예품 지원책은 전통공예품의 체계적 관리, 무형문화재에 관심제고, 해외에 한국의 전통적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기대효과를 가져온 반면, '전승단절 위기에 처한 무형문화재에 대한 관심확대를 통하여 이수자 확보, 보유자 지원, 종목 활성화 등 협력적 관계망 구성'이라는 성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것은 지역사회와 전승자가 자부심을 가지고 지역자원으로서 문화적 전통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승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토대임에도 불구하고, 전통공예가 처한 지역적 상황에 대한 고려와 전승현장, 그리고 전승자를 포함한 전승집단과 공동체에서 찾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생활과 유리되어 사회적 수요부족 등으로 인해 제작기술의 단절이 우려되는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취약 종목인 '갓일', '탕건장', '망건장' 등 말총공예분야의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국가의 보호정책을 통해 살폈다. 아울러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의 전승활성화를 위해서는 말총공예 제작기술의 전수, 원재료 수급과 수요창출은 물론, 지역사회와 전승자가 자부심을 가지고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확보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spects of Korean Political Theatre Movement)

  • 김성희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5-59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and aesthetics of Korean political theatre from its quickening period 1920s to democratization era 1990s. Political theatre before 90s developed an antithesis resistant movement toward Korean modern history that had been scattered with suppressing political circumstances such as colonial era and dictatorial government, the movement has powerful activity and social influences. Just like the 20 century political theatre had been quickened under the influence of Marxism at Russia and Germany in 1920s, Korea's political theatre began in socialism theatre movement form around the same time. Proletarian theatre groups had been founded in Japan and Korea, and developed into practical movement with organized connection. However, the political theatre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an empty vessel makes great sound but not much accomplishments. Most performance had been canceled or disapproved by suppression or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The political theatre in liberation era was the left drama inherited from Proletarian theatre of the colonial era. Korean Theatre alliance took lead the theatrical world unfold activities based on theatre popularization theory such as 'culture activists' taking a jump up the line and 'independent theatre' peeping into production spot as well as the important event, Independence Movement Day Memorial tournament theatre. Since 1947,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strongly oppressed the left performances to stop and theatrical movement was ended due to many left theatrical people defection to North Korea. The political theatre in 1960s to 70s the Park regime, developed in dramaticall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orthodox group and group out of power. The political theatre of institutional system handled judgment on sterile people and had indirect political theatre from that took history material and allegory technique because of censorship. In political theatre out of institution, it started outdoor theatre that has modernized traditional performance style and established deep relationship with labor spot and culture movement organizations. Madangguek(Outdoor theatre) is 'Attentive political theatre', satirizing and offending the political and social inconsistencies such as the dictatorial government's oppression and unbalanced distribution, alienation of general people, and foreign powers' pillage sharply as well as laughing at the Establishment with negative characters. The political theatre in 1980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litical theatre of institutional system and Madangguek. Institutional Political theatre mainly performed in Korea Theatre Festival and the theatre group 'Yeonwoo-Moudae' led political theatre as private theatre company. Madangguek developed into an outdoor theatrical for indoor theatre capturing postcolonial historical view. Yeonwoo-Moudae theatre company produced representative political plays at 80s such as The chronicles of Han's, Birds fly away too, and so on by combining freewheeling play spirit of Madangguek and epic theatre. Political theatre was all the rage since the age of democratization started in 1987 and political materials has been freed from ban. However, political theatre was slowly declined as real socialism was crumbling and postmodernism is becoming the spirit of the times. After 90s, there are no more plays of ideology and propaganda that aim at politicization of theatre. As the age rapidly entered into the age of deideology, political theatre discourse also changed greatly. The concept 'the political' became influential as a new political possibility that stands up to neoliberalism system in the evasion of politics. Rather than reenact political issues, it experiments new political theatre that involves something political by deconstructing and reassigning audience's political sense with provocative forms, staging others and drawing discussion about it.

