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nium-supplementa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Selenium-enriched Bean Sprout and Other Selenium Sources on Productivity and Selenium Concentration in Eggs of Laying Hens

  • Chinrasri, O.;Chantiratikul, P.;Thosaikham, W.;Atiwetin, P.;Chumpawadee, S.;Saenthaweesuk, S.;Chantiratikul,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61-1666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nriched bean sprout, Se-enriched yeast and sodium selenite on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egg Se concentrations in laying hens.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144 Rohman laying hens at 71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four replicates and each replicate contained nine hen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1: control diet, T2: control diet plus 0.3 mg Se/kg from sodium selenite, T3: control diet plus 0.3 mg Se/kg from Se-enriched yeast, T4: control diet plus 0.3 mg Se/kg from Se-enriched bean spro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feed intak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among treatments. Selenium supplementation from Seenriched yeast and Se-enriched bean sprout markedly increased (p<0.05) egg Se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sodium selenite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enriched bean sprou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Se source in diets of laying hens.

Effects of Zn-L-Selenomethionine on Carcass Composition, Meat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Ribonucleotide Content in Broiler Chickens

  • Chaosap, Chanporn;Sivapirunthep, Panneepa;Takeungwongtrakul, Sirima;Zulkifli, Razauden Mohamed;Sazili, Awis Qurn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8-349
    • /
    • 2020
  • The effects of organic Zn-L-selenomethionine (Zn-L-SeMet) at 0.3 ppm on carcass composition, meat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ribonucleotide content were compared against the commercial inorganic sodium selenite (Na-Se)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in commercial broilers. A total of 540 one day-old chicks were assigned at random to 3 dietary treatments : i) commercial inorganic selenium as control or T1, ii) a 1:1 ratio of inorganic and organic selenium as T2, and iii) organic selenium as T3. Carcass composition, meat characteristics, cholesterol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ribonucleotide content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treatments. However, discrepancy were significantly observed in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GSH-Px) and water holding capacity, with organic selenium showing high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p<0.01) and lower shrinkage loss (p<0.05), respect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tribution of organic selenium in bioavailability of GSH-Px. However, having conducted in a commercial close house system with sufficient amount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little or no effects of organic Zn-L-SeMet on meat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and ribonucleotide content (flavor characteristic) in broiler chickens.

사료내 아마종실과 사료첨가물질의 조합첨가가 난황내 지방산 함량과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준엽;이선연;오상집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8-129
    • /
    • 2002
  • 본 연구결과로 $\omega$-3 지방산을 포함한 지방산의 계란내 이행정도는 flaxseed의 첨가와 지방산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미량 사료 첨가물질의 병용첨가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생균물질과 lecithin의 생리적 기능에 의한 계란내 $\omega$-3 지방산의 급증이 특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량 사료 첨가물질의 지방대사 조절기전에 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셀레늄 강화 시금치가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Treated Spinacia oleracea L.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송원영;최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8-3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공급하여 간 조직의 항산화방어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50{\pm}10g$ 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 대조군(N),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HF),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무처리 시금치 5% 공급군(SPA) 및 10% 공급군(SPB),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셀레늄 강화 처리 시금치 5% 공급군(SSA) 및 10% 공급군(SSB)으로 총 6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희생시켰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SOD 활성은 HF군에 비해 셀레늄 시금치 공급군 SSA 및 SSB군에서 각각 31.4% 및 36.9%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였다. GSH-px 활성은 또한 SSA 및 SSB군에서 각각 5.8% 및 12.2%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atalase 함량은 전체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 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은 microsome에서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86.7%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10%의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공급한 SSB군에서는 HF군에 비해 54.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microsome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60.5%로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시금치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itochondria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HF군의 carbonyl value 함량이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10% 공급한 SSB군에서 23.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적혈구에서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59.0%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10% 무처리 시금치 공급군 및 10% 셀레늄 강화 공급군에서는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 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42.6%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은 시금치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무처리 시금치 군에 비해 셀레늄 강화 시금치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과산화지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금치에 함유된 여러 항산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소거에 관여함으로써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킨 결과로 보이며, 특히 시금치에 셀레늄의 처리는 항산화능의 상승효과에 기여했으리라 사료된다.

