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Determination of Punishment in Sentencing for Cases Involving Child Maltreatment Fatalities

아동학대 사망사건 판결의 양형 분석

  • Received : 2016.04.20
  • Accepted : 2016.05.19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determination of punishment of victimizers presented in sentencing(81 plaintiffs, 95 sentencing) for 55 cases involving child maltreatment fatalities between 2001 and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40% of main victimizers were imposed relatively minor punishment such as probation or imprisonment for less than 3 years. Judgments that deviated from lower limit comprised large proportion in connection with compliance with standards for statutory punishment and punishment determination. The elements of punishment determination, such as earnest rearing of child, psychological pain arising from death of child, sense of guilt, motivation that can be considered,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itigation of punishment although such elements could be judged differently, depending on perception or subjective tendency of judges towards child abuse. Even abetters in a position to prevent death of child were imposed minor punishment mostly by probation or monetary penalty.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to reconsider the circumstances of punishment determination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mentioned in cases involving child maltreatment fatalities, such as first offender, accidental crime, person with parental rights, fosters, agreement with family of the deceased, etc.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reinforce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for law enforcement officers and to revamp standards for determining punishment unique to the cases of child abus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1~2015년까지 아동학대 사망사례 55건의 판결문(피고인 81명, 판결문 95건)에 제시된 가해자에 대한 양형 실태를 분석하였다. 주가해행위자에 대한 양형분석 결과, 집행유예 및 3년 미만의 비교적 경미한 처벌을 받은 경우가 약 40%였으며 선고형량이 법정형 하한 미만이거나 양형기준의 권고형량을 하한이탈한 판결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아동학대 사망사건 가해자에 대한 처벌수위가 매우 관대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형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을 성실하게 양육해 온 점', '아동의 사망으로 인한 심적 고통, 죄책감', '훈육 목적 등 참작할만한 동기'와 같이 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나 주관적 성향에 따라 달리 판단될 수 있는 양형요소가 형을 감경하는데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조자의 경우 피해아동의 사망을 방지할 수 있는 지위에 있었음에도 대부분 집행유예 또는 벌금형으로 매우 경미한 처벌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판결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초범, 우발적 범행, 친권자 및 양육자, 유족과의 합의, 훈육 등 그동안 아동학대 사망사건에서 관행적으로 언급되어 온 양형요소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앞으로 판사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 및 인식 개선, 아동학대 고유의 양형기준의 재정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원.이정은.정익중.장화정, 2014, "아동학대 사망사례의 현황과 예측요인", 한국아동복지학, 46: 25-56.
  2. 김지혜.정익중.이희연.김경희, 2013,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5(2): 131-154.
  3. 노명선.강동우, 2010, "실무운영을 통해서 본 작량감경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개선방안", 홍익법학, 11(3): 339-378.
  4. 노충래.정익중.전종설.김정화, 2012, "법집행담당자의 아동학대 인식", 사회과학 연구논총, 27: 77-106.
  5. 뉴시스, 2016, "(5)딸 학대 방임 친부 징역 4년...사법부도 아몰랑?", 2016년 1월 29일.
  6. 대검찰청, 2013, 양형백서: 판결 분석을 통한 양형기준 적용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대검찰청.
  7. 대법원 양형위원회, 2014, 2013년 연간보고서, 서울: 양형위원회.
  8. 동아일보, 2014, "아동학대 사망 '쇠방망이' vs '솜방망이'", 2014년 4월 8일.
  9. 로이슈, 2015, "대법원, 아동학대 둘째딸 사망 '칠곡 계모' 징역 15년...친부 4년", 2015년 9월 13일.
  10. 문화일보, 2016, "원영군 친부도 '살인죄' 검토", 2016년 3월 14일.
  11. 박미랑, 2013, "가정폭력, 가족간살인, 그리고 판결문속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기",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2: 105-142.
  12. 박양호, 2015, "특별기고: 아동학대 사망 사건에서 살인죄 적용에 대한 소고-울산 계모 아동학대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법조, 64(2): 5-56.
  13. 박형관.김현숙, 2015,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대 사건 관련 각국의 법제 및 양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국내 양형 등에 관한 개선 연구, 대검찰청 연구보고서.
  14. 법원행정처, 2013, 사법연감, 서울: 법원행정처.
  15.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5, 2014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16. 손지선.이수정, 2007, "가족살해 가해자의 특성과 양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1-17.
