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izure detec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간질파의 변화 (Change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after antiepiletic drug treatment in childhood epilepsy)

  • 김문주;남상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60-564
    • /
    • 2010
  • 목 적 : 항경련제는 대뇌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쳐 간질파의 발생을 변화시키고 임상적인 경련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저자들은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뇌파의 간질파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뇌파 검사를 시행한 후 소아 간질로 처음 진단받고 최소 6개월 이상 항경련제 치료를 지속한 환자 중 6-12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뇌파검사를 시행한 만 1세에서 15세까지의 257명(남아 151명, 여아 10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경련제의 투여 전과 최근의 뇌파를 기준으로 간질파 유무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성별, 진단 시 연령, 경련 형태, 간질 원인, 치료 기간, 사용한 항경련의 개수, 경련 조절 여부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의 치료 시작 시 평균 연령은 $6.79{\pm}3.40$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48{\pm}1.85$년이었다. 항경련제 치료 전후 간질파에 변화가 없는 환아는 176명(68.5%), 간질파가 변한 환아는 81명(31.5%)이었다. 항경련제 치료 전후 모두 간질파를 보인 군(1군)은 110명(42.8%), 치료 전 간질파가 있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가 사라진 군(2군)은 61명(23.7%), 치료 전에 간질파가 없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를 보인 군(3군)은 20명(7.8%), 치료 전후 간질파가 모두 없던 군(4군)은 66명(25.7%)이었다. 약물치료 기간은 1군에서 $2.42{\pm}1.81$년, 2군에서 $3.06{\pm}1.80$년, 3군에서 $2.75{\pm}1.94$년, 4군에서 $1.95{\pm}1.81$년으로, 치료 전에 간질파가 있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가 소실된 2군에서 약물 치료 기간이 의미 있게 가장 길었다($P$=0.007). 경련 형태에서 전신 발작을 보인 경우는 1군에서 18.2% (20/110례), 2군에서 31.1% (19/61례), 3군에서 20.0% (4/20례), 4군에서 43.9% (29/66례)로 최종 뇌파 검사에서 간질파가 없었던 2, 4군에서 전신 발작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2). 그 외 각 군에서 성별, 간질 원인, 사용한 항경련제의 개수, 발작 조절 여부, 진단 시 뇌파에 배경파 이상 유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간질파의 출현은 항경련제 치료 중 1/3의 환자에서 변화가 있었으며 최종 뇌파에서 간질파가 없는 군에서 전신 발작의 환자가 많았다.

A Fatal Case of Naegleria fowleri Meningoencephalitis in Taiwan

  • Su, Mei-Yu;Lee, Ming-Shih;Shyu, Ling-Yuh;Lin, Wei-Chen;Hsiao, Pei-Ching;Wang, Chi-Ping;Ji, Dar-Der;Chen, Ke-Min;Lai, Shih-Ch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203-206
    • /
    • 2013
  • After bathing at a hot spring resort, a 75-year-old man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because of seizure-like attack with loss of conscious. This is the first case of primary amebic meningoencephalitis (PAM) caused by Naegleria fowleri in Taiwan. PAM was diagnosed based on detection of actively motile trophozoites in cerebrospinal fluid using a wet-mount smear and the Liu's stain. The amoebae were further confirmed by PCR and gene sequencing. In spite of administering amphotericin B treatment, the patient died 25 days later.

Effective Methods for Heart Disease Detection via ECG Analyses

  • Yavorsky, Andrii;Panchenko, Tara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127-134
    • /
    • 2022
  • Generally developed for medical testing, electrocardiogram (ECG) recordings seizure the cardiac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ECG study can consequently be a vital first step to support analyze, comprehend, and expect cardiac ailments accountable for 31% of deaths globally. Different tools are used to analyze ECG signals based on computational methods, and explicitly machine learning method. In all abovementioned computational simulations are prevailing tools for cataloging and clustering. This review demonstrates the different effective methods for heart disease based on computational methods for ECG analysis. The accuracy in machine learning and three-dimensional computer simulations, among medical inferences and contributions to medical developments. In the first part the classification and the methods developed to get data and cataloging between standard and abnormal cardiac activity. The second part emphases on patient analysis from entire ECG recordings due to different kind of diseases present. The last part represents the application of wearable devices and interpretation of computer simulated results. Conclusively, the discussion part plans the challenges of ECG investigation and offers a serious valuation of the approaches offered. Different approaches described in this review are a sturdy asset for medicinal encounters and their transformation to the medical world can lead to auspicious developments.

