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germination

검색결과 1,550건 처리시간 0.022초

온도 , 광 및 Gibberellic Acid 처리가 참꽃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gibberellic acid on seed germination of Rhododendron weyrichii Max.)

  • 황환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6
    • /
    • 1995
  • 조경용(造景用) 및 분재용(栽用) 화목(花木)으로 개발가치가 매우 높은 참꽃나무의 종자발아특성(種子發芽特性)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온조건(恒溫條件)에서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0^{\circ}C$이었고 $2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발아가 심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15^{\circ}C$에서는 초기발아노(初期發芽努)는 저조하였지만 최종발아율은 $20^{\circ}C$에서와 거의 비슷하였다. 2. 야간온도(夜間溫度)를 $15^{\circ}C$로 고정한 변온처리(變溫處理)를 통하여 $25^{\circ}C$$30^{\circ}C$의 고온처리구(高溫處理區)에서 항온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현저하게 높아겼다. 3. 황색(黃色) 및 적색광(赤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있게 발아율이 증가하였고, 녹색광(綠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암처리구(暗處理區)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참꽃나무 종자는 절대적(絶對的) 광발아성(光發芽性) 종자(種子)임이 확인되었다. 4. 암조건(暗條件)에서도 $50{\sim}100ppm$ 농도(濃度)의 GA처리에 의하여 발아(發芽)가 가능하여 GA의 광대체효과(光對替效果)가 확인되었다.

  • PDF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ed longevity from a cross between japonica and weed rice

  • Kang, JuWon;Lee, JiYoon;Son, YoungBo;Park, DongSoo;Song, YouChun;Oh, MyungKyu;Cho, JunHye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5-185
    • /
    • 2017
  • In previously study, we evaluated seed germination for longevity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lmi' and 'Dharial', a weed rice collected in Bangladesh. The strong germination trait originated from 'Dharial' was incorporated into 'Ilmi', through backcross method. The germination ratio was evaluated after two years of room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A high germination ratio of 80.5% in donor plant of 'Dharial' and 77.3% in an introgression lines was observed based on the two years of storage while the recurrent japonica cultivars, 'Ilmi' was failed in germin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lmi' and introgression lines (ILs) stored at room temperature. We analyzed germination rate, texture of cooked rice, toyo glossiness value, pasting properties, amylose content, protein content and ${\alpha}-amylase$ content of 'Ilmi' and 5 introgressions every 4 months on the room temperature condition. Seed germinations were decreased by storage periods. Three ILs germination rate was slowly decreased more than 'Ilmi' and 2 another ILs after 4 months. Toyo glossiness value of 'Ilmi' and three ILs were no difference, but, 2 ILs gradually decreased every 4 months at storage periods. Pasting properties were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s and periods of 'Ilmi' and ILs. The increase at breakdown was observed but setback was decreased by storage periods. Amylose content and protein content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storage periods, respectively. The ${\alpha}-amylase$ content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introgression line could be useful to increase longevity and maintain quality during storage of japonica rice seed.

  • PDF

온도 및 염화나트륨이 측백나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odium Chloride on Seed Germination of Thuja orientalis)