유기 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기간이 쇠고기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Period of Organic Selenuim Supplementation on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박범영;김진형;황인호;하경희;이성훈;조수현;김동훈;이종문;김완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0-435
    • /
    • 2005
  • 유기 셀레늄 강화 폐배지를 첨가한 실험사료는 셀레늄 농도를 건물 기준으로 0.9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무급여(C), 2개월(T1), 4개월(T2), 6개월(T3) 급여한 한우 거세우 채끝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수분함량은 $63\%$에서 $66\%$로 급여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내 지방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방함량도 처리구별로 약 $11.7\%$에서 $16.4\%$정도의 분포를 보였으나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은 T3구가$20.8\%$로 가장 높았고, T2구가 $19.2\%$로 가장 낮은 조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 셀레늄을 사료로서 첨가 급여할 경우 일반조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가열 감량은 $20\~21\%$, 전단력은 $3.6\~4.4kg/inch^2$의 범위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 24시간 pH는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5.52, 5.57, T2와 T3는 5.50으로 급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보수력은 대조구 $59.5\%$에 비하여 시험구 T1, T2, T3가 각각 63.8, 64.4, $64.2\%$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p<0.05), 급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 특성을비교한 결과로서 다즙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도는 T1구와 T2구가 각각 5.30, 5.28점으로서 T3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향미에서는 T2구가 다른 처리구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기셀레늄 급여기간이 쇠고기의 육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기 셀레늄 급여에 의한 항산화 효과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중의 Methionine이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와 간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thionine on Lipid Peroxidation and Hepatic Ultrastructural Changes in Rat)

  • 서정숙;양경미;박원학;정형재;이용덕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1호
    • /
    • pp.27-45
    • /
    • 1991
  • To study the effects of dietry methionine level on lipid peroxidation of rats, rats were fed vitamin E, selenium and methionine - deficient diet or the same diet supplemented with various levels(0.3%, 0.6%, 0.9%) of methionine for 6 weeks. The biochemincal and mophological changes in the rat liver were investigated. Lipid peroxide levels in plasma and hepatic mitochondrial fraction of MF rats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rats.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0.6% methionine modified this increment. Catalase activity was decreased in hepatic mitochondrial fraction from rats fed MF diet. Methionine supplementation did not induce this enzyme. The ultrastructural evidence for lipid peroxidation was found in plasma membranes facing sinusoids. The most striking changes in including disruption and loss of microvilli and development of numerous lipid droplets occurred in rats fed MF diet. These changes were not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same diet supplemented with 0.3% or 0.9% methionine, but supplementation with 0.6% methionine modulated more or less the changes.

  • PDF

Effects of Different Products and Levels of Selenium on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lenium Retention of Growing-finishing Pigs

  • Tian, J.Z.;Yun, M.S.;Kong, C.S.;Piao, L.G.;Long, H.F.;Kim, J.H.;Lee, J.H.;Lim, J.S.;Kim, C.H.;Kim, Y.Y.;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61-66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elenium (Se) products (inorganic, organic A, organic B) added at two supplemental dietary Se levels (0.1 and 0.3 mg/kg)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 retention in growing-finishing pigs. A $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as used in a RCB design, with a non-Se-fortified basal diet serving as the negative control. A total of 56 crossbred pigs (28 male and 28 female pigs) initially weighing an average $28.45{\pm}0.53kg$ BW were allotted to each treatment with four pigs per pen on the basis of sex and weight. Two pigs per pen were selected and bled from the anterior vena cava at 3- weekly intervals to analyze Se concentration. In the growing phase (0-6 weeks), increased ADFI was observed when pigs were fed organic Se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inorganic Se treatment (p<0.05). Pigs fed inorganic Se had a great ADFI than pigs fed organic Se (p<0.05) in the late finishing phase (7-12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hole period ADFI between organic or inorganic Se products. During 12 weeks of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serum Se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when dietary Se level increased regardless of Se products (p<0.05). Both dietary Se source (p<0.05) and Se level (p<0.01) influenced the Se concentration of various pig tissues at end of this experiment and Se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kidney. For the determination of nutrient digestibility, a metabolic trial was conducted in 3 replicates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A total of 21 barrows ($50.21{\pm}0.62kg$ of average BW) were used in the metabolic study. Selenium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crude protein.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Se (A)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Se products or control diet (p<0.05). Consequently,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dietary Se products and levels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Se concentration in tissues and serum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dietary Se level, especially when organic Se was provided. Although pigs were fed organic forms of Se, bioavailability of organic forms varied among products, consequently bioactivity of organic products to the animals should be evaluated before practical application in animal feed.

