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antic Net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2초

A modified U-net for crack segmentation by Self-Attention-Self-Adaption neuron and random elastic deformation

  • Zhao, Jin;Hu, Fangqiao;Qiao, Weidong;Zhai, Weida;Xu, Yang;Bao, Yuequan;Li, Hui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9권1호
    • /
    • pp.1-16
    • /
    • 2022
  • Despite recent breakthroughs in deep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fields, the pixel-wise identification of tiny objects in high-resolution images with complex disturbances remains challenging. This study proposes a modified U-net for tiny crack segmentation in real-world steel-box-girder bridges. The modified U-net adopts the common U-net framework and a novel Self-Attention-Self-Adaption (SASA) neuron as the fundamental computing element. The Self-Attention module applies softmax and gate operations to obtain the attention vector. It enables the neuron to focus on the most significant receptive fields when processing large-scale feature maps. The Self-Adaption module consists of a multiplayer perceptron subnet and achieves deeper feature extraction inside a single neuron. For data augmentation, a grid-based crack random elastic deformation (CRED) algorithm is designed to enrich the diversities and irregular shapes of distributed cracks. Grid-based uniform control nodes are first set on both input images and binary labels, random offsets are then employed on these control nodes, and bilinear interpolation is performed for the rest pixels. The proposed SASA neuron and CRED algorithm are simultaneously deployed to train the modified U-net. 200 raw images with a high resolution of 4928 × 3264 are collected, 160 for training and the rest 40 for the test. 512 × 512 patches are generated from the original images by a sliding window with an overlap of 256 as input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IoU between the recognized and ground-truth cracks reaches 0.409, which is 29.8% higher than the regular U-net. A five-fold cross-validation study i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to different training and test images. Ablation experiments further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ASA neuron and CRED algorithm. Promotions of the average IoU individually utilizing the SASA and CRED module add up to the final promotion of the full model, indicating that the SASA and CRED modules contribute to the different stages of model and data in the training process.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을 위한 사전 자질 생성 (Feature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Named-Entity Recogn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 김재훈;김형철;최윤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2호
    • /
    • pp.31-46
    • /
    • 2010
  • 오늘날 정보 추출의 한 단계로서 개체명 인식은 정보검색 분야 뿐 아니라 질의응답과 요약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개체명은 일반 단어와 달리 다양한 문서에서 꾸준히 생성되고 변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체명의 특성 때문에 여러 응용 시스템에서 미등록어 문제가 야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미등록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자질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 시스템은 단어 단위의 자질을 사용하므로 구절 단위의 개체명을 그대로 자질로 사용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절 단위의 정보를 단어 단위의 자질로 변환하는 자질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으로 개체명 사전과 WordNet을 개체명 인식의 자질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영어 개체명 시스템은 F1 점수의 약 6%가 향상되었고 오류의 약 38%가 줄어들었다.

혼합 커널을 활용한 과학기술분야 용어간 관계 추출 (Extrac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Terms based on Composite Kernels)

  • 최성필;최윤수;정창후;맹성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2호
    • /
    • pp.988-99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구문 트리 커널(convolution parse tree kernel)과, 한 문장에서 나타나는 두 개체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동사 상당어구에 대한 개념화를 통해 생성되는 워드넷 신셋 벡터(WordNet synsets vector) 커널을 활용하여 과학기술분야 전문용어 간의 관계 추출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세 가지 검증 컬렉션을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컬렉션 마다 기존의 접근 방법론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KREC 2008 컬렉션을 대상으로 한 성능 실험에서는, 기존의 합성곱 구문 트리 커널과 동사 신셋 벡터(verb synsets vector)를 함께 적용한 합성 커널이 비교적 높은 성능 향상(8% F1)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관계 추출에서 많이 활용하였던 개체 자질 정보와 더불어 개체 주변에 존재하는 주변 문맥 정보(동사 및 동사 상당어구)도 매우 유용한 정보임을 입증하고 있다.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010년~2018년의 '청소년학연구'지를 중심으로 (The Trends of Youth Resear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in 2010-2018)

  • 장신재;이원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07-314
    • /
    • 2019
  •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8년 동안 청소년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청소년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초록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NetMin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의 중심성(Centrality)분석 및 응집성(Cohesion)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결 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관계'가 가장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와 청소년이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부모, 폭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도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 학교, 필요, 교육, 부모, 아동, 학대/정서(같은 수준), 기관, 지역, 휴대폰/예방/복지(같은 수준), 초등, 애착, 자살, 중독, 사회, 폭력, 자녀, 봉사, 지원/정책/재학/교사(같은 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학교생활과 정책, 중독, 부모 & 또래 관계, 시민 교육 & 복지지원, 정서와 사고, 대학, 학대 & 자살로 총7개의 하위 주제로 구분되었다.