  • 탁우식;김태수;최충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7-104
    • /
    • 2006
  • 온도 및 NaCl 등의 외부 환경인자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측백나무 종자의 발아특성을 조사하고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 및 적정 환경조건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5, 20, 25, $30^{\circ}C$의 온도조건에서 NaCl 용액을 0, 500, 1,000, 2,000, 4,000ppm의 5수준으로 분주하여 종자발아특성 및 상대수분흡수율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의 경우 $15^{\circ}C$ 온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Cl에 의한 감소의 폭도 가장 작았다. 반면, $30^{\circ}C$에서는 모두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휴면율과 고사율은 대부분 고온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특히, 휴면율은 $30^{\circ}C$에서 그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고사율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온도 및 NaCl의 농도에 대한 상호연관성을 알아보고자 two-way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요인 및 요인간 상호작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1). 평균발아일수는 온도 및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발아가 지연되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30^{\circ}C$에서는 NaCl의 독성에 의해 고사종자가 발생하여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아속도와 발아균일지수는 온도 및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상대수분흡수율은 $1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발아율, 발아속도 및 발아 균일지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고온과 염류는 측백나무 종자의 발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발아율,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의 감소를 줄이기 위해 노지 파종시 이들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종자세지수를 이용한 보리 포장출아률과 수량예측 (The Use of Multiple Seed Vigor Indices to Predict Field Emergence and Grain Yield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Kim, Seok-Hyeon;Bin, Yeong-H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4-141
    • /
    • 1989
  • 보리종실의 샐리적 특성을 포장출아력과 비교함으로써 포장유묘출아율과 수량의 예측에 적합한 검정방법을 구명하고자 맥주보리 2품종과 쌀보리 2품종을 인위노화처리시켜 고온발아검정(warm germination test), 저온발아검정(cold germination test), Tetrazolium 유모세검정(TZ vigor test), 전기전도도검정(electroconductivity test)의 결과를 포장출아율 및 수량과 비교 검토 하였다. 고온발아검정과 저온발아검정이 포장출아율 예측에 효과적인 검정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맥주보리에서는 Y(포장출아율)=-2.962+0.229X$_1$ (% warm germination) -0.001X$_2$ (vigor, WGT) +0.354X$_3$ (vigor, CT) -0.558X$_4$ (% cold germination)으로 나타났다. 다중화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맥주보리의 경우 고온발아검정에서의 발아율만으로 포장출아율을 64%예측할 수 있었다. 고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율은 각각 4, 7, 9%씩 결정계수를 높혔다. 네가지 검정치의 누가적 예측효율은 맥주보리에서 84%, 쌀보리 54%였다. 수량에서는 포장출아율에서 보다 맥주보리, 쌀보리 공히 예측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 PDF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Bulb Dormancy in Korean- Native Allium victorialis L.)

  • 강치훈;홍정기;최병곤;방순배;박영학;한종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9-226
    • /
    • 2000
  • 본실험은 울릉도와 오대산 산마늘 자생종의 종자의 특성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종자의 발아 양상과 가온개시기에 따른 종구의 휴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특성에 있어 모양, 색, 탈립성은 2개 자생종이 비슷하였으나 그 외의 형질에서는 달랐다. 천립중는 울릉도 자생종이 14.8g 으로 오대산 자생종에 비해 2.1배였다. 울릉도 자생종은 채종 즉시 파종한 처리에서만 발아하였으며 화학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또한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86%, 평균발아일수 42일, 발아계수 2.05이었으며, 저온유수 및 저온습윤혼용처리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오대산 자생종은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70%,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0이었는데, 저온습윤 처리에서는 명장태에서 발아율 82%,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75로 광에 대한 반응이 달라졌다. 오대산 자생종 종구는 초상후 45일 이후가 되어야 휴면이 타파되어 가온개시시기로써 적합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숙주식물을 활용한 멸종위기야생식물II급 한라송이풀 종자의 형태 및 발아특성 (Form and Embryonic Characteristics of Pedicularis hallaisanensis Seeds As Endangered Wild Species II-Class Using Host Plants)

