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s germination

검색결과 1,221건 처리시간 0.022초

녹두종자, 뿌리와 녹두 재배토양에서 분리된 Fusarium spp.와 병원성 (Fusarium spp. Isolated from Seed, Root and Cultivated Soil of Phaseouls vidissimus and Their Pathogenicity)

  • 백수봉;도은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2
    • /
    • 1987
  • 경기도 농촌진흥원에서 분양받은 녹두종자와 녹두 시험포의 뿌리 및 재배토양에서 Fusarium oxysporum, F. monitiforme, F. solani, F. equiseti, F. semitectum 및 F. sporotrichioides가 검출되었다. 종자를 대형 Petridish에서 발아시킨 유묘검정에서는 $7\%$, 자엽 및 배에서도 $2\%$의 감염율을 나타냈다. 녹두 종자에서 분리한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equiseti 및 F. sporotrichioides를 Water-agar에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이병근에서 F. oxysporum과 F. solani가 분리되었고, 이들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Water-agar에서는 병원성이 인정되었으나 병원균접종토양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재배토양에서는 F. oxysporum, F. solani 및 F. equiseti가 분리되었는데 이들도 Water-agar에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병원균접종토양에서는 F. oxysporum과 F. equiseti는 병원성이 인정되었으나 F. solani는 병원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 PDF

EMS처리에 의한 한란의 엽록소 결핍 돌연변이 식물체의 유도 (Induction of Chlorophyll Deficient Mutant Plant of Cymbidium kanran by EMS Treatment)

  • 이효연;정재성;이종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3-187
    • /
    • 1998
  • 한란(Cymbidium kanran)의 근경에 돌연변이 물질인 EMS를 처리하여 엽록소변이 식물체를 유도하였다. 한란종자를 발아시켜서 근경을 유도할 때 종자에 40분간 초음파 처리한 것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발아율이 5.5배 정도 높았다. EMS 0.2%를 포함한 근경증식용 액체배지에서 3주간 배양하였을 경우에 50-60%정도의 근경이 갈변되었다. 갈변된 근경을 근경증식용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에 근경조직의 일부분으로부터 새로운 근경의 증식의 관찰되었고, 이러한 근경조직을 절단하여 1년간 계단배양하던중에 분열조직의 일부분에서 색소변이 근경이 관찰되었다. 색소변이 근경은 나선형의 줄무늬가 가장 많았고, 그 외 엷은 노란색과 흰색의 근경이 분리되었다. 나선형의 근경에서 유도된 식물체는 잎에 무늬가 전혀 없는 녹색의 식물체 또는 줄무늬가 들어 있는 식물체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엷은 노란색 근경에서 유도된 식물체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식물체로, 흰색 근경으로부터 유도된 식물체는 백화된 식물체로만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란근경을 이용한 색소변이식물체의 유도에 있어서 배양중인 근경에 EMS처리가 효과적인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방법을 다른 식물에 적용하면 색소변이 식물체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Speciation of Viola albida var. takahashii based on both artificial and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V. albida var. albida and V. albida var. chaerophylloides

  • Songhee AHN;Sung Soo WHA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26-234
    • /
    • 2022
  • The study aims a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and natural hybrids between Viola albida var. albida (= albida, from below) and V. albida var. chaerophylloides (= chaerophylloides, from below), and to confirm if hybrids could be fertile and make populations in their native habitats. The 1st filial (= F1, from below) leaf shape produced by artificial crossing between albida and chaerophylloides was the same as that of V. albida var. takahashii (= takahashii, from below), and F1 bore also both chasmogamous and cleistogamous flowers. F1 seed number was 9.6 per cleistogamous pods, which was remarkably less than the average of 38.2 for albida and chaerophylloides, but the germination rate was all similar. The leaf type of self-crossed 2nd offsprings (= F2, from below) showed all leaf types found in the Viola albida complex, but the ratio of chaerophylloides leaf type was relatively low. Individuals whose F2 leaf type was restored to albida produced an average of 31.4 seeds per capsule, meaning that fertility was restored.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of F2 takahashii leaf type come to fruition a low average of 10.4 seeds per capsul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akahashii. The results of crossbreeding experiment, where is their native habitats, were similar to that of laboratory. Both albida and chaerophylloids in Mt. Bulmyeong distribute extensively, but takahashii make a small population only in places where albida and chaerophylloides grow together.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s suggesting that the speciation of takahashii was done by hybrid between albida and chaerophylloides, and these have been maintained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by cleistogamous capsules.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mutants generated by the CRISPR/Cas9-geminiviral replicon system in rice

