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treatments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4초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번식생물학적 연구 I. HCG 처리에 의한 배란유도 (Reproductive Bioligy of the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I. The Effect of HCG on Ovulation Induction)

  • 김병호;김경민;이영돈;송춘복;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1997
  • 이 실험은 능성어의 친어관리와 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HCG 처리에 의한 난의 성숙과 배란유도를 알아보고자 행하였다.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와 한라수산에서 1996년 6월에서 8월에 걸쳐 300-400 g, 1,500-2,000 g, 2,500-4,000 g 되는 능성어를 대상으로 하여 HCG를 500-1,000 IU/kg 체중농도로 2-3회 처리하였다. 이들의 생식소 발달은 일반적인 paraffin 절편법에 의하여 haematoxylin과 eosin으로 비교염색하여 조사하였다. 체중 300-400 g, 1,500-2,000 g, 2,500-3,200 g 되는 능성어에 HCG를 500-1,000 IU/kg 체중농도로 2-3회 처리한 결과 생식소는 난원세포군, 20~$30\mu$m 내외의 어린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체중 3,400-4,000 g 되는 능성어에 HCG 1,000 IU/kg 농도로 2회 처리한 결과 난경 ~$800\mu$m되는 건강한 난과 퇴행란이 배란되었다. 체중 4,000 g 개체에서 배란된 난수는 4,252개 였으며, 이 중에서 건강한 난은 20.8%, 퇴행란은 79.2%였다. 그리고 생식소내에는 배란 흔적과 함께 난경 ~$50\mu$m전후의 주변인기 난모세포, 20~$30\mu$m의 어린 난모세포들이 차지하고 있다.

  • PDF

작물에 흡수된 방사성 동위원소의 내부 조사 효과에 관한 연구 (IV) -교맥 생장에 미치는 P-32 시용의 잔유 효과- (Studies on the effects of radiation from radioisotopes incorporated in plant (IV) -The effects of P-32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buckwheat-)

  • 김길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1권1호
    • /
    • pp.7-14
    • /
    • 1968
  • Buckwheat seeds produced in previous year (1965) in an experimental pot culture in which nine levels of P-32 ranging from $1.4{\times}10-4 to 3.3{\times}104$\mu$c/pot(as of 27 July 1965)$, with the same specific activity, had been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ts respectively, were used this year(1996) in water and soil culture as well as in germination test to investigate the feature and extent of possible residual effects of P-32 incorporated upon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Under the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both stimulative and inhibitory effects of radiation were observed. 2.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s was lower at the higher level of P-32 aplication ranging from $3.0{\times}103 to 3.3{\times}104$\mu$c/pot$ and higher at 0.2 $\mu$c P/pot than the control. 3. Among the seeds produced at the higher level of application about 80% was failed to germinate, owing to the radiation injury. The remaining 80% was failed to germinate, owing to the radiation injury. The remaining 80% survived the damaging effect and showed vigorous growth and increased yield. The latter group of seeds thus proved themselves to be more radioresistant than the former. 4. The survived seeds produced later more straw and root on dry weight basis. The higher the level of P-32 applied, the stronger the stimulative effect showed in vegetative growth. 5. No radiation effect on linear growth of the plants was observed in the soil culture. 6. The dry weight of straw produced showed little difference at the moderate range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in the soil culture. At high level of application, i.e. over $\mu$c P32/pot, however, the production was increased by 12-37% of control. 7. As for the dry weight of root harvested, the P-32 treatment over 24$\mu$c P32/pot produced 82-155% more than the control, whereas little difference was observed under 2.2$\mu$c P32/pot. 8. The seed production increased in general by the P-32 treatments. Particularly at the moderate level of application the rate of increase amounted to 70% of the control. 9. Those individual plants which survived damaging effects of radiation at the germinating stage shwoed remarkable stimulative effects both in vegetative and in reproductive stage of growth.