  • 김임규;박은희;강근혜;황부영;정현진;김민영;박정근;박삼봉;김봉규;추갑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290-295
    • /
    • 2019
  • 본 연구는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한라송이풀(Pedicularis hallaisanensis)을 대상으로 종자를 통한 번식체계 확립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한라송이풀의 종자 형태는 난형이고, 종피는 진갈색을 띠고 있다. 종자의 단면을 잘라 확인한 배는 왜소형(Dwarf type)이었다. 종자의 길이는 평균(${\pm}$표준편차) $0.47{\pm}0.07mm$이고, 너비는 $0.16{\pm}0.006mm$, 두께는 $0.12{\pm}0.01mm$로 나타났다. 종자 1립의 무게는 $0.0003{\pm}0.0001mg$이며, 천립중은 $4.59{\pm}0.02mg$으로 나타났다. Tetrazolium (TZ) 검정에 의한 한라송이풀 종자의 활력도는 75.33%로 나타났다. 한라송이풀을 4주간 $4^{\circ}C$에 저장한 후의 발아율은 71%로 가장 높았고, 6주간 처리 64%, 8주간 처리 60%로 나타나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라송이풀 종자에 영향을 미치는 숙주식물의 영향은 쑥에서 파종 후 53.5일에, 구절초는 62.5일에 최초로 발아를 하였다. 두 숙주식물에서 164일 이후에는 발아한 종자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쑥을 사용한 경우, 한라송이풀의 발아율은 평균 45.5%, 구절초는 19.5%로 나타났다. 평균 발아일수는 쑥에서 70.2일, 구절초에서는 46.8일로 나타났다.

Effect of osmotic potential on germination of tomato seed

  • Kim, Min Geun;Park, Sunyeob;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4-214
    • /
    • 2017
  • Seeds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have demanded high quality because of their high cost of seed. The optimization of the seed priming techniques that have positive effect on fast and uniform germination becomes important at the commercial level. Several factors such as solution composition, osmotic potential, and treatment duration affect seed priming response. In this study, osmotic potentials of priming solution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rimed seed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effects different inorganic salt types and the duration. Tomato seeds were primed in osmotic solutions that were osmotic potential ranged -1.54 to -0.45 MPa in an aerated solution of PEG 8000 (17%, 22%, 27%), and inorganic salt solution of $KNO_3$, $Na_2SO_4$, and $K_2SO_4$ (100, 200, 300mM). The seeds were treated at $20^{\circ}C$ for 2, 4, and 6 days. After each treatment, the seeds were dried to moisture content ranged 5-8% at $25^{\circ}C$. Four replications of 25 seeds per each treatments were placed in 10-cm petri dishes containing two filter papers and 3 ml of $dH_2O$ and incubated at $20^{\circ}C/30^{\circ}C$ and $15^{\circ}C$ and seedlings evaluated for abnormality after 14 days of incubation. Seed water potential (${\psi}$) was correlated with water potential of priming solution ($r^2=0.86$). Seeds primed in 100mM $KNO_3$ result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GR, $63.9 %{\cdot}day^{-1}$) and lowest mean germination time (MGT, 2.0 days) comparing to untreated control ($23.9%{\cdot}day^{-1}$ of germination rate and 4.1 days of MGT) at $20/30^{\circ}C$, even though 96% of germination percentage were not different. Seeds primed in 100mM $KNO_3$ (${\psi}=-0.45MPa$) for 4 days showed ${\psi}=-0.38MPa$. Priming in $Na_2SO_4$, $K_2SO_4$, and PEG solution for 6 days improved MGT and GR, but not significantly than 4 days of treatment. Additionally, stepwise osmotic solution treatment with 100mM and 300mM concentration for 6 day did not showed differences with single treatment. In relation to osmotic potentials, identical osmotic potential in different inorganic salt solution showed different effect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 PDF

벼 종자의 Polymer 피복처리가 종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mer Coating on Seed Vigour in Rice)