인도의 언어이론과 파니니 (Linguistic Theory in India and Panini)

  • 김형엽
    • 인문언어
    • /
    • 제1권2호
    • /
    • pp.123-139
    • /
    • 2001
  • In the history of linguistics in the world the scholars in India could b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linguists, who had provided the cornerstone of the academic development at linguistics. Without looking into the contents of Indian linguistic theories devised and developed in the past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to account for the origin of descriptive linguistics and historical linguistics. These linguistics trends became full-fledged in 19 and 20 century and are still accepted by a lot of researchers in order to analyze newly revealed languages and train students only coming up the toddling level of linguistic studies. In this paper I will show how far the influence of Indian linguistics has colored the flow of linguistic growth historically.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Panini grammar I will prove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an linguistic theory and the generative grammar - it is the most active theory at present. The methods that Panini applied to constitute the rules like sutra include lots of information, that also could be discovered at the rules postulated in the generative grammar. One of the common features found at both linguistic theories is the simplicity of rule representation. At the generative grammar a rule has to be established without any redundancy. When certain number of sounds like p, b, m show the same phonological. change relevant to lips (labial in linguistic term) different rules need not to be given for each sound separately. It is better to find a way of putting the sounds together in a rule with grouping the 3 sounds with the shared phonetic feature 'labial'. In Panini grammar the form of a rule was decided based on the simplicity, too. For example, sutra 6.1.77 shows the phon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vowels i, u r 1 and the semi-vowels y, v, r, 1. However, it does not require to postulate 4 individual rules respectively. Instead a rule in which the vowels and the semi-vowels are involved is suggested, and linguistically the rule make it clear that the more simpler the rules will be the better they can reflect the efficiency of human language acquisition. Although the systems introduced at Panini grammar have some sense of distance from the language education itself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e grammar formulates the a turning point of linguistic development. It is essential for us to think over the grammar from the view point of the modem linguistic theories to understand their root and trunk more thoroughly. It will also help us to predict in which way linguistic tendency will proceed to in future.

  • PDF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어린이집 연장보육전담교사의 일과운영경험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Suggestion for revising the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wareness of daycare center extended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and play 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 지인숙;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73-483
    • /
    • 2024
  • 본 연구는 연장반 전담교사들의 일과 운영 경험을 알아보고 연장 보육 전담교사의 놀이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연장반 전담교사 8명이며, 2023년 9월부터 10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2회씩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영유아 혼합반의 구성으로 영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가 다르므로 놀이 중심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장반 전담교사들은 연장반 교실에 부재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보조교사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놀이중심교육을 수행하기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장보육전담교사를 위한 전담교실,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연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왕양명의 심학(心學)과 공감 (Wang Yang-Ming's Mind-Heart Learning and Empathy)

  • 정갑임
    • 유학연구
    • /
    • 제48권
    • /
    • pp.333-360
    • /
    • 2019
  • 본 연구는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중국 명대(明代)에 활동했던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의 심학(心學)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왕양명의 심학을 공감이라는 코드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왕양명 심학의 골수라고 불리우는 양지(良知)의 공감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양지의 성격은 왕양명의 유기체적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데, 왕양명은 천지자연의 세계를 살아있는 하나의 생명체로 파악한다. 왕양명은천지간에 존재하는 만물사이에 자연의 생명력이 막히지 않고 소통되는 자연의 덕성을 인(仁)이라고 하여 인이 바로 천지자연의 쉼없고 역동적인 생명창출의 근거인 생의로 자연과 인간에 다 함께 충만한 생명의 힘이자 생명의 원리[生理]라는 것을 강조한다. 왕양명은 자연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인간에게 천지자연을 낳고 살리는 생명의 이치인 인이 본성[性]으로 갖추어져 있다고 보는데 바로 그런 맥락에서 공감은 왕양명 심학의 전체적인성격으로 볼 수 있다. 왕양명은 현대의 심리학이나 상담심리 영역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여러 감정 상태나 정서들, 즉 불안, 근심, 즐거움, 기쁨, 안정 등을 인간의 본성(本性)과 밀접하게 연결시킨다. 그가 선한 본성의 실현과 감정을 밀접하게 연관시킴으로써 성체와심체를 통합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통해 왕양명은 도덕적인 행위가 타율적인 의무나 외적 강제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래 마음[本心]이 지닌 생동감과 기쁨으로인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촉발된다고 본다. 이러한 왕양명의 심학에서의 공감에 대한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감수성으로서의 공감,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공감, 통합지성으로서의 공감, 그리고 성선(性善)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의 공감을 부각시킬 것이다.