  • PDF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hrysosplenium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 한종원;양선규;김현준;장창기;박정미;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8-369
    • /
    • 2011
  • 괭이눈속 식물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5.8s를 포함한 ITS 염기서열은 647-653 bp로 그중 219개의 염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bootstrap을 포함한 parsimony 방법과 neighbo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 pseudofauriei(선괭이눈)이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Ser. Pilosa and Ser. Oppositifolia와 Ser. Alternifolia and Ser. Flagellifera가 높은 bootstrap 값으로 두 개의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Neighbor-joining 분석의 결과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핵 r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괭이눈속의 계통학적 연구에 유용한 마커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ITS 염기서열과 종자 형태형질을 바탕으로 C. sphaerospermum Maxim. and C. valdepilosum (Ohwi) S.H. Kang & J.W. Han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

Bifidobacterium bifidum을 이용한 밀가루 brew가 반죽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at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조남지;이시경;김성곤;주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32-841
    • /
    • 1998
  • Bifidobacterium bifidum을 빵에 첨가하므로서 경제적으로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밀가루 brew에 접종한 후 배양시키면서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 성장곡선, 산 생성량 및 효모와의 공생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밀가루 brew에서의 bifidobacteria 성장은 초기접종량 이상 증가되지 않고, 배양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밀가루 brew에서 pH는 배양 12시간까지 계속 감소되었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밀가루 brew에서 배양된 bifidobacteria와 효모와의 공생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밀가루 brew에서 탈지분유 배지와는 달리 아세트산 보다 락트산이 더 많이 생성되었다. 밀가루 brew첨가가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파리노그람에서 밀가루 brew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원료 밀가루의 흡수율, 안정도 및 반죽시간이 감소하였다. 익스텐소그람에서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성이 증가되고 신장성이 감소하여 R/E 비율이 증가되었으며, 동일 발효시간에서 약 2배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반죽의 물성 변화는 발효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호화특성에서는 밀가루 brew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 점도는 급격히 낮아졌으며, 전분의 결정성과 관련이 있는 break down값 및 set back 값이 감소하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감마선 조사가 렌틸(Lens culinaris L.)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Radiosensitivity of Lentil Bean (Lens culinaris L.) to Gamma-irradiation)

  • 이민규;류재혁;정상욱;김진백;강시용;권순재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1-217
    • /
    • 2016
  • We examined damages from gamma-irradiaion and determined the optimal gamma-ray dose for mutation breeding in lentil (Lens culinaris L.) bean. Four individual lines (L-C, L-2, L-8 and L-9), that have remarkable adaptability in South Korea were gamma-irradiated at doses of 50, 70, 100, 200, 300, 400, and 500 Gy. The germination rate of seed decreased as the dose increased over 50 Gy in all lines. However, $LD_{50}$ and $RD_{50}$ were different among lines. The median lethal doses($LD_{50}$) were approximately 127 (L-C), 74 (L-2), 95 (L-8), and 144 (L-9) Gy. The median reduction doses($RD_{50}$) for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and flash weight were 156, 176, 150, and 180 Gy for L-C, 253, 198, 127, and 142 Gy for L-2, 188, 175, 200, and 190 Gy for L-8, and 162, 210, 224, and 184 for L-9, respectively.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M_1$ generation decreased as the dose increased over 70 Gy. The optimal doses of gamma irradiation for mutation breeding of lentil were determined to be 70 Gy (L-2, L-8) and 100 Gy (L-C, L-9). We performed the comet assay to observe nuclear DNA damage induced by gamma-irradiation. In comet assay, a clear difference was identified over 100 Gy treatments. With increasing doses of gamma-ray in the range of 50 to 500 Gy, the rate of head DNA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97.5% to 81.6%. Tail length was consecutively increased from $1.9{\mu}m$ to $17.4{\mu}m$. Our resul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mutant pools in lentils.

