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ve delignifi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백색목재부후균중 Biopulping에 이용가능한 선택적 리그닌분해균의 스크리닝 (Screening of White Rot Fungi with Selective Delignification Capacity for Biopulping)

  • 이종규;오은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44-152
    • /
    • 1998
  • 선택적 리그닌 분해능을 가지고 생물펄프공정에 사용가능한 백색부후균을 얻기 위하여 94종류의 목재부후균을 검정하였고 선발된 7개종에 대하여 활엽수와 침엽수의 부후능력을 측정하였다. 우선 백색부후균은 셀룰로오즈 분해효소, 페놀산화효소, laccase, peroxidase 등의 효소활성을 간단한 방법으로 검정하여 선발하였는데, Bavendamm test에서 양성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균들은 syringaldazine을 사용한 laccase test에서도 강한 반응을 나타낸 반면, 음성반응을 나타낸 대부분의 균들은 laccase와 peroxidase test에서도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선택적 리그닌 분해능력을 지닌 부후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부후균을 은사시나무와 일본잎갈나무(낙엽송) 목재블럭에 접종하여 12주간 배양한 후에 부후된 목재의 중량감소율, 리그닌 량의 감소, 형태적 변화들을 화학분석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는 목재부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거의 모든 균주는 목재블럭의 중량감소율이 일본잎갈나무 보다 은사시나무에서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균을 접종하지 않은 목재블럭에서는 중량감소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Ceriporiopsis subvermispora와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이 다른 균주에 비해서 침엽수와 활엽수의 리그닌을 모두 잘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해 능력은 Ceriporiopsis subvermispora가 더욱 우수하였다. Bjerkandera adusta와 미동정된 2균주는 은사시나무에서만 상대적으로 높은 리그닌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B. adusta는 모든 세포벽 성분을 동시에 분해시켜서 2차세포벽을 얇게 만들었으나 다른 균주들은 선택적 리그닌 분해력을 나타내어 두 세포의 세포벽 사이에 위치하는 중벽에 존재하는 리그닌을 분해시켜서 세포를 분리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Study on the Mass Transfer Behavior of AQ and Its Effectiveness during AQ-Kraft Pulping Process

  • Huang, Xiannan;Song, Hainong;Qin, Chengrong;Yoon, Sung-Hoon;Chai, Xin-Sheng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291-294
    • /
    • 2006
  • Studies of the effectiveness of anthraquinone (AQ) in kraft-AQ pulping in terms of its mechanism of mass transfer have been conducted. Experiments performed have demonstrated an 'apparent solubility' of AQ in caustic solutions of wood lignin. The adsorption behavior of AQ species was also analyzed. Anthraquinone-2-sulfonic acid (AQ-S), a water-soluble derivative of AQ, showed selective adsorption on wood. A mechanism for the transport of AQ into wood chips during kraft pulping are proposed, and some explanations for previously unexplained observations are addressed.

  • PDF

도시 폐휴지의 질산 펄프제조와 펄프폐액의 입상 비료화 기술개발(I) -폐골판지 상자(OCC)의 질산 펄프제조 조건- (Nitric-Acid Pulping of Municipal Wastepapers and its Spent-Liquor Utilization for Fertilizers(I) -Study on the Nitric-Acid Pulping Conditions of OCC Pulp-)

  • 임기표;위승곤;김창래;양정훈
    • 펄프종이기술
    • /
    • 제32권4호
    • /
    • pp.74-80
    • /
    • 2000
  • A series of studies on nitric-acid pulping of municipal recycled waste papers were carried out to substitute the bleached chemical pulp imported for producing printing paper as well as to use its solidified spent-liquor as fertilizer. The firs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pulp consistency, nitric acid charge and temperature in $HNO_3$-alkali pulping proc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ome selective delignification of OCC pulp was conducted by $HNO_3$-alkali process. The higher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nitric acid, the lower the pulp yield and kappa number of treated pulp. while its brightness was increased. 2. The higher consistency required the stronger mixing in case of more than 5% pulp. 3. In the laboratory, the suitable $HNO_3$-treating condition seemed to be less than 6% consistency, lower than 500% $HNO_3$charge on pulp and lower than $100^{\circ}C$ in cooking temperature. 4. The spent liquor with 1.77% N-content seemed to be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suitable for agriculture.

