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on attribu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시판 라면류의 선택 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린이 및 청소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Instant Noodle (Ramyun)'s Selection Attribution upon Satisfaction - Focu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 정효선;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9-5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instant noodle's selection attribution on satisfaction an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or not grade (elementary schoolchildren,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ion and satisfaction. Further,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wo groups of subjects divided by instant noodle's selection attribution. Based on a total of 1021 samples, this study verified a total of 3 hypotheses using the SPSS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different instant noodle's selection attributions among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investigated: internal element, external element, and company reliability.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internal element (=.391), external element (=.239), and company reliability (=.063) among customers' selection attribu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ion upon satisfaction was partially moderated according to grade. Further, cluster analysis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instant noodle's selection attribution: high-selection group vs. low-selection group. The wo groups of subjects classified by instant noodle's selection attribution we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신부의 웨딩드레스와 화장에 대한 기대선택 속성과 지각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ribution of Expected Selection and Perceptual Satisfaction Factor in Wedding Dress and Wedding Make-up)

  • 유재숙;유태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 of cunsumer satisfaction by expected selection attribute of wedding dress and bride make-up. It is looking into influencing variables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is supplying real information to wedding mark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1 women getting married within one year of Daegu.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mean, the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cross-analysis.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In the attribution of expected selection according to occupation, blue-collar women are concerned about cost factor but they are low content with the perceptual satisfaction factor. 2) When selecting places for wedding dresses and wedding make-up, in the attribute of expected selection about the number of visiting the shop for wedding dresses and make-up, people who visit over 7 dress shops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appearance fancy degree, advertisements effect factors. But they are concerned with advertisements effect factor, cost factor in the perceptual satisfaction factor about wedding dress. Besides, the more they get chances to visit many dress shops, they are concerned with advertisements, cost factors, and satisfied with both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and appearance factor degree in the attribution of expected selection about wedding make-up. 3) In the attribution of expected selection about the cost of wedding dresses and make-up, the lower the cost paid, people are interested in price factor. Furthermore, in the attribution of expected selection about the wedding dress and make-up cost, those who spent over 150 million Won are interested in quality, others influence factor, and the case of less than 120~150 million Won, people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appearance fancy degree, advertisements effect factor, and the women are satisfied with the advertisement effect factor in the perceptual satisfaction factor of wedding make-up.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감정적-유용적 이용동기가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Utilitarian Motivation on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ion)

  • 오서경;윤효실;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1-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utilitarian motivation on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ion. Based on a total of 276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ion emphasized service, coffee quality, diversity of menu, atmosphere, convenience, and price. Secondly, the customers showed higher emotional motivation than utilitarian motivation. Thirdly, emoti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ption of 'service', 'coffee quality', and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utilitarian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diversity of menu', 'convenience', and 'price'.

패밀리 레스토랑 및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선택속성과 대학생 고객이 지각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selection attribu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family restaurants and fast-food restaurants)

  • 손일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64-2872
    • /
    • 2009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청주지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을 살펴본다. 둘째, 청주지역 대학생들이 레스토랑 이용 후 지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만족도를 조사한다. 셋째, 패밀리 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 어떠한 선택속성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가설검증을 실시한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HI: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요인은 고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요인은 고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검증 결과 가설 1, 2는 모두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패밀리 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경영자들은 마케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극심한 경쟁환경을 극복할 대안을 탐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VM 기반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컴파일러 분석 프레임워크 : 특징 및 모델 선택 민감성 (Compiler Analysis Framework Using SVM-Based Genetic Algorithm : Feature and Model Selection Sensitivity)

  • 황철훈;신건윤;김동욱;한명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537-544
    • /
    • 2020
  • 악성코드 기술 발전으로 변이, 난독화 등의 탐지 회피 방법이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악성코드 탐지 기술에 있어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 탐지 기술이 중요하며, 배포된 악성코드를 통해 저자를 식별하여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악성코드 저자 식별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너리 기반 저자 식별 방법에 대해 중요 정보인 컴파일러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간에 특징 선택, 확률 및 비확률 모델, 최적화가 분류 효율성에 미치는 민감성(Sensitive)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정보 이득을 통한 특징 선택 방법과 비확률 모델인 서포트 벡터 머신이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최적화 연구 간에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한 특징 선택 및 모델 최적화를 통해 높은 분류 정확도를 얻었으며, 최대 48%의 특징 감소 및 51배가량의 빠른 실행 속도라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징 선택 및 모델 최적화 방법이 분류 효율성에 미치는 민감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서바이벌 네트워크 개념을 이용한 저자 식별 프레임워크: 의미론적 특징과 특징 허용 범위 (Authorship Attribution Framework Using Survival Network Concept : Semantic Features and Tolerances)

