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8초

Temperature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Medicinal Umbelliferae Plants

  • Chio, Seong-Kyu;Chon, Sang-Uk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66-70
    • /
    • 2000
  • Umbelliferae medicinal crops have low germ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 Speci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ir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Umbelliferae plants, using them as oriental medicine materials. Fruits of Umbelliferae are bi-partite type and form 2 seeds. Their oil canals and funiculus or carpaphore has apparently specific shape. Seed shape of Buplerum falcatum, Ligusticum acutilobum and Foeniculum vulgare are oblong, Ledebout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gelica gigas elliptic, and Ostericum koreanum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was 3.2 to 6.9 mm in length, 1.7 to 4.9 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Buplerum falcatum was lowest(at 1,660 mg) and Ledebouriella seseloides and Angelica gigas were relatively highest(at 3,970 mg) having larger size than any others.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d from 20 to $25^{\circ}C$ and especially temperature at $25^{\circ}C$ improved seed germination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d Ligusticum acutilobum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 PDF

조림묘목 멀칭매트 제조용 고분자의 물성 및 생분해성 (Properties and Biodegradation of Polymer for Afforestation Seedling Mulching Mat)

  • 김강재;김형진;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4호
    • /
    • pp.8-14
    • /
    • 2009
  •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polymers for mulching mat for seedling were investigated. The solvent solubility of polymers is highest in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form. Tensile strength and breaking elongation of polymer dipped paper were increased to the 0.43-1.46 kN/m and the 0.03-0.26%, respectively. PLAs had showed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melting point than those of polyester. As a result, PLA should be most suitable polymer for mulching mat manufacturing. After biodegradation of polymers by lipase, surface of polymers was change to more flat due to enzymatic degradation.

생분해성 고분자와 멀칭매트의 물성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Afforestation Seedling Mulching Mat)

  • 김강재;김형진;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2호
    • /
    • pp.75-81
    • /
    • 2010
  • Characteristics of mixing biodegradable polymers and polymer impregnated paper for mulching mat for seedling were investigated. The mixed film of 70% PLA was most easily biodegradable. The surface of polymer films were changed to more rough due to enzymatic degradation of lipase. Tensile strength and breaking elongation of PLA mixed films were increased to the 0.04-0.31 kN/m and the 0.17-0.96%, respectively. With higher PLA contents, intensities of ester originated carboxyl group(about $1,748cm^{-1}$) were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of prepared mulching mats were increased with PLA contents and stiffness of mulching mat was not so much changed.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Lettuce Seedling Vigor and Growth

  • Hyeon-Do Kim;Yeon-Ju Choi;Eun-Young Bae;Byoung-Il Je;Jum-Soon Ka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05-322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of lettuce, aiming to identify the optimal artificial light source for producing high-quality seedlings. Lettuce cultivar of 'Tomalin' and 'Seonpunggold' exhibited the highest seed emergence in the Metal halide(MH) lamp and High-pressure sodium(HPS) lamp treatment group, while the emergence rate parameter, T50, was the fastest in the HPS lamp treatment group. Both cultivars showed good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and stem diameter under RGB-LED, and their seedling vigor was excellent as well. The plant height was smallest in the Red + Green + Blue LED treatment, but the leaves were round and thick, resulting in higher biomass and dry weight. Single light sources of Red LED and Blue LED led to reduced growth compared with that under the mixed light treatments. Chlorophyll content in lettuce varied with the type of artificial light, with both cultivars exhibiting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in the Red + Green + Blue LED treatment. The most suitable artificial light for lettuce seedling growth was the Red + Green + Blue LED treatment.

벼 철분코팅종자의 발아 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입모 영향 (Seed Germination and Effect of Water Depths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Iron-coated Rice Seeds)

  • 김상열;박성태;서종호;황정동;배현경;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5
    • /
    • 2017
  • 본 연구는 벼 무논 및 담수직파 시 입모향상을 위해 철분코팅종자와 일반종자에 대한 발아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 입모영향을 구명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철분코팅종자는 일반종자보다 발아초기에는 발아율이 높았으나 후기에는 일반종자의 발아율과 비슷하였다. 그 결과 철분코팅종자가 일반종자에 비해 발아속도가 빠르고 평균 발아일수가 짧았다. 철분코팅종자를 상온종자창고에 보관시 1년이 지난 후 발아율은 보관당시보다 15.3~21.6% 감소되어 가능한 철분코팅 종자는 1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담수직파조건에서 철분코팅 종자는 일반종자에 비해 깊은 수심에도 출아율이 높고, 뜬묘비율도 낮을 뿐만 아니라 모 충실도가 높아 담수직파 시 철분코팅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초기입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몇 가지 재배조건에 따른 산꼬리풀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according to Several Cultivation Conditions)

  • 이상인;연수호;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4-32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특산식물이며 신 관상식물로 기대되는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의 효과적인 재배법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러그 육묘는 파종용기와 파종량을 달리하였다. 재배는 묘의 소질, 식재용기, 토양종류 및 차광정도를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묘의 소질은 162, 200 및 288구 트레이를 이용하여 육묘한 묘를 사용였으며, 파종량은 1, 2, 4 및 6립을 파종하여 생산된 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꼬리풀의 육묘 시 트레이 종류는 162구가 적절하였으며, 셀 당 1립씩 파종할 경우 각 개체의 생육이 증가하였으나 4립 파종 시에는 전체 식물의 생육에 유리하였다. 묘의 소질에 따른 실험은 162구 트레이에서 생산된 묘와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묘에서 각기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산꼬리풀 재배 시 식재용기의 용적량이 커질수록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용기의 재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조건별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혼용토에서는 피트모스에 비해 마사토의 함량이 높은 조건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냈다.

