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page rat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수위급강하에 대한 제방 사면의 취약도 곡선 작성 (Development of Fragility Curves for Slope Stability of Levee under Rapid Drawdown)

  • 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0호
    • /
    • pp.27-39
    • /
    • 2023
  • 극한홍수에 대응하기 위한 홍수 위험도 관리의 필수 요소인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는 댐 및 하천제방과 같은 홍수방어시설에 대하여 여러 파괴 메커니즘을 고려한 신뢰도 해석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급강하에 의한 제체 사면의 시간에 따른 확률론적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침투해석 결과를 사면안정 해석에 연동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수행함으로써 수위급강하에 따른 제체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연구하고 파괴확률을 계산하여 제방의 취약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수위급강하에 의한 사면의 파괴확률은 특정 수위까지는 매우 작은 값을 유지하지만, 그 이상에서는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취약도 곡선은 수위 하강 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수위 저하 속도는 수문 시나리오에 의한 수위의 변동해석을 통하여 결정되므로 수위급강하에 따른 제방 제외지 사면의 안정성은 기후변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특성을 고려한 불포화 잔적토 비탈면의 붕괴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Instability of the Slopes in Unsaturated Residual Soils Considering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 남삼헌;이영휘;오세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5-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토에 대한 압력판 추출시험을 수행하여 함수특성곡선을 구하고 불포화토의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한 후, Geostudio 2007의 SEEP/W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정류 침투해석을 수행하였으며, SLOPE/W 해석프로그램으로 비탈면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관흡수력 증가에 따라 순체적응력과 축차응력이 증가하고 겉보기점착력도 선형적으로 증가함으로 써 전단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강우침투해석 결과 높은 음의 간극수압에서는 적은 강우량에도 간극수압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고, 일정깊이 이하의 심도에서 지하수위의 상승을 제외하면 강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탈면의 파괴양상과 동일한 단면으로 파괴면을 일정하게 고정시켜 안정 해석한 결과 실제로 비탈면 파괴 시에 안전율이 1.0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수위 변동에 영향을 받는 강기슭의 산사태 해석 I (Landslide Analysis of River Bank Affected by Water Level Fluctuation I)

  • 김유성;왕 유메이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77-85
    • /
    • 2010
  • 저수지의 수위변화는 저수지 주변 강기슭 사면파괴의 주요 요인이다. 중국의 삼협댐 저수위는 홍수량 조절을 위해 145m와 175m사이에서 변화한다. 삼협댐 저수위의 정상적 운영상태에서 저수위 변동속도는 0.67m~3.0m의 범위에 있다. 마지아고 사면은 자시강의 2.1km 상류 좌측기슭에 위치한다. 자시강은 삼협지역내에 있는 양츠강의 지류이다. 2003년 저수위가 95m에서 135m로 상승한 직후, 마지아고 사면의 후면부에서 길이 20m, 폭 3~10의 균열이 발생하였다. 지금은 균열 보수 후 특별한 징후는 보이지 않고는 있으나, 이 큰 균열은 마지아고 사면의 산사태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저수위 변화와 관련하여 사면내에서 간극수압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불포화 및 포화 침투해석이 수행되었다. 얻어진 간극수압은 저수위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침윤선은 저수위 변화보다 상당히 지연된 반응을 보였고, 저수위의 상승-하강과정에서 침윤선은 각각 요면과 철면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수위의 변동은 사면의 전면부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후면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터널굴착 중 지하수위 강하 및 깊이별 투수계수 변화를 적용한 지하수 유입량 변화 분석 (Assessment of groundwater inflow rate into a tunnel considering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permeability reduction with depth)

  • 문준식;쩡안치;장서용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09-120
    • /
    • 2017
  • 터널 내 지하수 침투는 터널붕괴와 그에 따른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터널굴착 중 시간에 따른 지하수 침투량과 간극수압 변화를 적절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에서는 균질한 지반조건으로 가정하는 Goodman의 산정법을 사용하여 지하수 침투량을 계산하지만, 터널굴착 중 지하수위 강하와 깊이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설계단계에서 지하수 유입량을 과다하게 산정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강하 및 깊이별 투수계수의 감소를 적용한 매개변수분석을 통해 지하수 유입량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지하수 침투량 변화와 지하수위 및 간극수압 분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비정상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벤토나이트 혼합율에 따른 제강 슬래그 및 슬러지의 투수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according to Mixing Rate of Bentonite)

  • 우원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61
    • /
    • 2000
  • Permeability is important factor in the geotechnical problems, such as seepage discharge and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The Kozeny-Carman equation works well for graded soils but serious discrepancies are found in clays. Major factor for these discrepancies is the tortuous flow path and unequal pore size. To estimate the permeability of fine grained soils, a permeability equation in which swelling potential is coupled with Kozeny-Carman equation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verify proposed equation, a series of variable head permeability test was carried out for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mixed with bentonite. The coefficients of permeability which is measured in the laboratory is compared with the values by the proposed equation. From the comparis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equation can predic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clays with satisfaction. As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is industry waste, it is reused as material of road foundation and cement but the rate of use is low. It mixed sodium-bentonite with high swelling property and permeability decrease effect. Then, Admixture investigates reuse possibility as liner of waste fill.