채종 시기 및 GA3 처리가 적수크령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 Time and GA3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Rate of Pennisetum alopecuroides for. erythrochaetum)

  • 임채신;오주열;석용철;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7
    • /
    • 2010
  • 본 실험은 하천과 벽사면의 녹화에 이용되는 벼과 식물 중 적수크령을 대상으로 채종시기와 식물생장 조절물질인 $GA_3$ 처리가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정 채종시기와 $GA_3$ 농도 및 침지시간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채종 기간은 2008년 10월 2일부터 동년 11월 25일까지 2주 간격으로 5회 채종하였다. 채종된 종자의 저장 및 관리는 수확 후 채종된 순서대로 $5{\pm}1^{\circ}C$의 항온기에 밀폐하여 보관하였다. 저장된 종자의 후숙은 $41{\pm}3^{\circ}C$ (R.H.=70%) 항온기에서 96시간 처리하였다. 수크령 종자의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및 $GA_3$ 처리에 따른 결과는 침지시간에 따른 효과가 나타났고 채종시기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경에 채종되는 수크령 종자가 발아율에 더 효과적이라 판단되었으며, 본 실험을 통해 수크령 종자의 발아성을 향상은 물론 녹화용에 이용되는 수크령의 원예적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직립형 팥의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Wide-Row Drill Seeding of Upright Type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Ohashi))

  • 정기열;최영대;전현정;이상훈;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78-383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기계화 수확에 적합한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경장은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아라리' 품종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홍언' 품종에서는 대체적으로 짧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경태와 분지수에서는 두 품종 모두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가늘어지거나 적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2. 착협고는 재식거리가 짧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홍언'에서는 $30{\times}10cm$ 처리구에서 5.0 cm로, '아라리'에서는 $30{\times}10cm$$50{\times}10cm$ 처리구에서 8.8 cm로 가장 높았다. 3.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는 두 품종 모두 재식거리가 길어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백립중에서는 '홍언'에서는 재식밀도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아라리' 에서는 재식밀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수량성은 조간거리 40cm${\times}$주간거리 15 cm 처리구에서 두 품종 모두 (285, $374kg{\cdot}10a^{-1}$) 가장 높았다.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한 느타리 생육배지 톱밥 대체재료 선발 연구 (Sawdust Substitution in Growth Medium of Oyster Mushroom for Using Its By-product Spent Mushroom Substrates as Ruminant Feed)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7-414
    • /
    • 2020
  • 느타리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해 생육배지의 톱밥을 대체하고자 면실피펠렛, 옥대펠렛, 콘코브를 활용하여 생육시험을 수행하고, 그 수확후 배지의 사료로서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톱밥 대체재료별 혼합배지의 생육결과 콘코브, 면실피펠렛 처리구의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4일, 생육일수 3일 소요되어 전체 재배기간이 34일로 대조와 같았다. 병당 수량은 콘코브 처리구가 134 g으로 대조구 130 g과 유사하였고, 면실피펠렛처리구는 112 g, 옥대펠렛 처리구 68 g으로 낮았다. 생물학적 효율은 콘코브가 80.1%로 대조구 68.7%보다 우수하였다. 톱밥 대체재료별 수확 후 배지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콘코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NDF는 같지만 ADF와 리그닌 함량이 낮고, 단백질 함량은 높아 사료로서 영양학적 가치가 더 우수하였다. 향후, 농가 현장의 적용시험을 통하여 생산성을 검증한다면 느타리 수확 후 배지도 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및 석회(石灰) 비종별(肥種別) 시용(施用)이 땅콩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 -1. 식물체중(植物體中) 양분함량(養分含量) 및 수량(收量) (Effect of Inoculation with Bradyrhizobium sp. and Lime Types on Peanut Plant at Newly Reclaimed Area -1. Content of Nutrients in Plant and Yield)

