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Competency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2초

학령기 아동의 애착안정성, 사회불안 및 우울의 관계: 자기유능감의 매개 효과 (Relationship of Attachment Secur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mpetency)

  • 문소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56-163
    • /
    • 2010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secur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mpetency in relation to attachment security and the other variables was investigat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students in grade 5 or 6,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PC 12.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instruments used were Kerns, Klepac and Cole's Security Scale, La Greca & Stones' Revised Social Anxiety Scales for children (SASC-R), Cho and Lee's Korean form of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Harter'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the variable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lso, self compete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elf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o attachment security.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programs including strategies to increase self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These programs can increase self competency which has a mediator role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the other variable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수준관리체계를 통한 핵심 직무역량 향상 방안 - 보안검색요원 판독등급제 중심으로 - (A Plan to Improve Core Job Skills through the Level Management System : Focusing on the X-ray Screening Rating System)

  • 김동민;백정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677-68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x-ray screening rating system to improve X-ray screening ability, which is a core job competency of security screener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evel management system.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using T-test tests for effect analysi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derived through the competency evaluation model, the screening rating syst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for regular educatio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x-ray screening rating system was 94.1 points, bu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x-ray screening rating system, the average score for regular education was 95.5 points, an average of 1.4 points increase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95 or more points classified as high scorer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1.1% to 69.3%. Conclusion: The X-ray screening rating system of security inspectors will systematically manage the level of screening ability, which is a key job competency, and play a strong role in improving competency, while preventing security accidents through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nsive training of level-lowers.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 추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NCS 미분류 보안영역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Extracting Industrial Security Jobs and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Focusing on the Unclassified Security Area)

  • 임동선;신은희;장항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5-32
    • /
    • 2020
  • 산업보안 전문인력양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산업현장 수요에 맞춰 대학 교육과정들이나 자격제도 체계를 표준화하고 연결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NCS 내에 있는 보안관련 직무와 보안능력을 요구하는 직무, 해당 직무에 요구되는 보안능력을 추출, 분류,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많은 직무들에서 이미 NCS 직무분류로 존재하는 IT보안, 물리보안 등과 다른 보안능력 요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업보안능력 및 수준 등에 대한 산업현장의 요구가 이후 산업보안 NCS개발 과정에 반영되어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을 체계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lphi를 활용한 전직 핵심역량 개발에 관한 연구 -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Core Competency of Outplacement with Delphi: Focusing on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s)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95-1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전직 역량에 대한 규명과 정의 및 체계화를 통해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이 전직하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검토와 전문가 델파이조사 등 3단계의 역량도출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선먼저 연구자가 선행 문헌고찰을 통해 구조화한 잠정 전직관련 역량 6개 역량 군 124개의 하위역량들을 관련분야 전문가 협의회(9명) 3회에 걸쳐 검토보완을 통해 4개 역량 군 84개의 하위역량으로 조정하였다. 4개 역량군 84개 하위역량에 대한 전직분야 전문가 38명과 전직 성공자 38명 등 총 78명을 균형 있게 구성하여 반 구조화된 제한응답형의 질문지를 통해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고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전직역량의 타당도 검증을 one-sample-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1차 4개 역량 군 42개의 하위역량으로, 2차 4개 역량 군 23개의 하위역량으로, 3차 4개 역량 군 22개의 하위역량이 최종적으로 분석, 개발되었다. 연구과정에 직접 참여한 경호공무원 전직성공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결과는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전직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한 전직지원 교육과정 및 교육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NCS based Leveled Micro-Degree Certification Model for Training Practical Cyber Security Experts