  • PDF

Organosolv 방법(方法)에 의(依)한 활엽수(闊葉樹) 주요(主要) 조성분(組成分)의 분리(分離) 및 이용(利用) (Separation and Utilization of Main Components of Hardwood by Organosolv Pupling)

  • 백기현;안병준;남원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70-78
    • /
    • 1988
  • To separate and utilize the main components of hardwood (Quercus mongolica) by organosov pulping (ester pulping), chips were cooked at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olvent ratio (acetic acid: ethylacetate: water, 50:25:25; 33:33:34; 25:50:25), maximum temperature (165, 170, $175^{\circ}C$), and cooking times (2, 2.5, 3 hr). The pulps were bleached by the sequences of CEDED, C/DEDED, PEDED. Lignin, sugars, and acetic acid were separated from black liquor and washing liquors. 1. The selective delignification at optimal pulp yield (43-45%) was obtained by cooking at acetic acid: ethylace tate: water ratio of 33:34:34 for 3 hr at $170^{\circ}C$. But in this case, kappa no. of the pulp was not reduced under 60 points. 2. Kappa no. of the pulp could be dropped by an acetone wash to remove reprecipitated lignin a t cooked pulp. 3. The unbleached pulps had a brightness of 45-50%, whereas the bleached pulps gave at 88-93% brightness. Tensile, burst, and tear strengths of the bleached pulps were lower than those of kraft pulp, especially in tear strength. The pulps which were bleached with CEDED sequence were higher in strengths than another bleaching sequences. 4. Lignin of 90-95%(lignin base on wood)was separated from black liquor and washing liquors, while the purified sugars and recovery of acetic acid were a low. An organic phase composed of acetic acid, ethylacetate, and water was separated to a two-phase system by proper adjustment of the solvent ratios.

  • PDF

이태리 포플러의 화학적 전처리 공정을 통한 효소가수분해 영향 인자 분석 (Study on Affecting Variables Appearing through Chemical Pretreatments of Poplar Wood (Populus euramericana) to Enzymatic Hydrolysis)

  • 구본욱;박나현;여환명;김훈;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55-264
    • /
    • 2009
  • 본 연구는 화학적 전처리 공정이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효소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이태리포플러 분말을 1% 황산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각각 $150^{\circ}C$$160^{\circ}C$에서 한 시간 동안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전처리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친 시료와 건조과정을 거치치 않은 시료로 각각 구분하여 화학적, 물리적 성상 및 효소 당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황산 전처리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분해율은 약 24.5%로 수산화나트륨 전처리에 의한 분해율(18.6%)보다 약 6%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반면, 탈리그닌화는 수산화나트륨이 우수하여 황산을 이용한 전처리보다 약 2% 가량 높게 나타났다. 결정화도는 미처리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황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전처리한 시료 모두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처리 과정에서 비결정성 셀룰로오스가 결정영역보다 선택적으로 분해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예측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표면 미세구조 관찰 결과, 황산, 수산화나트륨 전처리 모두 구성 성분들을 분해함으로써 목질바이오매스의 표면을 미처리 시료보다 거칠게 만들고 부분적인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산 전처리-건조 시료에서는 이러한 표면 거칠음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다시 변화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시료 표면의 기공분포는 두가지 전처리 과정 모두를 통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전처리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친 경우에도 기공분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황산으로 전처리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전처리에 의해 증가한 기공 분포가 다시 급격히 감소하여 미처리 시료와 유사한 기공분포를 나타내었다. 황산 전처리 후 건조과정을 거친 시료와 미건조 시료는 효소가수분해에 의한 소화율이 각각 7.0%와 26.9%로 측정된 반면, 수산화나트륨 전처리 후 건조된 시료와 미건조시료는 각각 39.7%와 45.8%로 나타나 알칼리에 의한 전처리가 산 전처리보다 소화율 향상을 위해 더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높은 소화율은 당화 효율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울러 전처리된 바이오매스의 건조는 소화율 및 당화 수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