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ation densit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Sedimentation in the lake catchments in South Korea

  • Orkhonselenge, A.;matsuoka, T.;Tanaka, Y.;Kashiwaya, K.;Kim, S.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2005
  • This study discusses the soil erosion on hillslopes and sediment deposition in lakes within catchmen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s of sedimentation in Yeongcheon and Seondong lakes, the sediment traps were set in the deep part of both lakes and lake sediments have been sampledmonthly from July 2004 to August 2005. Some properties such as highmineral content, fine particle size and high particle density in the Yeongcheon Lake indicate intensive soil erosion, sediment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throughout the catchment for a long time. The high sediment yield in the Seondong Lake is related with higher weathering intensity and extreme soil erosion by running water due to higher seasonal rainfall amount. Rates of erosion and sedimentation in the Seondong Lake are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Yeongcheon Lake, suggesting that the Seondong Lake is associated with higher precipitation, smaller catchment area, and extreme soil vulnerability to ephemeral erosion by overland flow during the heavy rainfall event. Consequently, both catchments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erosion and sedimentation processes, as well as different geomorphic factors (bedrock, soil structure, rainfall intensity and catchment area).

  • PDF

침전지내 흐름 및 플럭의 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Movement of Floc in the Sedimintation Basin)

  • 최계운;김정현;이면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77-1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침전지내에서의 흐름 및 플럭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흐름 이동특성 실험을 위하여는 Tc-99m 동위원소를, 플럭이동 특성실험을 위하여는 벤토나이트에 Tc-99m 동위원소를 흡착시킨 재료가 사용되었다. 흐름 이동특성 실험결과 침전지내 위치에 따라 유속이 상이하고 깊이에 따라서도 유속이 상이한 흐름임이 밝혀졌다. 또한, 침전지 유입 유량이 변화할 때 플럭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며, 유량이 증가할수록 침전위치가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며 침전제거효율이 감소한다. 침전지 내 깊이에 따라 플럭의 이동속도나 밀도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 PDF

천연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Removal of Algae by Natural Coagulants of Soil Origin)

  • 김석구;김동관;강성원;안재환;김일호;윤상린;이상협;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883-888
    • /
    • 2013
  • 조류 발생이 문제시 되는 정체수역이나 호소에서 현장적용에 적합한 응집제를 선정하고 응집제별 적정 주입농도를 찾기 위하여 황토와 개량된 토양기반 무기응집제 세 가지(AC-A, AC-B, AC-C)를 주입하며 응집 침전실험을 실시하였다. 남조류가 주종이고 조류밀도가 2,950 cells/mL인 원수에 대한 황토(50 mg/L 주입)에 의한 조류밀도 제거율은 10분 침전후 49%, 30분 침전후 85%로 나타났고, 다른 세 가지 무기응집제(20 mg/L 주입)의 경우 10분 침전 후 80-90% 제거율, 30분 침전 후에는 89-94%의 조류 제거율을 나타냈다. 조류 제거와 탁도, pH 등의 수질인자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고려된 천연 무기응집제 중 AC-A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수의 조류밀도가 높을수록 같은 제거효율을 얻기 위한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선형적인 상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황토를 비롯한 천연 무기응집제는 원수의 유기물 제거 및 pH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산염의 경우 주입량을 늘임에 따라 제거율이 높아져 최대 70%까지 제거되었다.

Design and Performance of a Laboratory Scal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Culture Part 2. Performance of the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 Lei Peng;Oh, Sung-Yong;Jo, Jae-Yo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26-126
    • /
    • 2003
  • Performance of a laboratory scal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was evaluated. Twenty-kg Korean rockfish (130 fish)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53.8 g was stocked. Over 107-day culture period, fish reached final density of 51.7 kg/m$^3$ (initial density, 33.3 kg/m$^3$) on the culture tank volume basis. On a daily basis, water addition was 3.4% of the total water volume in the system. Total ammonia nitrogen (TAN)concentrations were below 1 mg/L and nitrite nitrogen (NO$_2$-N) concentrations were within the range of 1-3 mg/L on most sampling days. TAN was removedin bead and sand filters and it was removed or produced in the sedimentation basin. Basically, NO$_2$-N was removed in the bead and sand filters while it was either removed or produced in the sedimentation basin. Nitrate nitrogen (NO$_3$-N) was produced in the bead filters and removed in the sand filter and sedimentation basin. Foam fractionator performed well in the recirculating system. The maximal daily removal values for total suspended solids (TSS) and protein were 10,9 g and 1.4 g, respectively. Whole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within the levels commonly recommendedfor fish culture on most of the sampling day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commercial feasibility of this system because of the small-scale system used in present experiment. At least, present study still provides some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of this kind of system.

  • PDF

Performance of a Lab-Scal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Culture

  • Peng, Lei;Oh, Sung-Yong;Jo, Jae-Y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93-501
    • /
    • 2003
  • Performance of a laboratory scal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was evaluated. Twenty-kg of korean rockfish (130 fish)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53.8g was stocked. Over a 107-day culture period, fish reached final density of $51.7kg/m^3$ (initial density, $33.3kg/m^3$) on the basis of the culture tank volume. On a daily basis, added water amounted to 3.4% of the total water volume in the system.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were below 1mg/l and nitrite nitrogen $(NO_2-N)$ concentrations were within the range of 1-3mg/l on most sampling days. TAN was removed from bead and sand filters and it was removed or produced in the sedimentation basin. Basically, $NO_2-N$ was removed in the bead and sand filters, while it was either removed or produced in the sedimentation basin. Nitrate nitrogen $(NO_3-N)$ was produced in the bead filters and removed from the sand filter and sedimentation basin. The foam fractionator performed well in the recirculating system. The maximal daily removal values for total suspended solids (755) and protein were 10.9g and 1.4g, respectively. Whole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within the levels commonly recommended for fish culture on most of the sampling day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commercial feasibility of this system because of the smallscale system used in present experiment. At least, the present study still provides some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of this kind of system.

