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germination

검색결과 1,550건 처리시간 0.026초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Growth Patterns of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 Ghimeray, Amal Kumar;Wu, Jin-Cheng;Sharma, Pankaja;Park, Chol-Ho;Cho, Dong-H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28-534
    • /
    • 2009
  • The study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Neem under different soil and environment conditions was undertaken. The seed germination started 8 days after sowing in commercial bed soil, whereas, delayed germination was observed in sandy-loam (15 days) and sandy (19 days) soil. The highest germination (73.33%) was observed in commercial bed soil in green house, whereas, the lowest germination was observed in sandy soil (16.67%) and sandy-loam soil (8.33%). The seeds in the open field (sandy soil) also showed poor (10%) germination. The mean number of germination seed/day (GD) and seed germination vigor rate (GV) both were highest in the commercial bed soil with 0.733% and 16.67% respectively in the green house, whereas sandy and sandy-loam soil in green house and open field (sandy soil) all showed much lower GD and GV values. The seedling characteristics of nursery revealed that the seedling grown in the growth chamber in commercial bed soi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parameters comparing to others grown in green house and open field. The growth was nearly 7 fold in the chamber compared to that of the green house nursery observed in three months old seedlings. Likewis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een house grown seedling contain higher quantity of pigments compare to the chamber grown seedlings. Among the soils used the commercial soi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andy and sandy-loam soil in the ratio of 2:1:1 respectively with the temperature of $27{\pm}2^{\circ}C$ showed better for Neem nursery preparation.

씨앗발아 및 발아지수에 근거한 나노입자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Nanopariticles Based on Seed Germination and Germination Index)

  • 구본우;공인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6-401
    • /
    • 2014
  • 나노물질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ctuca(상추)와 Raphanus(알타리무) 씨앗의 발아와 발아지수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CuO, NiO, $Fe_2O_3$, $Co_3O_4$, $TiO_2$, ZnO)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액상 노출에서 CuO가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발아와 발아지수의 $EC_{50}$는 각 0.46 mg/L와 0.37%로 조사되었다. 씨앗 이용 식물독성 측정에서 상추가 알타리무보다 나노입자 노출에 대해 더욱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의 씨앗발아와 발아지수에 근거한 영향은 다음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CuO > ZnO >NiO > $TiO_2$, $Fe_2O_3$, $Co_3O_4$. 특히 $TiO_2$, $Fe_2O_3$$Co_3O_4$는 최대 노출 농도 1,000 mg/L 농도에서도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볍씨 최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초기생육변화 분석 (Ric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Seed Germination Length and Damage)

  • 최명구;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황운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183-189
    • /
    • 2021
  • 볍씨 종자의 최아정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출현율 및 초기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볍씨 최아 길이가 길수록 출현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18℃ 이상으로 높을수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최아 길이가 길수록 초장신장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21℃ 이상으로 높을 시 최아길이 3 mm에서 초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3. 최아길이에 따른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길이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최아 손상정도가 증가할수록 출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은 증가하으며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 손상도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아 길이 및 종자 손상정도별 뿌리 건물중과 줄기 건물 중 변화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Effects of the Loess Coat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 Park, Jung-Im;Lee, Kun-Seop
    • ALGAE
    • /
    • 제22권2호
    • /
    • pp.141-146
    • /
    • 2007
  • Seagrass be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providing food and habitats to a wide variety of marine organisms. Recently, seagrass coverage has declined significantly due to anthropogenic impacts such as cultural eutrophication and reclamation, and thus efforts are under way to prevent further losses and restore disturbed seagrass habitats worldwide. Seagrass transplantation techniques for habitat restoration include vegetative and seed-based methods. Seagrass seeds can be collected easily, and sowing seeds is an economically effective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However, large numbers of seed can be lost by seed predation and physical disturbance in the planting areas. In the present study, Zostera marina seeds were coated with loess to reduce seed loss by predation and sweeping away by the water currents, and germination rates of coated seeds and seedling growth were examin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seed-coating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Germination rate of the coated seeds with lo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coated seeds. Additionally, seedling growt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ated and the uncoated s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ating of eelgrass seeds with loess enhances success of seed germintion with no harmful effects on seedling growth. Therefore, the seed coating method using loess may be an effective and applicable seedbased transplanting technique for large-scale restoration.

자생 초본류 몇 종의 종자특성과 발아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ercent of Several Native Herb Specie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04
  • 곰취를 비롯한 15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특성인 종자수득율, 천립중, 종자길이와 폭을 측정하였으며, 6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를 가을파종으로 임간 발아시험을 하였다. 참취를 비롯한 13종의 자생 초본류 종자가 7mm미만 의 길이와 3mm미만의 폭을 지닌 세립종자들이었다. 곰취를 비롯한 10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수득율이 5%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참나물을 비롯한 5종의 자생초본 발아율은 생육지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평균 발아율은 참당귀가 47.00%로 가장 높았고, 곰취가 38.25%, 참나물이 30.88% 독활이 15.75%, 고려엉겅퀴가 10.00% 였고, 참취가 9.32%로 가장 낮았다.