커뮤니티 기반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주요 요인 고찰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을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key Factors for Communitiy -Based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 이다영;정재현;박진욱
    • 농촌계획
    • /
    • 제30권3호
    • /
    • pp.19-28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y promotion process targeting the 'Alassiasdeuli Community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which is carrying out continuous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led by local residents in the area of Yeohang Mountain, Yeohang-myeon, Haman-gun, Gyeongsangnam-do. Through this, the factors necessary to promote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led by residents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necessary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led by residents were derived. The first factor that allowed Alassiasdeuli to pursue resident-led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was the fact that an economically stable foundation was established before pursuing conservation activities.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based on continuous agricultural activities, and agri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ic aspect. Accordingly, Alassiasdeuli had a small but regular income from the package business, and was able to carry out various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based on this. Second, within the community, a sense of purpose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was shared as a common value. It started with common values that were in line with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such as an economic community based on agriculture, indigenous seed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agriculture, and later, awareness of traditional agriculture and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was gradually established through members' continued empowerment and related experiences. It has been done. Third, various connections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with residents, related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 We established cooperative relationships by recruiting local organizations and residents as active participants beyond program participation, and exchanged information and expanded the scope of activities by establishing networks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Gyeongnam Darang-Non Network'. In addition, through connection with administration, we experienced various projects and ensured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ies through support. Fourth, there was a keyman who could organize activities and control the scale of support projects, taking into account the awareness and capabilities of members. In particular, it is thought tha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Secretary General was based on building a relationship of trust with residents before Alassiasdeuli was formed. Therefore, in order for resident-led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to be continuously carried out, an organization must be formed centered on farmers, and the 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organization, sharing of common values, and trust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re the basis, and the Sustainable activities can be promoted through various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s,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

아동학대 사망사건 판결의 양형 분석 (Analysis on Determination of Punishment in Sentencing for Cases Involving Child Maltreatment Fatalities)

  • 정익중;최선영;정수정;박나래;김유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131-160
    • /
    • 2016
  • 본 연구는 2001~2015년까지 아동학대 사망사례 55건의 판결문(피고인 81명, 판결문 95건)에 제시된 가해자에 대한 양형 실태를 분석하였다. 주가해행위자에 대한 양형분석 결과, 집행유예 및 3년 미만의 비교적 경미한 처벌을 받은 경우가 약 40%였으며 선고형량이 법정형 하한 미만이거나 양형기준의 권고형량을 하한이탈한 판결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아동학대 사망사건 가해자에 대한 처벌수위가 매우 관대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형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을 성실하게 양육해 온 점', '아동의 사망으로 인한 심적 고통, 죄책감', '훈육 목적 등 참작할만한 동기'와 같이 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나 주관적 성향에 따라 달리 판단될 수 있는 양형요소가 형을 감경하는데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조자의 경우 피해아동의 사망을 방지할 수 있는 지위에 있었음에도 대부분 집행유예 또는 벌금형으로 매우 경미한 처벌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판결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초범, 우발적 범행, 친권자 및 양육자, 유족과의 합의, 훈육 등 그동안 아동학대 사망사건에서 관행적으로 언급되어 온 양형요소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앞으로 판사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 및 인식 개선, 아동학대 고유의 양형기준의 재정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모드』 : 빅토리아 시대 시인의 자기 단념과 자기표현 (Christina Rossetti's Maude : Self-Abnegation and Self-Expression of a Victorian Poet)