  17. 연합뉴스, 2014, "아동학대 사망사건 해외에선 '살인죄' 인정", 2014년 4월 11일.
  18. 오정수.정익중, 2013,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19. 이경은, 2015, "아동학대 가해부모의 법적 조치 분석", 사회과학연구, 31(3): 183-202.
  20. 이세원, 2015a, "아동학대범죄에 관한 형사 판결 분석 : 아동복지법 위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7(2): 113-136.
  21. 이세원, 2015b, "아동학대 사망사건 판결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254-286.
  22. 이혜숙, 2013, "아동인권 보호를 위한 아동성폭력의 양형기준의 연구", 법과인권교육연구, 6(1): 123-145.
  23. 최경일.임종호, 2010, "아동학대 신고에 관련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1): 55-74.
  24. 최형표, 2015, "양형실무의 변화와 과제", 저스티스, 146(3): 11-68.
  25.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아동학대의 실태와 사법적 대응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6. 허남순, 2003,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3(2): 209-230.
  27. 헤럴드경제, 2016, "부모 죽이면 '패륜', 자식 죽이면 '훈육?' ... 가족살인에 대한 엇갈린 시선", 2016년 1월 21일.
  28.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and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er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29. Bennett, M. D., Hall, J., Frazier, L., Patel, N., Barker, L., and Shaw, K., 2006, "Homicide of children aged 0-4 years, 2003-04: results from the National Violent Death Reporting System", Injury Prevention, 12(suppl 2): ii39-ii43.
  30. Bourget, D., and Gagne, P., 2002, "Maternal filicide in Quebec",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the Law Online, 30(3): 345-351.
  31. Cavanagh, K., Dobash, R. E., and Dobash, R. P., 2007, "The murder of children by fathers in the context of child abuse", Child Abuse & Neglect, 31(7): 731-746. https://doi.org/10.1016/j.chiabu.2006.12.016
  32. Douglas, E. M., and Mohn, B. L., 2014, "Fatal and non-fatal child maltreatment in the US: An analysis of child, caregiver, and service utilization with the National Child Abuse and Neglect Data Set", Child Abuse & Neglect, 38(1): 42-51. https://doi.org/10.1016/j.chiabu.2013.10.022
  33. Friedman, S. H., Hrouda, D. R., Holden, C. E., Noffsinger, S. G., and Resnick, P. J,. 2005, "Filicide-suicide: common factors in parents who kill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the Law Online, 33(4): 496-504.
  34. Klevens, J., and Leeb, R. T., 2010, "Child maltreatment fatalities in children under 5: Findings from the National Violence Death Reporting System", Child Abuse & Neglect, 34(4): 262-266. https://doi.org/10.1016/j.chiabu.2009.07.005
  35. McManus, M. A., Long, M. L., Alison, L., and L Almond..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contact child sexual abuse in a sample of indecent image offenders", Journal of Sexual Aggression: An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forum for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21(3): 368-384. https://doi.org/10.1080/13552600.2014.927009
  36. Megargee, E. L., 1982, "Psychological determinants and correlates of criminal violence", Criminal Violence, 81-170, Sage Publications: Beverly Hills.
  37. Nordlund, J., and Temrin, H., 2007, "Do characteristics of parental child homicide in sweden fit evolutionary predictions?", Ethology, 113(11): 1029-1037. https://doi.org/10.1111/j.1439-0310.2007.01412.x
  38. Overpeck, M. D., Brenner, R. A., Trumble, A. C., Trifiletti, L. B., and Berendes, H. W., 1998, "Risk factors for infant homicide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9(17): 1211-1216. https://doi.org/10.1056/NEJM199810223391706
  39. Putkonen, H., Amon, S., Eronen, M., Klier, C. M., Almiron, M. P., Cederwall, J. Y., and Weizmann-Henelius, G., 2010, "Child murder and gender differences-A nationwide register-based study of filicide offenders in two European countries", The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 Psychology, 21(5): 637-648. https://doi.org/10.1080/14789941003721050
  40. Riffe, D., Lacy, S., and Fico, F., 2014, 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3rd ed), Routledge: NY.
  4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Administration on Children, Youth and Families, Children's Bureau, 2016, "Child Maltreatment 2014", http://www.acf.hhs.gov/programs/cb/research-data-technology/statistics-research/child-mal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