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page-slope stability analysi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9초

사면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위 저하공법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ewatering Method for Slope Stability)

  • 한중근;신주옥;홍기권;정순국;이양규;김병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61-6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파괴가 발생한 보강사면의 파괴원인을 분석한 결과, 지하수위 관리대책으로 사례현장에 집수정을 이용한 지하수위 저감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적용된 공법이 사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적용된 공법의 우수처리능력에 의해 사면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집수정을 이용한 지하수위 저하공법은 집중강우 시에도 지하수의 상승을 억제함으로 사면의 안전율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UAV images for rainfall-induced slope stability analysis in urban areas

  • Dohyun Kim;Junyoung Ko;Jaehong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3권2호
    • /
    • pp.167-174
    • /
    • 2023
  • This study evaluated slope stability through a case study to determine the disaster risks associated with increased deforestation in structures, including schools and apartments, located in urban areas adjacent to slopes. The slope behind the ○○ High School in Gwangju, Korea, collapsed owing to heavy rain in August 2018. Historically, rainwater drained well around the slope during the rainy season. However, during the collapse, a large amount of seepage water flowed out of the slope surface and a shallow failure occurred along the saturated soil laye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collapse, the images of the upper area of the slope, which could not be directly identified, were captur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slope was constructed through image analysis, making it possible to calculate the rainfall flow direction and the area, width, and length of logging areas. The change in the instability of the slope over time owing to rainfall lasting ten days before the collapse was analyz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Imaging techniques based on the UAV imag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analyzing ground disaster risk maps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e analysis was found to predict the failure before its actual occurrence.

모래로 축조(築造)한 제체(堤體)의 사면안정(斜面安定) 해석(解析) (Analysis of Slope Stability through Sand Constructed Model Levee)

  • 신방웅;최기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5-22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제체(堤體)에 있어서, 수위(水位)가 급상승(急上昇)함에 따라 제체내부(堤體內部)의 공극수압(空隙水壓)이 변화(變化)하는 제체경사면(堤體傾斜面)의 파괴현상(破壞現象)을 연구(硏究)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발표(發表)된 근사이론식(近似理論式)을 토대로 국부(局部) 파괴현상(破壞現象)을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고찰(考察)했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연구(硏究)된 내용(內容)은 다음과 같다. 1) 침윤선(浸潤線)에 따른 유출점(流出點)의 위치 결정(決定) 2) 유출점(流出點) 부근(部近)에서 발생(發生)되는 국부(局部) 파괴현상(破壞現象)에 대한 고찰(考察) 3) 침투수압(浸透水壓)이 제체(堤體)에 미치는 영향(影響)

  • PDF

확률론적 침투해석을 통한 무한사면 파괴의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inite Slope Failures by Probabilistic Seepage Analysis)

  • 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0호
    • /
    • pp.5-18
    • /
    • 2014
  • 세계의 많은 지역이 강우에 의한 사면파괴가 취약하다. 사면파괴의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져 왔으나 현재 사용되는 방법들은 비균질한 지반분포와 수리학적 거동이 강우로 인한 사면파괴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토층의 두께에 따른 사면파괴의 발생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불투수 기반암 위에 존재하는 풍화 잔류토 사면에 대한 확률론적 사면안정 해석을 수행하였다. 불균질한 투수계수의 공간적 분포로 인한 불확실성이 강우침투에 의한 불포화 사면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일차원 랜덤필드에 기초한 일련의 침투해석과 사면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확률론적 해석법은 사면에 대한 강우의 침투 평가 시 투수계수의 공간적인 변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파괴 패턴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강우특성을 고려한 불포화 잔적토 비탈면의 붕괴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Instability of the Slopes in Unsaturated Residual Soils Considering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 남삼헌;이영휘;오세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5-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토에 대한 압력판 추출시험을 수행하여 함수특성곡선을 구하고 불포화토의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한 후, Geostudio 2007의 SEEP/W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정류 침투해석을 수행하였으며, SLOPE/W 해석프로그램으로 비탈면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관흡수력 증가에 따라 순체적응력과 축차응력이 증가하고 겉보기점착력도 선형적으로 증가함으로 써 전단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강우침투해석 결과 높은 음의 간극수압에서는 적은 강우량에도 간극수압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고, 일정깊이 이하의 심도에서 지하수위의 상승을 제외하면 강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탈면의 파괴양상과 동일한 단면으로 파괴면을 일정하게 고정시켜 안정 해석한 결과 실제로 비탈면 파괴 시에 안전율이 1.0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실험에 의한 토공구조물의 침투거동특성 (The Characteristics for Seepage Behaviour of Soil Structure by Modeling Tests)

  • 신방웅;강종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58-167
    • /
    • 1999
  • In parallel flow condition,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the extended embankment constructed on a permeable foundation ground, a laboratory model test was performed due to extended materials and water level increasing velocity of a flood period. A laboratory model test was peformed for different permeability coefficients ($K_1=2.0{\times}10^{-5}cm/sec,\;K_2=1.5{\times}10^{-4}cm/sec,\;K_3=2.3{\times}10^{-3}cm/sec$) using seepage.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occurring to an extended embankment was analyzed by laboratory model tests as vary the increasing velocity of water level with 0.6cm/min, 1.2cm/min, 2.4cm/min respectively. In analysis results, the increase of water level into embankment occurs rapidly because seepage water moving along with a permeable soil flow into embankment. The larger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an extended part is the longer initial seepage distance, and the exit point of downstream slop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shows unstable seepage behavior as occurring partial collapse. As the increasing velocity of water level increase, the initial seepage line is formed low, and the discharge increases. Therefore, the embankment extended by a lower permeable soil than existing embankment shows stable seepage behavior because an existing embankment plays a role as filter for an extended part.

