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assertivenes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6초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자기표현성, 자아존중감, 우울과 이상섭식태도 간의 관련성 (Relations of Self-assertiven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Abnormal Eating Attitude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Weight Control Experience)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07-2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자기표현성, 자아존중감, 우울과 이상섭식태도의 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여대생 중 체중 조절경험이 있는 170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이상섭식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우울(${\beta}$=0.20, p=.029)이 식사에 대한 자기 통제와 대식증적 증상에, 자아존중감(${\beta}$=-0.22 p=.019)과 우울(${\beta}$=0.18, p=.043)이 음식에 대한 집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beta}$=-0.35, p<.001)이 날씬함에 대한 집착정도에, 자기표현성(${\beta}$=0.22, p=.008)과 우울(${\beta}$=0.20, p=.034)이 다이어트에 대한 집착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대생의 건강한 체중 조절 및 이상섭식태도를 줄이기 위해, 자기표현성과 자아존중감 향상 및 우울조절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요인의 치료적 간호가 필요하다.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Sexual Assertiveness : Mediating Effect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 구상미;오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58-167
    • /
    • 2021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충북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정하윤(2013)의 데이트폭력 인식, 정진아(2016)의 성적 자기주장, 남현미(2003)의 폭력허용도의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데이트폭력 인식과 폭력 허용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3, p<.001), 폭력허용도와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 p<.05). 둘째,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𝛽=.43, p<.001),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F=36.10, p<.001). 셋째,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의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효과의 감소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Z=2.05, p<.05)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폭력허용도를 낮추고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성적 자기주장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비흡연 대학생의 간접흡연 노출 시 주장행위 관련요인 - ASE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the ASE Model to the Assertive Behavior of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 추진아;김은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11
  • Purpose:The present study was to apply the Attitudes-Social influence-Efficacy (ASE) model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ssertive behavior of non-smoking college students when they are exposed to secondhand smokes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n-smoking college students (N=1,656, 76.6% female) at two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in outcome measure was the assertive behavior. ASE factors such as attitudes toward being assertive, social influences, and self-efficacy as well as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smoking-related factors were self-administrated. Results: The mean of the assertive behavior (range 1~5 points) was 2.23;37.6% was not at all assertive, while 4.3% was always assertive. Higher assertive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higher level of positive attitude, social influence and self-efficacy (p<.05 for all).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social influence was the strongest factor associated with the assertive behavior (${\beta}=0.430$, p<.001, $R^2$=.246), followed by self-efficacy, motive to assertiveness, having any family member who had diseases, and male gender. These factors explained the assertive behavior by 39.7%. Conclusion: The ASE model may explain the assertive behavior of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Social influence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assertive behavior.

대학생의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Depressive Vulnerability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13-22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pressive vulnerability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 selected 380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from Daegu and Gyeongsan citi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moderating effect with SPSS 23.0. PROCESS, a SP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Hayes (2013).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non-sociability and dependency, self-criticism, non-self-assertiveness, over-consideration, dominance, personal relations, emotion control, and optimism. Second, ego-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non-self- assertiveness, over-consideration, and domin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to address ego-resilience are important to resolve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약물남용예방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The Effect of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성정혜;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1-429
    • /
    • 2004
  •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27 students and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ere 25 students i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C City,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had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which was two days per week program, for 5 weeks. And post-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Paired Samples t-test using with SPSS WIN 11.0.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was given, was improved in knowledge of drug and unacceptable attitude of dru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esteem and assertivenes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knowledge and attitude of dru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전해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2-32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와 전라도 소재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평균 14.38점(SD=9.81)으로 우울 위험수준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2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거주유형, 전공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취업스트레스(${\beta}$=0.31 p<.001)와 성인애착(${\beta}$=0.32, p<.001)이 대학생의 우울의 약 3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20, p<.001). 그러므로 대학생이 직면한 취업스트레스와 성인애착관련 불안과 회피수준을 조절하여 안정된 애착 패턴을 갖도록 도와주는 간호중재가 대학생의 우울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남자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Male University Students' Dating Sexual Assault Recognition)

  • 김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25-533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2월 1일부터 2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트 성폭력 인식과 자아존중감, 가정폭력 경험, 성적 자기주장, 이성교제 폭력 허용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데이트 성폭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정폭력 경험, 성적 자기주장, 이성교제 폭력 허용도, 성교 경험이었으며, 데이트 성폭력 인식을 나타내는 전체 설명력은 54%이었다. 연구결과는 남자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데이트 성폭력 인식 태도와 데이트 성폭력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의 권리실제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ight Practice and Self-Concept on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 지은주;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55-966
    • /
    • 2011
  •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mong adolescent students, by grade gender, rights practice, and self-awareness. It will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of guaranteed rights for adolescents and social skills. Using questionnaires, a 569 adolesc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s showed higher empathy skills than males did in social skill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self-control skills among social skills,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Second, practice for rights and self-concept had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skills. The higher the practice for rights, the higher cooperation,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control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positive self-concept of physical appearance, gymnastic ability, friends, and honesty, trust and value, indicated a higher assertiveness. The result implied that the adolescents' practice for their right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adequate practice for their rights and positive self-concept had influences on their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for adolescents with a low level of social skills to have a satisfactory social life,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their own rights in the right direction and to acquire positive self-concept in the future.

유아의 수줍음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Young Children's Shyness on Social Withdrawal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조우리;신나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419-43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shynes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 in regards to social withdrawal. Two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and teachers of 242 three to five-year-olds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in Sejong city. SPSS 18.0 was used to implement descriptive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effects of lack of sociability and assertiveness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assertiveness and intimate relationship on social withdraw were found whe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intimate.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djusted to lack of assertiveness in the child. Meanwhil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sociability and lack of assertiveness and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 were found in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n alleviating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hyness was limited despite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However, the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became more intense if they we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a teacher; this tendency was also shown more significantly in shier children.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unamicabl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may function as a risk factor to cause social withdrawal behavi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a teacher has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ticularly shyness, and encourage their sociability of children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s.

여대생의 성경험과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Influencing factors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assertiveness)

  • 이난희;정준식;송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4-422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의 한 대학교 여대생들의 성경험 수준, 성 태도, 성 지식 등 성행태를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여대생들의 성적인 자기주장을 높이고자 하는 데 있어 동기를 부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결혼 경험이 없는 여학생(학부, 대학원)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자기 기입식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SAS 9.3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특성별 독립변수들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특성별 성경험, 성지식, 성태도 차이 검정 결과, 성경험은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성경험 수준이 높았고, 성지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인문계열 또는 이공계열일수록,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높았다. 성 태도는 연령이 많을수록, 인문계열에서, 종교가 없을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자신의 성적자기주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자기주장이 연령이 낮을수록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성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 정체가 이미 확립된 대학생 시기가 아닌, 실제 성경험이 시작되기 전인 저학년부터 교육을 통하여 성지식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