  • 황철훈;신건윤;김동욱;한명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013-1021
    • /
    • 2020
  • 악성코드 저자 식별은 알려진 악성코드 저자의 특징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의 저자 특징과 비교를 통해 악성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연구 분야이다. 바이너리를 이용한 저자 식별 방법은 실질적으로 배포된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수집 및 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으나, 소스코드를 이용한 방법보다 특징 활용 범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다수의 저자를 대상으로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바이너리 저자 식별에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바이너리로부터 의미론적 특징 정의'와 '서바이벌 네트워크 개념을 이용한 중복 특징에 대한 허용 범위 정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바이너리 정보로부터 Opcode 기반의 그래프 특징을 정의하며, 서바이벌 네트워크 개념을 이용하여 저자별 고유 특징을 선택할 수 있는 허용범위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자별 특징 정의 및 특징 선택 방법을 하나의 기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 선행연구보다 5.0%의 정확도 향상과 함께 소스코드 기반 분석과 동일한 수준의 정확도 도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식소비성향이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t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on Selection Attributes for Dessert Cafe)

  • 윤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31-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eat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and selection attributes by consumers have been used dessert cafe and to provide the useful data for efficient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dessert cafe manager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7th to 22th on April, 2017 and a total of 250 respons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32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responses containing missing dat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ating out enjoyment pursuit type and health pursuit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u and service factor of selection attributes for dessert cafe. Second, only eating out enjoyment pursuit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visual factor of selection attributes for dessert cafe. Third, only health pursuit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menu factor of selection attributes for dessert cafe. Fourth, economic value pursuit type and atmosphere pursuit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ice factor of selection attributes for dessert cafe. This study contributes to useful results for establishing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to dessert cafe marketers by examining selection attribution of dessert cafe as recognizing eat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Research on Market Segmentation by Beer Franchise Restaurants Selection Attribution)

  • 손일락;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51-360
    • /
    • 2008
  • 본 연구는 서울지역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08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레스토랑과 바의 선택속성과 시장세분화에 대하여 검토한다. 둘째,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 이용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속성의 요인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 고객들의 맥주 프랜차이즈 선택속성은 "추가적인 서비스", "안주의 품질", "서비스 수준", "접근의 용이성", "업장의 이미지"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단순 방문가 집단'과 '적극적 애호가 집단'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별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충성도,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도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고객행동 특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용형태별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의 전형성 평가 (Typicality Evaluation of Attribution Structure Reflected in Design Representation)

  • 이성남;이철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1-200
    • /
    • 2006
  • 디자인 표상은 디자인 요소가 결합된 하나의 통합체로서 분야별 표상의 전형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요소는 분야별 표상의 목적과 가치를 반영하는 계열체로서 속성의 범주를 형성하며 표상의 과정에서 선택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디자인 속성 범주의 선택과 결합은 표상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주체의 표상 의식에 근거하며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분야별 표상은 해당 분야에서 요구되는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따른 속성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양태에 따른 분야간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에 대한 사실 검증으로서, 디자인 표상에서 이루어지는 속성 범주의 고려도 측정을 통해 각 분야의 표상을 형성하는 속성 구조의 전형성과 분야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평가의 대상으로 선정한 산업 디자인, 시각 디자인 그리고 환경 디자인 분야의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는 전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대학생들의 귀인성향과 학과 선택 시 우선고려사항에 따른 학과적응에 미치는 요인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ttributional-style and learning Adaptation Considered in Department Selection)

  • 김기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94-700
    • /
    • 2012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학 시 학과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과 입학 후 학업적응정도 및 귀인성향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 및 대학생들의 학과 선택, 진로선택 시 도움을 주고자 2011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287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과를 선택할 때 '인기도, 취업전망'이 64.5%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 선택 시 우선순위는 성별에서 여자가 68.8%, 전공별에서는 보건계열이 78.7%가 '인기도, 취업전망'을 고려했다고 조사되어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P<0.01). 전공별 학업적응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에서는 보건계열에서는 동기화가 클수록 적용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적응력이 높게 나타났고, 귀인성향과의 관계에서는 보건계열이 내적귀인성향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이 가지고 있는 귀인성향을 바탕으로 내적귀인성향을 더 많이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과 활용이 필요할 것이며, 계획적이고 신중한 학과선택을 위해 중학교나 고등학교 입학시기부터 대학생활의 전반적 사항이나 진로지도까지 진로탐색프로그램을 통한 복합적 상담이 이루어져야 차후 학과적응, 진로 적응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