  • Jong Hee Kim;Jihyeon Yu;Jin Young Kim;Yong Jin Park;Sangsu Bae;Kwon Kyoo Kang;Yu Jin Jung
    • BMB Reports
    • /
    • 제57권2호
    • /
    • pp.79-85
    • /
    • 2024
  • Pre-harvest sprouting is a critical phenomenon involving germination of seeds in the mother plant before harvest under relative humid conditions and reduced dormancy. In this paper, we generated HDR mutant lines with one region SNP (C/T) and an insertion of 6 bp (GGT/GGTGGCGGC) in OsERF1 genes for pre-harvest sprouting (PHS) resistance using CRISPR/Cas9 and a geminiviral replicon system. The incidence of HDR was 2.6% in transformed calli. T1 seeds were harvested from 12 HDR-induced calli and named ERF1-hdr line. Molecular stability, key agronomic properties,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arget genes in the ERF1-hdr line were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The ERF1-hdr line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seed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qRT-PCR analysis suggested that enhanced ABA signaling resulted in a stronger phenotype of PHS res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icient HDR can be achieved through SNP/InDel replacement using a single and modular configuration applicable to different rice targets and other crops. This work demonstrates the potential to replace all genes with elite alleles within one generation and greatly expands our ability to improve agriculturally important trai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Phenotypic Traits in Mung Beans Reveals Diversity Among Korean, Indian, and Chinese Accessions

  • Kebede Taye Desta;Young-ah Jeon;Myoung-Jae Shin;Yu-Mi Choi;Jungyoon Yi;Hyemyeong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0-30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323 mung bean accessions from Korea, China, and India, along with six cultivars, using 22 agronomical traits. The standardized Shannon-Weaver index (H') for the qualitative traits ranged from 0.11 (terminal leaflet shape) to 0.98 (pubescence density of pod). Likewis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quantitative traits ranged from 8.76% (days to maturity (DM)) to 79.91% (lodging rate (LR)), indicating a wide genetic variance. Hypocotyl color, pod color, seed shape, and seed coat surface lust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s among Korean, Indian, and Chinese accessions. Chinese accessions had the highest average germination rate, DM,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one-hundred seeds weight, followed by Korean and Indian accessions, while the number of seeds per pod (SPP) displayed the opposite trend, with all except SPP showing significant variation (p < 0.05). Similarly,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increased in the order of India > Korea > China, with LR showing the opposite trend (p < 0.05). The mung bean accessions were grouped into four major clusters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uppor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and all of the quantitative trai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etween the clusters (p < 0.05). Generally, the mung bean access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exhibited wide phenotypic trait variations, which could be beneficial for future genomics studies. Moreover, this study identified 77 accessions that outperformed the controls. Consequently, these superior accessions could provide a wide spectrum of options during the development of improved mung bean varieties.

당근 EST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자모 형질 관련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Seed-hair Characteristic Based on EST Sequences in Carrot)

  • 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0-88
    • /
    • 2013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채소 작물 중 하나로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의 전구체로 잘 알려진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당근 종자는 종피의 epidermal 세포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종자모의 캐로톨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종자의 수분흡수와 발아가 억제된다. 따라서 당근 종자를 상품화하기 이전에 기계적인 종자모 제거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과정 때문에 생산자는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물론 시간과 노동력, 그리고 자본금과 같은 추가적인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리고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종자발아율을 불균일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무모종자 당근품종 개발을 위한 육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육종과정을 위해 종자모 형질관련 분자표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 개체, 그리고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 개체의 cDNA library를 각각 작성하였다. 또한 각각의 개체별로 1,248개의 EST, 합계 4,992개의 EST를 sequencing하였다. 단모종자와 유모종자 개체의 EST sequence들을 2개의 조합에서 각각 비교 분석하여 19개의 SNP site, 14개의 SNP site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NP site에 대한 High Resolution Melting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HRM 프라이머들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40 개체군과 무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24, 1025, 1026 개체군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중 한세트의 HRM 프라이머에서 유모 및 단모종자 표현형 개체군들의 melting curve간 특이적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모종자 당근 및 단모종자 당근간의 보다 간편한 선발을 위해 allele-specific PCR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HRM 및 AS-PCR 결과는 무모종자 당근육종에 있어 유용한 분자표지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유기질비료가 묘삼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Kinds of Composts on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in Ginseng Seedlings)