무인항공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 분류 기법의 공간적 재현성 평가 (Spatial Replicability Assessment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Urban Area)

  • 박건웅;송봉근;박경훈;이흥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3-80
    • /
    • 2022
  • 현실의 공간을 가상의 공간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복잡한 도시 내의 정밀한 공간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경관을 가진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를 통해 영상을 취득하고 고해상도 영상에 적합한 영상분류 기법인 객체기반 영상분석 기법과 의미론적 분할 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또한, 동일시기에 수집된 영상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학습하지 않은 지역에 대해 각 인공지능 모형의 토지피복 분류 재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모형을 학습하였을 때,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가 OBIA-RF는 89.3%, OBIA-DNN은 85.0%, U-Net의 경우 95.3%로 분석되었다.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증 지역에 인공지능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OBIA-RF는 7%, OBIA-DNN은 2.1%, U-Net은 2.3%의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형태학적인 특성과 분광학적인 특성을 모두 고려한 U-Net이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 및 재현성 평가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밀한 공간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기초자료 생성 방법으로써 도시환경 연구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통신망 설계를 위한 네트워크 모형의 상위수준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of Network Models for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 Networks Design)

  • 김철수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25-148
    • /
    • 1996
  • This paper is primarily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del management systems such as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and buildings of optimization models using them,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models.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the model builders an intuitive language-namely higher level representation-using five distinctivenesses : Objective, Node, Link, Topological Constraint including five components, and Decision. The paper elaborates all components included in each of distinctivenesses extracted fr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telecommunication network models.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represented with five distinctivenesses should be converted into base level representations which are employed for semantic representations of linear and integer programming problems in knowledge: assisted optimization modeling system(UNIK-OPT). Furthermore, for formulating the network model using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the reasoning process is proposed. A system called UNIK-NET is developed to implement the approach proposed in this research, and the system is illustrated with an example of the network model.

  • PDF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시맨틱 어노테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mantic Annotation System for Multimedia File)

  • 황인문;유남현;송길종;김원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301-305
    • /
    • 2007
  • 기존의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직접 분석하여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던 기존 연구들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부여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온톨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직접 검색을 실시하지 않거나, 잘못된 의미가 부여된 키워드에 의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성과 재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ASM은 키워드에 부여된 다의성과 동의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WordNet을 이용하여 확장한 후, 확장된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이미지에 대한 직접 분석을 실시할 수 있으며, 키워드에 대한 동의성과 다의성을 이용한 확장된 키워드들을 이용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재현율과 정확성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를 위한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 (A Semantic Case Scheme and a Feature Set for Processing Prepositional Phrases in English-to-Korean Machine Translation)

  • 강원석;서정연;김길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7-180
    • /
    • 1994
  •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는 자연어 처리의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전치사구의 격의미는 그에 대한 한국어 표현에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본 논문은 영어의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 표현을 선택하기 위한 격의미 체계를 정의하고 그 격의미 체계를 실험한다. 이 격의미 체계는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의 격의미를 분별함으로 보다 좋은 한국어 격조사를 선택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각 격의미의 구분을 위한 의미속성 집합도 정의한다. 이 의미속성 집합은 WordNet의 시소러스에서 제공한 상하위 관계와 변환표를 근거로 자동적으로 추출된다.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획득은 격의미 체계의 표현과 기계변역의 성능 평가에 일반성을 부여한다.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 획득은 영한 기계변역은 물론 한국어 생성과 자연어 처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VERIFICATION OF PLC PROGRAMS WRITTEN IN FBD WITH VIS

  • Yoo, Jun-Beom;Cha, Sung-Deok;Jee, Eun-Ky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79-90
    • /
    • 2009
  • Verification of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programs written in IEC 61131-3 function block diagram (FBD) is essential in the transition from the use of traditional relay-based analog systems to PLC-based digital systems. This paper describes effective use of the well-known verification tool VIS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behavioral equivalences between successive FBD revisions. We formally defined FBD semantics as a state-transition system, developed semantic-preserving translation rules from FBD to Verilog programs, implemented a software tool to support the process,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a subset of FBDs for APR-1400 reactor protection system design.

비디오 캡션 생성을 위한 의미 특징 학습과 선택적 주의집중 (Semantic Feature Learning and Selective Attention for Video Captioning)

  • 이수진;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5-868
    • /
    • 2017
  • 일반적으로 비디오로부터 캡션을 생성하는 작업은 입력 비디오로부터 특징을 추출해내는 과정과 추출한 특징을 이용하여 캡션을 생성해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비디오 캡션 생성을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과 그 학습 방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비디오를 표현하는 시각 특징 외에, 비디오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동적 의미 특징과 정적 의미 특징을 입력 특징으로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입력 비디오의 시각 특징들은 C3D, ResNet과 같은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여 추출하지만, 의미 특징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의미 특징 추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비디오 캡션을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적 주의집중 캡션 생성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Youtube 동영상으로부터 수집된 MSVD 데이터 집합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의 성능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