신생아기 경련 및 의식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남아 1례 (A Case of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in a Boy with Neonatal Seizure and Altered Mentality)

  • 임민지;송아리;이수연;박형두;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61
    • /
    • 2018
  • OTC 결핍증은 요소 회로 대사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X연관 유전을 하며, 고암모니아 혈증, 의식저하, 구토, 경련 등을 주증상으로 하여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경련 및 의식 저하로 발견된 고암모니아 혈증 및 저칼슘혈증에 대한 치료로 칼슘 보충 및 저단백섭취, sodium benzoate, phenylbutyrate sodium, L-arginine 복용 및 CRRT를 시행하여 증상을 경감시키고, 생화학적 검사 및 Targeted exome sequencing을 통하여 OTC 결핍증을 확진함으로서 신경학적 예후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이로서 현재까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이용한 외상성 경막하 수종치료의 수술적 결과 (The Surgical Results of Traumatic Subdural Hygroma Treated with Subduroperitoneal Shunt)

  • 주창일;김석원;이승명;신호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6호
    • /
    • pp.436-442
    • /
    • 2005
  • Objective: The detection rate of traumatic subdural hygroma(TSH) has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of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treatment method and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the TSH have been investigated, but they are still uncertain.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bduroperitoneal shunt in traumatic subdural hygroma. Methods: Five hundred thirty six patients were diagnosed as TSH from 1996 to 2002, among them, 55 patients were operated with subduroperitoneal shunt. We analyzed shunt effect on the basis of clinical indetails, including the patient's symptoms at the diagnosis, duration from diagnosis to operation, changes of GCS, hygroma types. We classified the TSH into five types (frontal, frontocoronal, coronal, parietal and cerebellar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hickest portion of TSH. Results: The patients who have symptoms or signs related to frontal lobe compression (irritability, confusion) or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headache, mental change), had symptomatic recovery rate above 80%. However, the patients who have focal neurological sign (hemiparesis, seizure and rigidity), showed recovery rate below 30%. The improvement rate was very low in the case of the slowly progressing TSH for over 6weeks. We experienced complications such as enlarged ventricle, chronic subdural hematoma, subdural empyema and acute SDH. Conclusion: Subduroperitoneal shunt appears to be effective in traumatic subdural hygroma when the patients who have symptoms or signs related to frontal lobe compression or increased ICP and progressing within 5weeks.

EEG 신호의 Power Spectrum을 이용한 사람의 감정인식 방법 : Bayesian Networks와 상대 Power values 응용 (Human Emotion Recognition using Power Spectrum of EEG Signals : Application of Bayesian Networks and Relative Power Values)

  • 염홍기;한철훈;김호덕;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51-256
    • /
    • 2008
  • 많은 연구자들은 여러 개의 채널을 가진 Electroencephalogram(EEG) 신호를 기반으로 한 사람의 감정인식을 위해 두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EEG 신호를 이용한 연구들은 주로 의학 분야와 심리학의 영역에서 간질이나 발작 등을 알아내고 거짓말 탐지기로써의 역할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최근에는 사람의 두뇌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들이 뇌파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하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여러 가지 공학적인 접근으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EEG 신호를 통해서 두뇌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EEG 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서 보다 정확한 신호를 추출하는 연구에도 많이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감정에 따른 EEG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EEG 신호를 5개 부분의 주파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영역별로 분류된 EEG 신호들은 전체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의 값으로 계산하게 된다. 그 값들은 Bayesian Networks를 통해서 현재 어떠한 감정을 나타내는지 확률 값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값에 따라 사람의 감정은 아바타로 표현하게 된다.