헛개나무 선발개체 차대의 생장 및 엽특성 (Leaf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in Progen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 김세현;정헌관;장용석;한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1
    • /
    • 2007
  •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와 JN 2-2 가계가 전체 가계 평균에 비해 125%의 선발 효과를 보였으며, 상위 2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 JN 2-2, KW 1-1, KW 1-15 가계에서 115%의 선발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엽장과 엽폭,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및 엽형지수와 측맥수 등 6항목에 대하여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변이계수는 $9.4{\sim}42.4%$로 나타나 변이 폭이 큰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특성의 변이계수가 각각 42.4%와 28.7%로 다른 특성들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조사된 엽특성들은 모두 가계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엽장과 엽형지수간 상관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간의 상관에서는 정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특히, 엽장과 엽폭특성간의 상관계수가 0.8049로 나타나 두 특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직, 상토 및 양액육묘에 의해 생산된 묘삼의 본포 이식 후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Seedling Transplanting by Self Soil Nusery, Nursery or Hydroponic Culture on Main Field)

  • 박홍우;송정호;권기범;이응호;손호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8-243
    • /
    • 2017
  • Background: The production method of ginseng seedlings for ginseng cultivation is very important to ensure healthy rooting system as well as high quality, and yield of the resultant pl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2-year-old ginseng plants that were produced from seedlings grown in self soil nursery (SSN), nursery soil (NS) or hydroponic culture (HC).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prop used was composed of four-layered 4 polyethylene (blue 3 + black 1) shade screen. The management of main field was done by inserting oil cake (1,200 kg/10 a) and then allowing Sudan grass to grow for a year. Seedling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on April 6. Root growth was measured on October 25. Root weight was observed to be excellent at 6.0 g, following SSN transplantation. Root length was 21.2 cm for HC seedlings, but these plants had a physiological disorder (i.e., rusty root), in 83.5% plants of this treatment. The ratio of PD/PT (protopanaxadiol saponins / protopanaxatriol saponins) was higher in NS seedlings. Plant analysis revealed that Fe content was lower in HC seedlings with high rustiness. The growth of 2-years-old ginseng was different following these varying seedling cultivation methods, but seedlings from N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grown in SSN. Conclusions: For the propagation of 2-year-old ginseng plants, NS seedlings may be a good substitute for SSN seedlings.

백합나무 5년생 체세포배 유래 클론배양묘 및 실생묘 간의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5-year-old emblings Derived form Somatic Embryos and Seedlings in Liriodendron tulipifera)

  • 김용욱;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13-618
    • /
    • 2012
  • 본 연구는 백합나무 5년생의 실생묘와 체세포배 유래 식물체(클론배양묘, embling) 간의 수고, 흉고직경, 엽 형질, 엽록소 함량 및 엽 조직의 미세구조 비교를 위해 수행되었다. 수고비교의 경우 실생묘의 평균 수고는 3.8 m, 클론배양묘의 경우 3.87 m로 나타나 두 식물체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줄기직경은 실생묘가 12.09 cm, 클론배양묘는 12.53 cm로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엽 특성비교에서는 엽장(실생묘, 108.11 mm; 클론배양묘, 113.59 mm), 엽 폭(실생묘, 149.1 mm; 클론배양묘, 167.71 mm), 엽 면적(실생묘, $119.92mm^2$; 클론배양묘, $164.43mm^2$), 엽 생중량(실생묘, 2.1 g; 클론배양묘, 2.62 g), 엽병 길이(실생묘 81.49 mm; 클론배양묘, 98.41 mm) 및 엽병 두께(실생묘 1.66 mm; 클론배양묘, 1.98 mm)등 클론배양묘가 실생묘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엽록소 a(실생묘, $11.2{\mu}g/g$; 클론배양묘, $13.2{\mu}g/g$), 엽록소 b(실생묘, $4.82{\mu}g/g$; 클론배양묘, $5.4{\mu}g/g$) 및 총 엽록소 함량(실생묘, $800.1{\mu}g/g$; 클론배양묘, $930.2{\mu}g/g$) 모두 실생묘 보다 클론배양묘가 높았으나, 카르티노이드 함량(실생묘, $260.3{\mu}g/g$; 클론배양묘, $265.2{\mu}g/g$)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엽 조직의 미세구조 비교에서는 실생묘 및 클론배양묘 둘 다 책상(palisade)과 해면(sponge) 유조직 각각은 정상적인 배열로 나타났다. 따라서 5년생 클론배양묘와 실생묘의 비교에서 생장차이는 거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비처리 방법에 따른 낙엽송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 특성 (Effects of Fertilization Method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Seedlings in the Container Nursery System)

  • 조민석;이수원;박병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상토의 화학적 특성, 생장 특성 및 생리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최소 시비량에 대한 최대 생장 효과와 적정 시비 방법 적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 상토의 화학적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H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였는데 시비량이 적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산성도는 가장 낮고, 시비량이 높은 Constant와 Three stage 처리에서 산성도가 높아, 시비에 따른 산성화가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 시비 처리구 모두에서 낙엽송 용기묘 규격 이상의 우수한 생장을 나타냈다. H/D율과 T/R율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반면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는 Constant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광화학 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Constant 처리구에서 높았지만, 세 처리구 모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비량을 생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시비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비슷한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xponential 처리구는 50% 시비량으로 생장, 묘목품질지수 및 생리적특성에서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규격묘 생산이 가능했다. 이는 낙엽송 용기묘 100만본 생산 시 비료량을 약 200kg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시설양묘과정에서 다른 시비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양묘장 토양 및 계류수의 오염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Exponential 시비 방법은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 효과 얻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 시비방법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