  • PDF

강우침투시 불포화 무한사면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of unsaturated infinite slope under rainfall-induced infiltration)

  • 송영석;황웅기;이남우;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71-78
    • /
    • 2010
  • The stability analysis of unsaturated infinite slope under rainfall-induced infiltration condition was performed using the generalized effective stress that unifies both saturated and unsaturated condition recently proposed by Lu and Likos(2004, 2006).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of the sand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75% was first measured for both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The Hydraulic Conductivity Function (HCF) and Suction Stress Characteristic Curve (SSCC) were subsequently estimated. Also, under the rainfall-induced infiltration condition transient seepage analysis of unsaturated infinite slope was performed using the finite element program, SEEP/W.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infinite slope under rainfall-induced infiltration condition was examined considering the suction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egative pore water pressure and water content within the soil changed with time due to the infiltration. Also, the variation of those caused the variation of suction stress and then the factor of safety of slope changed consequently during the rainfall period.

  • PDF

사면 내의 지하수 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 영향의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해석 (A Fully Coupled Hydrogeomechanical Numerical Analysis of Rainfall Impacts on Groundwater Flow in Slopes and Slope Stability)

  • 김준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16
    • /
    • 2002
  • 사면 내의 지하수 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 수치 모델은 변형성 지질매체 내에서의 포화-불포화 지하수 유동을 설명하는 완전 연동된 간극탄성론적 지배 방정식들과 Galerkin 유한요소법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모델은 다양한 강수량 조건 하에 있는 불포화 사면에 대한 일련의 수치모의실험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수치모의실험 결과들은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사면의 전반적인 수리역학적 안정성이 저하되며 잠재적인 파괴가 사면 전단부에서부터 시작되어 사면 정상부 쪽으로 팽창됨을 보여주고 있다.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리지질학적으로는 압력수두와 전체 수리수두가 증가한다. 그 결과 지하수면이 상승하고 불포화대가 감소하며 삼출면이 사면 전단부로부터 사면 정상부쪽으로 팽창하고 이러한 삼출면에서의 지하수 유동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질역학적으로는 사면 전단부를 향해 수평 변위는 증가하지만 수직 변위는 감소하게 된다. 이는 강수량 증가에 따른 지하수면의 상승에 수반하는 부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결과 사면의 전반적인 변형이 사면 전단부를 향해 심화되고 전단파괴 안전율이 1 이하인 불안전한 지역이 사면 전단부에서 두꺼워지면서 사면 전단부에서부터 사면 정상부 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또한 수치모의실험 결과들은 이러한 잠재적인 전단파괴면과 지표면 사이의 지반에서는 잠재적인 인장파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강우시 불포화토 사면에서의 수리역학적 거동 해석에 관한 연구 (Hydro-mechanical Behavior of Partially Saturated Soil Slopes under Rainfall)

  • 김재홍;임재성;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1호
    • /
    • pp.69-78
    • /
    • 2012
  • 강우로 인한 사면의 안정성 평가를 하기 위한 일반적인 해석 방법들은 강우 침투와 흙의 거동 해석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상용화된 프로그램과 기 개발된 여러 연구자들의 모델들은 불포화 투수계수를 함수비(또는 흡수력)만의 함수로 정의되어 수리-역학적인 특징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침투수는 사면의 거동을 발생시키고, 지반의 토립자들은 다시 재배열되며 이러한 구성관계에 의해 포화 투수계수 뿐만 아니라 불포화 투수계수도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강우로 인한 사면의 불안정성은 예측된 불포화 투수계수 값을 근간으로 사면 내 흡수력 감소를 계산함으로써 평가되고 불포화 투수계수는 함수비와 간극률의 함수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계적으로 연결된 해석방법이 불포화 지반에서 침투수를 고려하고 흙의 변형을 예측하는 동시연동해석 결과보다 사면 내부에서 예측되는 흡수력의 변화가 시간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

월류에 의한 저수지 제체의 붕괴 거동 (Behavior of failure of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due to overtopping)

  • 이달원;노재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427-439
    • /
    • 2012
  •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ith large-scale model was performed according to raising embank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ehaviour of failure due to overtopping. The pore water pressure, earth pressure and settlement by high water level, a rapid drawdown and overtopp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epage analysis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The pore water pressure and earth pressure for inclined core type showed high value at the base of the core, but they showed no infiltration by leakage. The pore water pressure and earth pressure by overtopping increased at the upstream slope and core, it is considered a useful data that can accurately estimate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the reservoir. The behavior of failure due to overtopping was gradually enlarged towards the downstream slope from reservoir crest, and the inclined core after the raising embankment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to prevent the reservoir failure. The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 for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 showed positive (+) pore water pressure on the upstream slope, it was gradually changed negative (-) pore water pressure on the downstream slope. The pore water pressure by overtopping showed a larger than the high water level at the downstream slope, it was likely to be the piping phenomenon because the hydraulic gradients showed largely at the inclined core and reservoir crest. The safety factor showed high at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did not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apid draw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