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hape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초

고로쇠나무 천연림의 지역별 군집구조, 시과 및 엽 형태 (Studies on the Community Structure, Samara and Leaf Shape of Three Natural Acer pictum subsp. mono Forest)

  • 김갑태;김회진;이재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1
    • /
    • 2014
  •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시과 및 잎의 형질의 변이를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 지역(강원도 양구군, 경상북도 영양군 및 전남 광양시)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열매와 엽형태를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양구 19.8%, 영양 22.0% 및 광양 17.1% 등으로 비교적 낮고, 중층에서도 양구와 광양에서는 고로쇠나무의 상대우점치(IP)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나무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는 양구 1.8%, 영양 1.9%, 광양 0.0% 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천연림의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앞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시과의 각도와 길이는 지역 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양구에 비하여 영양과 광양지역에서 7개의 장상맥을 가진 개체가 보다 많이 분포하였다. 부거치가 발달하는 잎의 비율은 양구 0.6%, 영양 15.8%, 광양 2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가 있음을 암시하며,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폐네오디뮴 자석 침출용액으로부터 Slurry 환원법을 이용한 철 Nano 분말 제조 (Preparation of Iron Nano-particle by Slurry Reduction Method from Leaching Solution of Spent Nd magnet)

  • 안종관;강윤지;유혜빈;윤호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6호
    • /
    • pp.22-29
    • /
    • 2014
  • 네오디뮴 폐자석 침출액으로부터 희유금속인 네오디뮴을 회수하는 연구와 함께 네오디뮴과 같이 침출되는 철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네오디뮴과 같이 침출되는 철의 유용자원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철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FeCl_3$ 용액을 철 분말 원료로, 분산제는 $Na_4P_2O_7$와 Polyvinylpyrrolidone를 이용하였고, 환원제로는 $NaBH_4$, 철 나노분말 핵생성 촉진제 seed로 염화팔라듐을 사용하였다. 제조한 철 나노분말을 XRD, SEM을 이용하여 분말의 형상 및 크기를 분석하였다. Fe와 $NaBH_4$의 몰 비를 1 : 5로 조절하여 철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철 분말은 구형이었으며, 입도는 약 50 ~ 100 nm 였다. 분산제 $Na_4P_2O_7$의 경우 100 mg/L에서 철 이온의 제타포텐셜이 음의 값을 가졌고, $FeCl_3$ 과 PVP와 Pd의 질량비 1 : 4 : 0.001에서 분산이 양호하고, 입도가 100 nm 인 철 나노분말을 합성하였다. 같은 반응 조건에서 폐 Nd 침출액의 Fe 이온을 pH를 조절하여 슬러리화한 후 실험을 진행한 결과, pH 9에서 구형의 철 분말을 합성할 수 있었으며, 20 L 이상의 Scale-up 공정에서는 분산제 없이 환원제로 175 nm 크기의 철 분말을 합성할 수 있었다.

네오디뮴 폐자석 재활용을 위한 화학환원법을 이용한 철 나노 분말 제조 (Synthesis of Iron Nanopowder from FeCl3 Solution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for Recycling of Spent Neodymium Magnet)

  • 하용황;강윤지;최승훈;윤호성;안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87-6195
    • /
    • 2012
  • 네오디뮴 폐자석 침출액으로부터 희유금속인 네오디뮴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과 같이 침출되는 철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네오디뮴과 같이 침출되는 철의 유용자원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철 나노분말 제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FeCl_3$ 용액을 철 분말 원료로, 분산제는 $Na_4O_7P_2$와 Polyvinylpyrrolidone를 이용하였고, 환원제로는 $NaBH_4$, 철 나노분말 핵생성 촉진제 시드(seed)로 염화팔라듐을 사용하였다. 제조한 철 나노분말을 XRD, 전자현미경(SEM) 및 PSA 등을 이용하여 분말의 형상 및 크기 등을 분석하였다. 철과 $NaBH_4$의 농도비가 1 : 5이며, 반응시간이 30분 이상인 경우에서 철 분말이 제조되었으며, 이때 철 분말은 구형이었으며, 입도는 약 50 nm ~ 100 nm 크기였다. 분산제 $Na_4O_7P_2$의 경우 100 mg/L에서 철이온의 제타포텐셜이 음의 값을 가지므로 100 mg/L로 일정하게 하고, PVP와 Pd의 농도를 다양하게 하였을 경우, $FeCl_3$와 PVP와 Pd의 질량비 1 : 4 및 1 : 0.001에서, 분산이 양호하고, 입도 100 nm 크기인 철 나노분말을 합성하였다.