  • 하명자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391-420
    • /
    • 2011
  • Christina Rossetti's novella Maude displays Tractarian influences in terms of Holy Eucharist, Puseyism, and the doctrine of Reserve. Tractarianism is High Church revival movement of nineteenth century. In the story a teenage girl, Maude went through hard time receiving Holy Eucharist due to self-consciousness and internal guilt according to Puseyism. She felt guilty when she enjoyed worldly things and outward beauty. Due to guilt Maude refused to receive Holy Communion, which is complete connection to God. Her cousin, Agnes suggested that in refusing Holy Communion Maude is following her own will not God's will. Later Maude overcame Puseyite thought of self-hatred and reconciled with her identity as a poet and a woman. Maude oscillates between concealing and revealing, secrecy and truth, sincerity and affectation, and modesty and display. Her marvelous poetic talent makes people praise her but she withholds private feelings and attempts to divert attention from herself. Like Maude herself, the meaning of her poems is at times reserved and withheld. This tendency goes with the doctrine of Reserve in Tractarianism. The doctrine of Reserve utilizes indirect methods to reveal divine attributes because finite human being can not accept infinite God. The doctrine of Reserve sees to it that the expression will be veiled, indirect, subdued and self-effacing. Rossetti adapts a poetic method of Reserve when Maude has anxiety over 'display and poetry' and generates the reticence, secrecy, mystery, renunciation, modesty and detachment. According to Mary Arseneau, by veiling and expressing herself through symbols she can rise above the self and employ the phenomenal to suggest a noumenal reality. Thus the poetry becomes an expression of longing for the divine. The poem "Three Nuns" exemplifies Maude's maturity and gradual progres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Rossetti suggests the vision full of hopes and promises of reuniting with God. In conclusion, in some sense, authoritative and conservative Tractarianism affects Rossetti both ways. On the one hand, it makes Rossetti abnegate herself and leads her to asceticism, on the other hand, it makes Rossetti express her faith in God and write amazing devotional poems such as "Three Nuns". A poem within the poem has three voices that are in perfect harmony. In the poem the first and second nun show hesitation to fully commit to God's will and the desire for the world prevents them from having heavenly joy. Third nun reveals spiritual maturity and sings new life in God where their hopes and joys begin. Rossetti expresses the procedure of spiritual growth through the poem "Three Nuns". For Rossetti, self-abnegation and self-expression both are involved in the doctrine of Reserve, Puseyism and Holy Communion.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 비판 (Han Wonjin's Criticism of Kim Changhyup's Theory of Jigak)

  • 이선열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43-74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호학(湖學)의 종장이었던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에 대한 비판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당시 호락논쟁에서 지각과 관련된 논쟁을 주도했던 인물은 김창협이었고, 따라서 당시의 지각 담론은 대체로 그에 대한 찬반 논의로 전개되는 양상이었다. 낙학(洛學)와 대립한 한원진에게 농암설을 성공적으로 반박하는 것은 호학(湖學)의 학파적 입장을 정립함에 있어 주요한 사안이었다. 쟁점은 주로 지각의 연원에 관한 문제, 혹은 지(智)와 지각(知覺)의 관계에 관한 문제였다. 김창협은 지(智)와 지각(知覺)가 본질상 별개의 범주에 속하며 양자 간에 체용(體用)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그는 지(智)와 지각(知覺)의 관계를 실현되어야 할 '도(道)'와 그것을 실현해야 할 '기(器)'의 관계, 또는 객체(所)와 주체(能)의 관계로만 보는 입장을 정식화한다. 나아가 김창협은 심(心)의 지각활동이 본성과 직결된 것이 아니며 그로부터 비롯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하여 심(心)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한원진은 그러한 김창협의 구도가 성(性)과 심(心)을 분리하며 궁극적으로 본성이 아니라 마음을 본체로 삼는 오류에 빠질 수 있음을 경계한다. 그는 심(心)의 지각활동이 본성이라는 절대적 근거가 없이 이루어진다면, 결국 지각은 자의적으로 대상과 관계맺는 맹목적인 인지활동에 지나지 않게 된다고 본다. 만약 본성에 근거하지 않더라도 지각이 도덕적 성격을 띠게 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는 본성이 아니라 마음 자체에 도덕의 근거가 내재한다는 얘기가 되므로 결국 본체를 성(性)과 심(心) 둘로 나누는 셈이 되고 만다. 한원진에 따르면 인간의 지각이란 도덕본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활동이어야 한다. 그렇게 볼 때 김창협이 도덕실현의 주체로서 지각의 역할을 강조하는 입장이라면, 한원진의 경우 도덕실현을 가능케 하는 본원으로서 지(智)의 위상을 중시하는 입장에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