Evaluation of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Overwintering Ability in Glufosinate Ammonium-Resistant GM Rice and Their Hybrids with Non-GM and Weedy Rice

  • Lee, Seung-Yeob;Kim, Min-Soo;Kim, Hyo-Jin;Han, Se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3-5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overwintering ability of rice plant in GM (glufosinate ammonium-resistant lines. Iksan 483 and Milyang 204) and non-GM (their parents) or red rice (Andongaengmi). Seed-setting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M and non-GM rice varieties. Iksan 483 and Milyang 204 showed the similar level of seed germination rate from 30 to 50 days after heading as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After overwintering in paddy field, seed germination rate of GM and non-GM rice varieties ranged from 14.3 % to 57.6 % in dry soil condition, but there was no germination in wet-soil except red rice. The result in wet-soil condition may help to set u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risk of gene flow of transgene via dispersal of seeds of GM plants.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seed overwintering of Iksan 483 and Milyang 204, herbicide resistant GM rice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The results might be helpful to reduce the risk of transgene dispersal from GM crop via seeds and pollens.

현지외 보존을 위한 죽절초 종자의 건조 내성과 저장성 평가 (Desiccation Tolerance and Storage Behavior of Sarcandra glabra Seeds for Use in ex-situ Conservation)

  • 구다은;한심희;임은영;김진;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4호
    • /
    • pp.442-450
    • /
    • 2023
  • 본 연구는 죽절초의 현지외 보존 전략 수립을 위해 종자의 건조 내성과 저장성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죽절초 종자의 기본적인 발아 특성을 조사하고, 종자 함수율을 수준별로 조절하여 발아 특성 및 종자 침출수를 분석하였으며, 저장성 평가를 위해 저장 기간별 발아 특성을 조사하였다. 죽절초 종자의 탈종 직후 함수율은 32.8%였으며, 채취 직후의 종자는 함수율 4.8% 수준에서도 발아율 81.0%로 종자 활력과 종자세를 유지하였으나, 함수율 2.3%, 2.2%에서는 발아율이 각각 55.0%, 30.0%로 감소하였다. 반면, 저장된 종자는 함수율 18.6%에서 발아율이 93.3%로 높은 활력과 종자세를 유지하였으나, 함수율 5% 미만에서는 발아율이 20%이하로 활력과 종자세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건조한 종자의 침출수를 분석한 결과, 건조에 의해 발아 활력이 저하된 종자는 침출수의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고, 침출수 내 K, Ca와 같은 무기질의 농도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죽절초 종자는 난저장성 종자와 중간저장성 종자 사이의 건조 내성을 가지나, 노화 정도에 따라 건조 내성에 차이가 있고, 저장 수명이 짧은 단명종자로 판단된다.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환경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Astilbe koreana (Kom.) Nakai)

  • 장보국;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5-240
    • /
    • 2016
  • 본 연구는 절화, 관상 및 의약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은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크기가 0.62×2.22 ㎜이며, 1,000립중은 40.5 ㎎으로 조사되었다. 종자의 기간별 수분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2.57%였던 수분함량이 침지처리 24시간 만에 29.8%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의 팽창이 관찰되었다.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는 저온요구성 광발아성으로 15℃, 명조건에서 최종발아율(40.8%)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은 낮아졌다. 암조건에서는 어느 온도조건에서도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종자에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처리한 결과, KNO3는 농도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발아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KNO3 20 mM 처리구에서 최종발아율(77.8%)과 발아세(96.1%)가 향상되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11.3일)와 T50 (6.5일)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Priming 처리가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orbus alnifolia)

  • 서병수;최충호;박우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2
    • /
    • 2009
  • 종자 priming은 발아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빠르고 균일하게 하는 유용한 종자처리기술로서 조경적 가치가 뛰어난 팥배나무 종자의 번식 효율성을 위해 다양한 발아촉진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Priming 처리를 위해 NaCl, $CaCl_2$, $KNO_3$, PEG(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라 각각 2일과 3일간 처리하였으며, 실험종료 후 발아특성 및 유묘생장특성을 분석하였다. 발아율은 $KNO_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발아일수는 $KNO_3$ 200 mM 2일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속도와 발아균일지수 역시 $KNO_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발아특성 증진에는 $KNO_3$가 적정한 처리제임을 짐작하였다. Priming 처리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들을 대상으로 상대생장율과 유묘활력지수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5), 상대생장율(수고 및 근원경)의 경우 NaCl 4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묘활력지수는 발아율에서 가장 높았던 $KNO_3$ 100 mM 2일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riming 처리를 위한 염류(NaCl, $CaCl_2$, $KNO_3$, PEG) 중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적정 처리제는 $KNO_3$로 판단되었으며, 적정처리조건은 100 mM 2일처리였다.

생열귀나무 종자 발아에 있어서 개갑처리, 지배렐린, 발아온도의 효과 (Effect of split achene pericarp, Giberellin, and germination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Rosa davurica Pall)

  • 이화영;허권;조동하;임정대;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5-201
    • /
    • 2000
  •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개갑처리와 GA$_3$의 처리에 따른 발아율 향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과실의 길이는 13cm, 폭은 0.9cm 였으며, 과실내의 종자수는 89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4.9mm, 폭은 2.87mm였으며 천립중은 7.76g이었다. 자연매장 보다는 15$^{\circ}C$ incubator에서 층적저장한 것이 개갑율 10.5%로 높았고 또한 4$^{\circ}C$ 저온저장후 개갑율도 46.6%로 가장 양호하였다. 2.개갑된 종자의 발아율이 비개갑된 종자에서는 보다 우세하였으며 최적 발아온도는 15$^{\circ}C$임을 알수 있었다. 개갑된 종자에서의 GA3의 효과는 농도처리에 따라 커다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갑된 종자와 비개갑된 종자 모두 200ppm 이상으로 처리하면 오히려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GA$_3$의 처리의 효과가 발아적온이나 개갑종류에 따라 뚜렷하지 않은 반면 비성숙된 종자의 상태(비개갑종자)와 발아 불량조건(4$^{\circ}C$, 비개갑종자)에서는 뚜렷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