제주도에서 종자산포자로서 직박구리가 섭식하는 열매 현황 (The Status of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Hypsypetes amaurotis) as a Seed Dispersal Agent on Jeju Island)

  • 김은미;강창완;원현규;송국만;오미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69
    • /
    • 2015
  • Plants and birds have symbiotic relationship as the birds eat the fruits and disperse its seeds from the different places. Because Brown-eared Bulbul eats various fruits, We investigated the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seeds. Surveys were conducted at several area throughout Jeju Island at least twice a month from 2013 to 2014. We identified the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through observation, pictures and interviews from the local residents. Results showed that this species consumed fruits from 82 plant species, belonging to 38 plant families. Thirty nine percent(39%) of these plant species belong to the Rosaceae, Lauraceae, Moraceae, Aquifoliaceae and Vitaceae and 33 species were classified as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plant which is 40% of the total plant species consumed. Two feeding types, which were gulper type and pecking type were observed for the Brown-eared Bulbul. It was also observed that this species preferred eating fruits of gulping type compared to that of pecking type. The average size of the fruits consumed through gulping was $8.92{\pm}3.41mm$ while it was $45.25{\pm}26.67mm$ for the pecker type. This bird species also consumed more fruits with globular shape compared to those of fruits with ellipse shape. For the fruit color, red and black-colored fruits were more preferred than yellow-colored fruits by Brown-eared Bulbul. Eaten frequency varied from 0.04 to 0.58 and the 10 fruits species were eaten frequently by Brown-eared Bulbul. This study would provide information for the role of Brown-eared Bulbul in the ecosystem as a seed dispersal agent.

Development of a Vegetable Transplanting Robot

  • Kang, Dong-Hyeon;Kim, Dong-Eok;Lee, Gong-In;Kim, You-Ho;Lee, Hye-Jin;Min, Young-B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3호
    • /
    • pp.201-20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vegetable transplanting robot which transplants seedlings from a nursery tray to a plant pot using its four fingers. Method: The robot consists of the transplanting part, nursery tray moving part, plant pot moving part, main frame and controller. Two moving parts are controlled by the photo sensor and servo motor. The transplanting part was composed with two components; transporting device using E-MY2H(SMC Corp., Japan) for controlling finger position accurately and finger for transplanting the seedling. Results: Head lettuce using the transplanting robot was transplanted in 21 days after sowing based upon the seed shape measurement and removing examination. The optimal finger shape was thin pin type because it caused minimum damage to the roots of seedlings. Conclusions: The four inclined pin type was applied to remove the seedlings from the nursery tray. In addition, the transplanting capacity of the developed robot was 2800 pots per hour and the rate of success was 99% and above.

지리산바위솔과 제주연화바위솔 종자의 형태특성 및 저온과 GA에 대한 발아 반응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and GA in Orostachys 'Jirisan' and 'Jejuyeonhwa' Seeds, Korea Native Plant)

  • 강정희;정경진;최경옥;천영신;윤재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13-920
    • /
    • 2010
  •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하나인 지리산바위솔($O.$ $japonicus$ A. Berger)과 제주연화바위솔[$O.$ $iwarenge$ (Mak.) Hara]의 종자 형태를 관찰하고 종자발아생리를 구명하기 위해 저온과 GA를 처리하였다. 종자의 형태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2가지 바위솔 모두 세로로 주름진 쌀알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길이 0.77-1.00mm, 폭 0.25-0.37mm로 미세 종자임이 확인되었다. 휴면유무와 발아최적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Petri-dish에 파종후 온도가 다른 파종상에서 발아 시켰을 때, 지리산바위솔은 모든 온도에서 20% 이하의 발아율을 보였고, 제주연화바위솔은 $10^{\circ}C$에서만 80% 정도의 발아율을 보였다. $4^{\circ}C$ 냉장고에 건식저장을 하면서 10일 간격으로 온도별로 파종한 결과, 지리산바위솔은 무처리에서는 발아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10일간 저온처리 후 $10^{\circ}C$ 파종상에 두었을 때 발아율 44%로 많이 향상되었으나, 그 이상의 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다시 감소하였다. 제주연화바위솔의 경우 저온 처리 30일까지는 발아율이 크게 향상되어 $10^{\circ}C$에서 95% 발아율을 보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저온처리(40일)에서는 발아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GA_3$ 농도를 $50-400mg{\cdot}L^{-1}$으로 하고, 침지시간은 3-24시간 범위로 하였을 때, 두가지 바위솔 모두 발아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지고 발아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지리산바위솔은 모든 침지 시간에서 80-100% 발아율을 보였다. 제주연화바위솔도 $GA_3$ 농도와 시간에 상관 없이 파종 후 6일만에 90-10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늘어진장대(Arabis pendula L.) 종자의 형태적 특성 및 발아조건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Conditions of Seeds in Arabis pendula L.)