세포 침전장치를 이용한 하아브리도마 세포의 고농도 배양 (High Density Culture of Hybridima Using Cell sedimentation System)

  • 최대부;조보연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43-149
    • /
    • 1989
  •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고농도 배양하기 위하여 세포 침전장치를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위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침전조는 세포의 침전이 잘 일어나지만 침전된 세포가 침전조 벽에 누적되는 결점을 보였고, 아래 위의 직경이 균일한 침전조는 희석율이 높아질수록 유출되는 세포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출되는 세포속에는 dead cell 보다 viable cell의 비율이 높아 배양기 내의 dead cell이 급격히 농축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침전조를 적절히 고안하여 세포 누적 현상을 막고 동시에 세포 유출을 완화시킬 경우 세포농도 $5{\times}10^6$ cells/ ml에서 일주일간 배양이 가능했다. cell viability의 측정이 용이하므로 침전조를 이용한 하이브리도마 고농도 배양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ern Sedimentary Environment of Jinhae Bay, SE Korea

  • Park, Soo-Chul;Lee, K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2호
    • /
    • pp.43-54
    • /
    • 1996
  • Jinhae Bay, one of the largest tidal bay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an area with thick accumulations of recent, fine-grained sediments, mainly supplied from the Nakdong River. The preponderance of silt and clay particles reflects the large quantity of sediments transported in suspension. Although the clay mineral assemblage is similar to that derived from the nearby Nakdong River,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3-9%) of smectite suggests some local input of fine particles from several streams around the bay or some contribution from the offshore water that may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Current.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s in sediments is as high as 12%, and their C/N ratios imply that they are comprised of mixtures derived from marine plankton and terrestrial plants. $^{210}Pb$ excess activity profiles of sediment cores yield an average sedimentation rate (a 100-year time scale) of about 2-5 mm/yr, which coincides well with the long-term sedimentation rate (a 1000-year time scale) estimated from the sediment isopach map. On the basis of sediment bulk density and sedimentation rate, an annual sink of mud in the bay is estimated approximately 1.0 ${\times}$ $10^{6}$ tons per year.

  • PDF

입자추적기법을 이용한 침전지의 효율 평가 (Estimation of Settling Efficiency in Sedimentation Basin Using Particle Tracking Method)

  • 이길성;김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293-304
    • /
    • 2004
  • 침전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중요한 조작 중 하나이며, 침전지내에서는 응집과 침전이 일어남에 따라 입자의 크기분포가 변하는 복잡한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침전지의 효율적인 설계나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해해야만 하며, 침전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전지내의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범용 CFD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였으며, 침전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FLUENT에서 제공되는 입자추적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침전지의 형상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규모와 침전지내 인자들 (유입부 정류벽, 유출부 트라프 등)이 수치모의에 최대한 반영되었으며, 현장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해 수치모의에 사용되는 매개 변수들을 보정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입자의 직경이 입자의 밀도에 비해서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침전효율이 실헐결과와 가장 잘 일치할 때의 직경값을 결정해본 결과 입자의 직경값이 26.5 $\mu\textrm{m}$로 나타났다.

STUDIES OF CELL COMMUNICATION BY USING GAP JUNCTION CHANNELS RECONSTITUTE IN UNILAMELLAR LIPID VESICLES

  • Joe, Cheol-O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6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6
    • /
    • 1996
  • Gap junction channels were reconstituted into unilamellar liposomes using immunoaffinity purified connexin 32 gap junction protein from rat liver. Vesicles containing open channels and close channels were separated by means of iso-osmolar sucros density gradient sedimentation. The open channels formed in lipid vesicles were permeable to a fluorescent dye molecule, lucifer yellow of which the hydrodynamic size is similar to pore size of gap junctions in vivo. (omitted)

  • PDF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선버들 (Salix nipponica)과 버들나무 (S. koreensis)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alix nipponica and S. koreensis during the Riverbed Sedimentation in the Wetland of the Nam-River)

  • 이팔홍;손성곤;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5-107
    • /
    • 2000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습지 식생의 군집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와 저토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각 개체군은 하상의 퇴적으로 육상화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었다. 즉 습지 에 선버들이 정착하는 제 1 단계, 약간 육상화가 진행된 곳에 버드나무가 착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가 공존하는 제 2단계, 퇴적이 진행되어 퇴적지의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선버들이 서서히 고사하고 버드나무가 우점하기 시작하는 제 3단계, 지하수위가 제 3단계의 두 배로 되고 선버들은 거의 사라지며 버드나무가 극상림을 이루는 제 4단계 등이다. 제 1 단계에서 제 4단계로 진행됨에 따라 선버들은 수고, 수령, 밀도 등이 감소하였으나 버드나무는 증가하였고, 각 단계별 하층식생의 종조성은 차이가 없었다. 주성분분석 (PCA) 결과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저토 환경요인은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이었다. 하상의 퇴적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기타 환경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