Selenium in Pig Nutrition and Reproduction: Boars and Semen Quality - A Review

  • Surai, Peter F.;Fisinin, Vladimir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730-746
    • /
    • 2015
  • Seleni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ar nutrition via participating in selenoprotein synthesis. It seems likely that selenoproteins are central for antioxidant system regulation in the body. Se-dependent enzym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s the most studied selenoprotein in swine production. However, roles of other selenoproteins in boar semen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semen quality also need to be studied. Boar semen is characterised by a high proportion of easily oxidized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requires an effective antioxidant defense. The requirement of swine for selenium varies depending on many environmental and other conditions and, in general, is considered to be 0.15 to 0.30 mg/kg feed. It seems likely that reproducing sows and boar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Se deficiency, and meeting their requirements is an important challenge for pig nutritionists. In fact, in many countries there are legal limits as to how much Se may be included into the diet and this restricts flexibility in terms of addressing the Se needs of the developing and reproducing swine. The analysis of data of various boar trials with different Se sources indicates that in some cases when background Se levels were low, there were advantages of Se dietary sup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at only an optimal Se status of animals is associated with the best antioxidant protection and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boar semen production and its quality. However, in many cases, background Se levels were not determined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judge if the basic diets were deficient in Se. It can also be suggested that, because of higher efficacy of assimilation from the diet, and possibilities of building Se reserves in the body, organic selenium in the form of selenomethionine (SeMet) provided by a range of products, including Se-Yeast and SeMet preparations is an important source of Se to better meet the needs of modern pig genotypes in commercial conditions of intensive pig production.

참마 $H_2O$ 분획물과 Selenium 보충이 당뇨 흰쥐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fraction of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selenium on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4-3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methanol로 추출하여 분획한 참마의 $H_2O$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selenium(Se)은 식이로 보충하여 당뇨시 14일간 에너지대사물 수준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장과 근육의 glycogen 함량의 변화는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당뇨실험군 사이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장, 신장 및 근육의 단백질 수준도 정상군과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이 아니었으나 근육단백질 수준이 당뇨대조군보다 DJR-Se 병용 투여군에서 높았다. 간장의 콜레스테롤 수준은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이었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콜레스테롤 수준이 낮았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간장의 중성지방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DJT-S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참마와 Se 처리의 상승작용을 보였다. 지질과산화에 영향을 주는 MDA 수준은 간장의 경우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이 아니었고 폐의 MDA 수준은 실험군과 당뇨군 모두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당뇨대조군에 비해 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의 MDA 수준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높은 수준이었고 DJT-Se 병용투여군에서 모든 실험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본 연구 결과 STZ 당뇨 쥐에서 참마의 $H_2O$ 분획물과 Se 투여시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은 간장에서 MDA 수준이 가장 높았다. Se 단독 투여시 제일 큰 영향을 받는 장기는 폐였으며 다음이 신장으로 간장의 MDA 수준을 낮추는데는 DJT-Se 병용투여시 가장 효과적이었다. 참마의 $H_2O$ 분획물투여와 Se 보충은 전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참마나 Se를 독립적으로 섭취하는 것보다는 병용하여 보충하는 것이 지방대사물과 지질과산화에 작용하여 항산화효과에 상승작용을 보였으며 참마는 항산화에 영향하는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으로 당뇨식이 처방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셀레늄 급여가 꽃사슴의 혈액과 녹용내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Feeding on Selenium Concentration of Blood and Velvet Antler in Sika deer(Cervus nippon))

  • 김부연;김명화;전병태;문상호;이홍구;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09-216
    • /
    • 2008
  • 본 연구는 꽃사슴에게 고농도의 셀레늄을 급여하였을 때 꽃사슴의 혈액, 녹용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3두의 꽃사슴에게 고농도 셀레늄을 급여하였을 때의 혈액 내의 셀레늄 농도와 셀레늄 흡수율 및 축적률을 조사하고, 혈액 내 스트레스 관련호르몬 및 biochemical parameters를 조사하였다. 8두의 수컷 꽃사슴을 공시하여 셀레늄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구와 셀레늄을 사료 kg당 6mg을 첨가한 사료를 20일간 급여한 구로 나누어 생산한 녹용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꽃사슴에게 고농도 셀레늄 급여는 급여 30일 이후에 혈액 중의 셀레늄 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고(p<0.05), 축적률은 59.15%를 나타내었다.전 실험 기간 동안 고농도 셀레늄의 급여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 및 biochemical parameters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녹용 내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상대 0.11ppm, 중대 0.08ppm, 하대에 0.08ppm을 셀레늄 급여구에서는 상대 0.45ppm(p<0.001), 중대 0.21ppm(p<0.01), 하대에 0.15ppm(p<0.05)으로 셀레늄 급여로 인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대에서의 셀레늄 함량이 가장 높았다(p< 0.05).이상의 결과로부터 꽃사슴에게 고농도의 셀레늄을 급여할 경우 녹용내로 다량의 셀레늄을 전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40일까지 고농도의 셀레늄 6mg/kg 농도 급여에 있어 생리적 중독 증상은 없었으나 혈중 소실정도를 감안해 볼 때 20일간 급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향후 셀레늄 강화 녹용 생산을 위해 급여하는 셀레늄의 최적 농도와 급여 기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