  • 이성춘;정춘화;김진희;송동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4-285
    • /
    • 1996
  • Po1ymer를 피복한 벼 종자의 종자세 향상과 환경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0종의 Polymer를 피복하여 수분흡수력, 호흡량, 발아력 및 포장 출아율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피복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포화습도에서 klucel이 가장 높았고 PVP가 가장 낮았으며, 물에 침청할 때는 klucel이 가장 높았고 maltrin이 가장 낮았다. 2. Polymer 피복 종자의 호흡량은 화영벼 와 일품벼 에서 polymer 피복 종자가 낮았으나, 대청벼와 진미벼는 오히려 높았는데 그 정도는 sepiret 피복 종자가 PVP 피복 종자보다 높았다. 3. Polymer피복 과정 중 기계에 의한 종자피해 정도는 발아율이 1% 내외로 저하되어 극히 미미 하였다. 4. 종자세가 양호한 종자에서는 polymer 피복에의한 발아율의 향상은 없었으나 대부분이 9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고 waterlock, surelease 45 및 sepiret등이 특정 품종에서 발아율이 극히 저조하였다. 5. 발아세는 sepiret 피복으로 향상되었고, PVP 피복으로는 약간 저하하였다. 6. Polymer피복 후 노후화 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대부분의 polymer에서 피복 종자가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sepiret과klucel피복한 종자의 발아율은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7. 저온 발아성은 daran 8600, maltrin, sacrust 및 opadry 등에서는 향상되었고 나머지 polymer는 저해하였는데, 특히 PVP의 발아율이 가장 낮았다. 8. 초장은 대부분의 polymer 피복 종자에서 컸으나 watelock, PVP, maltrin등의 Polymer에서는 작았다. 저온 발아시 초장은 polymer피복으로 오히려 단축되었다. 9. 포장 출아율은 피복 종자가 훨씬 높았으며 출아 소요시간도 훨씬 단축되었다. 포장수분함량 90 %에서 출아율이 가장 양호하였고 출아 소시간도 단축되었으며, 95년 종자가 94년 종자보다도 출아률이 높았고 출아시간도 단축되었다. PVP가 sepiret보다 더 양호한 출아율을 나타냈다.

  • PDF

Effects of Faecal Sludge and Food Waste Composts on Seed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Performance of Acacia auriculiformis (A. Cunn. ex Benth.) and Swietenia mahagoni (L.) Jacq.

  • Rahman, Md. Rayhanur;Hosen, Nowshad Md. Sohrab;Huda, S.M. Shamsul;Faraj, Turki K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81-289
    • /
    • 2020
  • The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compost of faecal sludge (FSC) and food waste (FWC) on seed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performance of Acacia auriculiformis and Swietenia mahagoni seedlings at the nursery of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Before sowing the seeds, different combinations of FSC and FWC were incorporated with nutrient-deficient natural forest soils. Seed germination and growth parameters of seedlings were recorded after two, three and four month of seed sowing. We observed that seed germination (%) and seedlings growth parameters varied significantly (p<0.05) in the soil added with FSC and FWC in comparison to control. The highest germination was observed 88.89% for A. auriculiformis in combination of soil and FSC at 3:1 and 92.59% for S. mahagoni where soil combined with FWC at 4:1. The seedling biomass and other growth parameters of A. auriculiformis and S. mahagoni was also observed with combinations of soil with FSC 3:1 and soil with FWC 4:1. Theref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mpost of both FS and FW can be a good soil conditioner for the initial growth of forest seedlings and the proven combinations can help to grow quality seedlings in the nursery.

섬쑥부쟁이 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조건 및 Priming 처리의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Light Condition, and Priming Treatement On the Germination of Aster glehhi FR. Seed)

  • 최금순;박권우;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2-138
    • /
    • 2003
  • 섬쑥부쟁이의 대량번식 체계를 구명하고 발아 및 입 묘율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온도와 광조건, 그리고 priming 처리약제, 처리농도, 처리기간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20, 25$^{\circ}C$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30$^{\circ}C$에서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졌고 35$^{\circ}C$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발아개시일은 15$^{\circ}C$에서 가장 늦어졌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쉽게 부패하였다. 발아세는 2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20, 30$^{\circ}C$ 순으로 낮이졌다. 굉조건 실험에서 발아율, 발아개시일, 발아세, $T_{50}$ 등이 명 처리에서 증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 Priming 처리기간별로 발아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3 시간 처리가 30 분처리보다 높았다. 섬쑥부쟁이 종자에 0.3M $KNO_3+K_3PO_4$를 3시간 처리할 경우 발아율이 83.3%로 가장 높았고 역시 $T_{50}$도 가장 짧았다. $T_{50}$과 발아개시일은 30분 처리가 3시간 처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priming 처리가 대조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발아세는 모든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처리시간에 따른 효과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