  • 이덕배;임건재;권태오;이상복;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0-218
    • /
    • 1991
  • 질소무시용하(窒素無施用下)에서 소석회(消石灰), 고토석회(苦土石灰),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중화량(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는 10a당(糖) 150kg시용(施用)하고 비닐피복후(被覆後) $40{\times}25cm$ 재식거리(栽植距離)로 1989년(年) 4월(月) 26일(日) 파종(播種)하여 호남(湖南) 작시(作試) 선발(選拔) 우량질소(優良窒素) 고정균(固定菌)(B. sp HCR-46)을 종자(種字) 1입당(粒當) $8.2{\times}10^7$ cell의 농도(濃度)로 접종(接種)한뒤 영호(嶺湖)땅콩의 종실성분(種實成分)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에 착생(着生)한 근류수, 근류건중(根瘤乾重) 그리고 지하부건중(地下部乾重)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증가(增加)되었으며,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는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무시용(無施用)>황산석회순(黃酸石灰順)이었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잎과 줄기중(中) T-N, $K_2O$, MgO, Allantoin, Ammonia, 유리(遊離)아미노산함량(酸含量),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Nitrate 와 줄기중(中) 전당(全糖),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3. 잎과 줄기중(中) T-N,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탄산석회시용구(炭酸石灰施用區)에서, $K_2O$, MgO, Allantoin, Ammonia 함량(含量)은 고토석회시용구(苦土石灰施用區)에서, CaO와 Nitrate함량(含量)은 소석회시용구(消石灰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4. 줄기중(中) 전당함량(全糖含量)은 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無施用)>소석회(消石灰)>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순(苦土石灰順)이었다. 5.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 토양개량효과를 보면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산도교정력(酸度矯正力)과 Ca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했으며, 고토석회(苦土石灰)는 Mg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하였다. 6.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주경장(主莖長), $m^2$당협수가 유의적(有意的)으로 증가(增加)했으며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無接種)보다 64%증가(增加)되었다.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 보면 주경장(主莖長), 분지수, 종실수량(種實收量)은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순(無施用順)이었다.

  • PDF

작부체계 활용 유기재배기술 개발을 위한 녹비작물, 토양투입 조건 및 파종시기에 따른 황기의 입모율과 초기생육 특성 연구 (Studies on Early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ith Different Seeding times, Application Conditions, and Green Manure Crops for Developing Organic Agriculture Relating to Cropping System)

  • 송범헌;이경아;장윤기;김영국;안태진;안영섭;박충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67-673
    • /
    • 2010
  • 황기와 녹비작물의 작부체계를 이용하는 유기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토양투입 방법과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황기의 종자발아 후 입모율과 초기생육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황기의 입모율이 대조구에서 80% 이상을 보여주는 것에 비하여 녹비를 생체로 토양투입 후 곧바로 파종한 처리구에서는 10% 미만의 입모율을 보였고, 헤어리베치 3 ton $10a^{-1}$구에서는 싹이 나온 개체가 거의 없었다. 토양투입 후 5일 파종 시에는 20% 이상의 입모율로 증가했으며, 10일후 에는 4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헤어리베치를 예취 후 말려서 건물로 투입한 경우는 투입 후 즉시 파종한 처리구에서도 40% 이상의 입모율로 생체녹비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호밀 생체녹비 투입 후 즉시 파종 시입모율이 20% 가까이, 5일에는 약 40%, 10일에는 거의 60%로, 15일에는 70% 가량의 입모율을 보였으며, 건물녹비에서는 초기 파종부터 50% 이상의 입모율을 보였고, 파종시기가 늦어지면서 점차 더 증가했다. 생체녹비로 토양투입 후 곧바로 파종 시 투입된 헤어리베치에 의한 황기의 입모감소율은 90% 이상으로 피해가 매우 컸으며, 파종시기가 늦은 5일에는 약 60%로, 10일 이후에는 30% 정도의 입모감소율을 보였다. 호밀 생체녹비에 의한 황기의 입모감소율은 곧바로 파종 시80% 이상으로 피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5일에는 약 40%로, 10일 이후에는 약 10%로 입모감소율이 크게 떨어져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입모율에 대한 피해 가 급격히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비가 말려지지 않고 생체로 투입되므로 발생되는 입모감소율은 두과인 헤어리베치의 경우 토양투입 후 곧바로 파종 시는 90% 정도로 매우 피해가 컸으며, 화본과 호밀도 70%로 그 피해가 적지 않았고, 5일 이후 파종 시는 헤어리베치가 60% 호밀이 30%였으며, 그 이후도 헤어리베치는 약 20% 호밀은 약 10% 이내의 입모감소율을 보였다. 헤어리베치를 토양투입 후 곧바로 파종했을 때 황기의 초기생육은 매우 저조해 파종후 20일에도 초장이 2 cm정도였다. 건물녹비를 투입한 처리구는 대조구보다는 덜 자랐지만 생체녹비구보다는 훨씬 더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비 투입 후 건물로는 5일 생체로는 10일 이후에 파종하면 초기생육 억제를 많이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