  • PDF

모형실험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중력배수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avity Drainage for Geotextiles by Model Tests)

  • 이상호;권무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5-136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avity drainage for geotextile, small-scale model tests for the geotextile chimney drain of earth dam which is a typical type of gravity drainage were carried out using 15 kinds of nonwoven and composite geotexti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rainage discharge of geotexgile drain generally increases with exponential function as hydraulic head increases and the increasing rate is greater in the coarser soil of dam material. It has a trend to increase when the construction slope of geotextile drain is steeper and the number of layers of geotextile is 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ssivity of geotextile and the drainage discharge has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ate of increase is greater in the coarser soil. The geotextile products must be carefu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ransmissivity of geotextile when the soil to be drained is coarser and the seepage flow is relatively high. Most of staple fiber nonwoven geotextile used in this study a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drainage purpose. Among them, the composite geotextile the type of which geotextile is evaluated to be the most excellent material. But the geotextile of low permeability such as filament thermal bonded and filament spunbonded nowovens closely examined their transmissivity especially to be used for drainage function.

  • PDF

Unsaturated Soil Mechanics for Slope Stability

  • Rahardjo, Harianto;Satyanaga, Alfrendo;Leong, Eng-Choon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481-501
    • /
    • 2007
  • Excessive rainfalls due to climatic changes can trigger an increase in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that pose real threats to both lives and properties. Many high slopes in residual soils could stand at a steep angle, but failed during or after rainfall. Commonly, these slopes have a deep groundwater table and negative pore-water pressures in the unsaturated zone above the groundwater table contribute to the shear strength of soil and consequently to factor of safety of the slope. Stability assessment of slope under rainfall requires information on rate of rainwater infiltration in the unsaturated zone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pore-water pressure and shear strength of soil. This paper describes the application of unsaturated soil mechanics principles and theories in the assessment of rainfall effect on stability of slope through proper characterization of soil properties, measurement of negative pore-water pressures, seepage and slope stability analyses involving unsaturated and saturated soils. Factors controlling the rate of changes in factor of safety during rainfall and a preventive method to minimize infiltration are highlighted in this paper.

  • PDF

라이닝-지반 수리상호작용이 해저터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aulic lining-ground interaction on subsea tunnels)

  • 신종호;박동인;주은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9-57
    • /
    • 2008
  • 라이닝 작용수압과 유입량은 지하수 수위 아래 혹은 하 해저터널 설계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수리요소이다. 이 요소들은 수심, 심도, 수리경계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각 설계요소가 라이닝하중과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 도구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수심영향해석은 심도 30 m에 건설된 마제형 터널에 대하여 수심과 라이닝/지반 상대투수계수 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조사하였고, 심도영향 해석은 수심 60 m의 터널에 대하여 심도 및 라이닝/지반 상대투수계수 비를 변화시켜 해석하였다. 해석결과 수리경계조건과 상관없이 수심 및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반하중이 증가하였다. 이는 배수터널은 침투력의 영향으로, 비배수 터널은 정수압의 영향으로 수두가 증가함에 따라 지반하중이 증가함을 보여준 것이다. 수심, 심도의 증가에 따라 유입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라이닝/지반 상대투수계수비와 유입량관계는 펼쳐진 S자 곡선(stretched S-curve)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Deformation and permeability evolution of coal during axial stress cyclic loading and unloading: An experimental study

  • Wang, Kai;Guo, Yangyang;Xu, Hao;Dong, Huzi;Du, Feng;Huang, Qimi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6호
    • /
    • pp.519-529
    • /
    • 2021
  • In coal mining activities, the abutment stress of the coal has to undergo cyclic loading and unloading, affecting the strength and seepage characteristics of coal; additionally, it can cause dynamic disasters, posing a major challenge for the safety of coal mine productio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disaster mechanism of gas outburst and rock burst coupling, triaxial devices are applied to axial pressure cyclic loading-unloading tests under different axial stress peaks and different pore pressures. The existing empirical formula is use to perform a non-linear regression fit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ermeability, and the damage rate of permeability is introduced to analyze the change in perme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meability curve obtained had "memory", and the peak stress was lower than the conventional loading path. The permeability curve and the volume strain curve show a clear symmetrical relationship, being the former in the form of a negative power function. Owing to the influence of irreversible deformation, the permeability difference and the damage of permeability mainly occur in the initial stage of loading-unloading, and both decrease as the number of cycles of loading-unloading increase. At the end of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the permeability decreased in the range of 5.777 - 8.421 % and 4.311-8.713 %, respectively. The permeability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axial stress peak, and the damage rate shows the opposite tren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permeability of methane is always lower than that of helium, and it shows a V-shape change trend with increasing methane pressures, and the permeability of the specimen was 3 MPa > 1 MPa > 2 MPa.

흙 수로내에서의 용수손실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oss of Irrigation Water Flowing in the Earth Channel)

  • 김철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03-2715
    • /
    • 1972
  • 본 실험 연구는 흙수로내에서의 용수손실에 관한 연구로서 물을 필요로 하는 논과 밭까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만큼을 보급해 주어야 하는 관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매년 높아져 가는 사수위에 늘어가는 필요 수량과의 함수관계를 해결하는 지표를 주는데 목표을 두었다. 시험은 용수계통인 간선, 지선, 분선수로로 구분하여 간선수로에서는 1,000m 구간을 잡아 유속계측정 방법으로 지선수로에서는 500m 구간을 잡아 상 하류에 파야샬후륨을 설치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선수로에서는 200m 구간을 상 하류에 사각예언웨어를 설치하여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기타손실에 영향을 주는 제요인들도 조사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1,000m 구간의 간선수로에서는 9.64%의 통수손실을 보였으며, 500m 구간의 지선수로에서는 15.55%. 200m 구간의 분선수로에서는 12.34%의 통수손실율을 보였다. (2) 삼투량조사는 지선수로를 40m 간격으로 3번 반복조사에서 2.08cm/day 또 200m 간격의 지선수로에서는 1일 평균 3.37cm/day의 삼투량을 얻었다. (3) 단 1회의 결과치를 객관성 있게 취급은 곤난하며 종래에 사용해 온 결과치보다는 손실과 삼투가 공히 상당히 큰 값을 보여주고 있어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