  • 신소림;임윤경;권혁준;김유리;김수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0-57
    • /
    • 2017
  • 본 연구는 식의약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은 늘어진장대(Arabis pendula L.)의 대량증식을 위한 기초연구로 종자의 형태적 특성과 발아특성을 규명하고, 최적 발아조건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늘어진장대 종자는 종피에 날개가 있는 원형으로 색은 진갈색이며, 너비 1.47 mm, 길이 1.25 mm이고, 배는 굴곡형이며 무배유종자이다. 온도와 광조건 실험에서, 종자 발아는 $20^{\circ}C$, 암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49.7%). 그러나 암조건에서는 유묘가 약하고 웃자랐으며, 자엽이 작고 말려있는 특징을 보였다. 종자 발아와 유묘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종자를 다양한 농도의 $GA_3$ 희석액(0, 200, 500, 1,000 mg/L)에 침지하여 전처리 한 후 파종하였다. 연구 결과, $GA_3$ 희석액 500 mg/L처리구에서 종자 발아율이 가장 높고(97.3%), 발아 소요기간이 짧았으며(8.1일), 유묘의 생육 또한 왕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늘어진장대 종자의 최적 발아조건은 $GA_3$ 500 mg/L희석액에 침지처리($4^{\circ}C$, dark, 24시간)하여 $20^{\circ}C$에 파종하여 15일 동안 발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실 사육에 의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Grube)의 저질 선택성과 굴의 형태 (Sediment Preference and Burrow Shape of the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according to the Laboratory Culture)

  • 강경호;이재학;유성규;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4-639
    • /
    • 1997
  • 한국산 갯지렁이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청충의 양식기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청충의 서식생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충은 입경이 0.10mm 이하인 저질에서 가장 좋은 일간 성장률과 생존율을 보였다. 2. 유리 수조 실험 결과, 청충이 저질 속에 잠입하여 만든 굴의 형태는 J형, L형, O형, S형, Y형 및 I형 등이 었고, 한 개의 굴에 한 개체가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배설시 청충의 체위는 굴 속에서 두부와 미부를서로 반전하여 항문을 굴밖의 저질 표면에 노출 시킨채로 배설하였다. 3. 청충이 저질속에 잠입하는 깊이는 10cm 전후의 저질이며, 먹이를 먹기 위해서는 굴 밖으로 몸체를 완전히 이탈하여 이동하였다.

  • PDF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Accessions)

  • 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8
    • /
    • 2000
  •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 PDF

외부 및 미세형태 비교를 통한 견우자(牽牛子) 기원종 및 동속이종(同屬異種) 감별 (An External and Micromorphological Identification for Pharbitidis Semen and its Congeneric Species)

  • 송준호;양선규;최고야;문병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3-51
    • /
    • 2018
  • Objectives : Pharbitidis Semen, the seeds of Ipomoea nil (L.) Roth or I. purpurea (L.) Roth, is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Korea. But it is often marketed as a different seed or mixtures of its closely related species.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external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dentification key by using stereoscope (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r discriminating authentic of Pharbitidis Semen. Methods : A discrimination 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pals, fruits, seeds, and hilum, testa cell micromorphology in the original plants and its congeneric species was carried out using digital calipers, ST, and SEM. Results : Number of valves (degree of apex of each valve), number of seeds per locule, hairy in capsules and size, luster, density of hairy, hilum shape in seeds and shape of cell, anticlinal, periclinal wall in testa may have high discriminative value. The seeds of Ipomoea nil as an original plant of Pharbitidis Semen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by the relative larger in size, ovoid-trigonous in shape, mostly flabellate or triangular to trapezoid in outline (c.s.), dull, and puberulent in surface and thicken anticlinal wall. Conclusions :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 identification key of Pharbitidis Semen and closely related species is provided.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other studied results could be helpful in the successfully identified authentic herbal medicines. Moreover,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using SEM could be useful for discriminating authentic medic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