대뇌 신경교종증 : 임상특징 및 예후에 관한 연구 (Gliomatosis Cerebri :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 조대철;황정현;성주경;황성규;함인석;박연묵;변승열;김승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1399-1405
    • /
    • 2001
  • Objectives : Gliomatosis cerebri is an uncommon primary brain tumor characterized by diffuse neoplastic proliferation of glial cells,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underlying cytoarchitec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inical features,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and adjuvant therapy of gliomatosis cerebri. Methods : Between Jan. 1990 and Dec. 2000, 12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liomatosis cerebri based on characteristic radiological and histological findings.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18 to 77(mean 44)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7 : 5. Nine patients underwent decompressive surgery and three, biopsy only.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given in all cases except three. In addition to radiation therapy, four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period was 18.8 months. Results :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ere seizure and motor weakness. The mean duration of symptom was 5.9 months. There was 5 bilateral lesions and tumor involved corpus callosum in 5, basal ganglia-thalamus in 4, and brain stem in 2.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but four patients died during the follow-up. The mean survival period for 11 patients was 20.5 months from the time of diagnosis. In univariate analysis, the lesion involving corpus callosum, basal ganglia-thalamus and brain stem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short length of survival(p<0.05). Also, postoperative radiation as a adjuvant therapy prolonged the patient's survival(p<0.05). Conclusions : In the management of gliomatosis cerebri patients, early detection by MR imaging, active management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decompressive surgical removal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such as radiation is thought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ty.

  • PDF

발작기와 발작간기 뇌 관류 SPECT 감산영상을 이용한 간질원인 병소 진단 (Diagnosis of Ictal Hyperperfusion Using Subtraction Image of Ictal and Interictal Brain Perfusion SPECT)

  • 이동수;서종모;이재성;이상건;김현집;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31
    • /
    • 1998
  • 수술로서 간질 병소가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발작기-발작간기 SPECT를 비교 판독하여 간질병소를 국소화한 것과 영상을 위치 이동하여 좌표를 일치시키고 정규화 하여 감산하여 얻은 감산 SPECT로 국소화한 것이 대등한 진단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감산 SPECT로부터 MR이나 PET과 같은 수준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산 SPECT에서 발작기 혈류 증가를 범위와 강도를 고려한 적절한 역치를 설정하여 발작기-발작간기 SPECT에 더하여 감산 SPECT가 얼마나 부가적 진단가치를 가지는지 확립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PDF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및 유전자형 분석 연구 (Detection and Genotyping of Viruses Detected in Children with Benign Afebrile Seizures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 양혜란;지영미;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83-193
    • /
    • 2009
  • 목 적: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는 소아에서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다. 일부 소아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경과 중에 무열성 경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BIS-MG)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한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에서 2005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311명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장염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217명의 소아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하여 각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위장관염 소아 환아 217명(남아 121명, 여아 96명, 평균 연령 20.6${\pm}$15.4개월) 중에서 로타바이러스가 109명(50.2%), 노로바이러스가 28명(12.9%), 아데노바이러스가 13명(6.0%), 아스트로바이러스가 2명 (0.9%)에서 검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결과 P[8]G3가 36명, P[4]G2 21명, P[6]G4 10명, P[4]G4 9명, P[8]G9과 P[8]G1 6명, P[4]G3 4명, P[4]G93명, P[6]G2 2명이었다.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GII-4가 27명, GII-6 1명이었다. 16명의 소아가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으로 진단되었으며, 로타바이러스가 13명, 노로바이러스가 2명에서 검출되었고, 나머지 1명은 아무런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 BIS-MG군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은 P[8]G3 6명, P[4]G2 2명, P[4]G9 1명이었으며,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은 2명 모두 GII-4였다. 결 론: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을 보인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시행한 바이러스 분석결과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