  • 이갑수;이성식;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24-31
    • /
    • 2003
  • 본 시험은 인삼비료인 약토를 대체 하기 위하여 인삼비료인 약토 외에 4종의 퇴비를 공시하여 약토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삼약토 성분기준표’에 비교해 보면 약토퇴비가 기준치와 비슷하여 가장우수 하였고, PL퇴비와 HJ퇴비는 인산, 카리, 칼슘,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팽이버섯퇴비는 인산,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볏짚우분 퇴비는 인산, 카리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상치종자를 이용한 발아율 및 초기생육과, C/N율을 이용한 부숙도 판정 시험에서, HJ퇴비, 팽이버섯퇴비 및 볏짚우분퇴비가 약토보다 C/N율은 높았고, 발아율은 낮았으며, 초장은 짧아 부숙이 다소 덜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종류별 묘삼의 지상부 출아율은 약토>팽이버섯퇴비>PL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하였고, 8월 초순의 지상부 생존율은 약토>PL퇴비 >팽이버섯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 하였다. 양직묘 생산을 위해서는 완숙된 퇴비사용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고, 앞으로 완숙된 PL퇴비와 팽이버섯퇴비의 검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혐기소화처리액을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액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Using As Midium of Anaerobic Digestate on Early Growth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 서운갑;이진웅;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3-401
    • /
    • 2016
  • 본 연구는 가축분뇨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 배양액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는 혐기소화처리액과 이를 배지로 활용하여 배양한 클로렐라 배양액의 희석 농도를 각각 25% (v/v), 50% (v/v), 75% (v/v), 100% (v/v)로 처리하였다. 초기생육의 평가를 위한 조사항목으로 발아율, 초장, 엽수, 엽폭, 엽록소함량 (SPAD) 측정,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T/R율, 뿌리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클로렐라 배양액 25%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지하수) 보다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지상부 생육 특성(초장, 엽장, 엽수 및 엽폭)은 모든 처리구 중에서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엽록소 측정값(SPAD)은 무처리구의 30.7에 비해 클로렐라 배양액 50%처리구는 58.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혐기소화액 보다 높았으며 50% 처리구에서 29.2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하부 생체중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에서 21~27 g로 혐기소화처리액에 비하여 높았다. T/R율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에서 0.98~1.04 (평균 0.97)로 클로렐라배양액 처리구의 0.94~1.06 (평균 1.02)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보다 길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지상부 및 뿌리 생육에 클로렐라 배양액의 초기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클로렐라 배양액의 적정 시용농도는 50%로 보여진다.

저선량 ${\gamma}$ 선 조사가 배추와 무 종자의 발아와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uptake of mineral nutrients in chinese cabbage and radish)

  • 윤영만;김남범;김재성;김정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4-348
    • /
    • 1999
  • 배추와 무의 영양생리에 대한 저선량${\gamma}$선에 의한 자극작용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1998년산 흑진주배추, 1995년산 서림엇갈이배추, 1998년산 청운무 종자에 1에서 10Gy의 저선량 ${\gamma}$선을 조사하고 생육시기에 따른 생장량과 무기양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시된 배추품종들은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발아율과 건물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생산의 증가는 흑진주배추에서 가장 현저하여 10Gy 처리구에서 143%로 증가되었고, 서림엇갈이배추는 10Gy에서 138%로 증가하였다. 청운무는 ${\gamma}$선 조사에 따른 발아율과 건물생산량의 일관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무기영양소들의 함량변화는 선량-반응 곡선의 ${\gamma}$ 또는 ${\delta}$형을 나타내 ${\gamma}$선에 의한 자극효과가 일부처리구에서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일반적 현상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저선량 ${\gamma}$조사가 배추와 무의 영양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결과의 집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코윈어리 품종의 간척지 채종 재배에서의 적정 수확시기 설정 (Identification of Ideal Seed Harvest Time for Itallian Ryegrass (IRG) 'Kowinearly' Variety in Reclaimed Land)

  • 강찬호;이인석;권석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42-150
    • /
    • 2020
  • 간척지에서 IRG 코윈어리 품종 채종재배 결과 IRG 지상부 생육 최성기는 추파, 춘파 모두 출수 후 20~30일 이었고 춘파의 생육(초장)은 추파의 90.4% 수준이었다. 간척지에서 IRG 종자 수량은 토양의 미성숙 등의 생육환경의 불량으로 일반지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출수 후 기간 경과에 따라 도복과 탈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종자 수량에 반영되었는데 노출 후 작물 경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처녀지인 새만금 노출지에서 IRG 추파 시 수확 가능한 종자 최고 수량은 238 kg/10a이었고 춘파는 최고 수량이 추파의 71% 수준인 169 kg/10a이었다. IRG는 출수후 18일이 지난 후부터 줄기가 분홍색으로 변하였으며 종자도 출수 후 20일 경과부터 점차적으로 녹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하였다. 수확 종자의 발아율은 종자 수분 함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는데 종자 수분 함량이 55% 이하로 떨어지는 출수 20일~25일부터는 IRG 종자 발아율이 90% 이상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IRG 'Kowinearly' 품종의 채종재배의 수확 적기는 발아율이 90% 이상으로 유지되고 탈립율이 16.8% 이하이면서 최고 수량을 나타내는 출수 20일~30일 사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