  • Kim, Jeong-Sham;Lee, Kyu-Chang;Choi, Sang-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23-13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CS에서 정의된 직무를 기반으로 직무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직무능력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대학교육의 문제로 인해 인력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 디그리 체계를 사이버보안 인력의 직무능력 인증에 활용한다. NCS의 세분류 분야별 직무를 마이크로 디그리, 능력단위별 세부직무를 나노디그리로 정의하고, 수준별로 구분된 능력단위의 수준을 마이크로 디그리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리고 이를 학위기반의 대학 학력에 상응하는 직무능력을 인증하는 체계이다. 이러한 체계를 영남이공대학교 사이버보안스쿨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NCS직무 기반으로 나노디그리 과정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최근 들어 많은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무역량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CS based Curriculum for Educating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 송정호;김황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37-544
    • /
    • 2016
  • 정보보호 산업 분야에서도 신규 인력의 양성과 재직자의 지속적인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정보보호 전문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 교육과정의 도입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NCS는 정보보호 산업분야에 대한 세분류가 명확히 제시 되지 않아 교육훈련 기관에서 교육과정으로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별 인력유형에 따라 교육과정에 도입 가능한 능력단위를 선정하였다. 능력단위 선정을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필요 지식 및 기술을 고려하였고, 추가적으로 공공기관, 공기업 및 일반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NCS 기반 채용 기준을 포함하였다. 선정된 능력단위는 직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도에 따라 필수 능력단위와 선택 능력단위로 구분 하였고, NCS 정보통신(SW) 분야의 신 자격 경력 경로 모형에 적합한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양성을 위한 NCS 교육과정 설계에 필요한 능력단위와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군 장성 진급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역량 평가위원회 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ssess Center Method Applied to Military General's Promotion System)

  • 김원형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3호
    • /
    • pp.243-263
    • /
    • 2005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pplied center assess method to Military General's Promotion System. This study aim to examine assessment center method based on core competency model will be applied to Military General's Promotion Syste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 that Military General's core competency model based on job analysis to identify competency of Army, Navy, Air Force's Generals and to identify the consequences and performances of assess center method. This study propose that assess center method applied to Military General's Promotion System have many kinds. Facilitated Simulation methods were Planning and Analysis /Oral Presentation, Presentation management Coaching, customer /Peer lnteraction. Non-facilitated Simulation methods were In-Basket game, Leaderless Group Discussion, role playing. And this study propose that Military General's assessment center method based on core competency model will be effective in Military field.

  • PDF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역량에 대한 보유수준 분석 및 전직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Outplacement Countermeasure and Retention Level Examination Analysis about Outplacement Competency of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3호
    • /
    • pp.51-8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에 대한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보유수준 조사를 통한 전직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 전직관련 대상자로서 40대 이상 5급 사무관 이상 전직 유경험자인 전직 성공자와 전직 실패자, 전직 희망자인 전직 예정자 600명을 대상으로 지식역량군의 전문지식, 전직관련 지식, 자기이해, 조직이해, 기술역량군의 직무기술역량, 직무수행기술, 문제해결기술, 혁신기술, 커뮤니케이션기술, 조직관리기술, 위기관리기술, 경력개발기술, 인적네트워크 활용기술, 태도 및 감정역량군의 긍정적 태도, 적극적 태도, 책임감, 직업정신, 헌신적 태도, 친화력, 자기조절능력, 가치 및 윤리역량군의 윤리의식, 도덕성 등 4개 역량군 22개 하위역량의 보유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 응답자 153명의 4개 역량 군 22개 하위역량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보유수준 값이 4.0이상인 전문지식, 긍정적 태도, 책임감, 윤리의식, 도덕성 역량 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갖추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그 외 역량에 대해서는 보통이하 점수로 다소 낮게 나타나, 이들 역량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한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성공적인 전직지원방안으로서는 전직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재정립하고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눈높이를 낮추어야 하며, 전직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다소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역량들에 대해서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개발 및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 이러한 전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퇴직 전 중 후 전직 교육훈련 강화 및 현 교육훈련체계 반영, 수요자 중심의 온-오프 상 교육훈련시스템 운영, 학습조직화 등 전직교육훈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사이버보안 기술적 대응 직무 역량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 모델 구현 사례 (A Proposal of Cybersecurity Technical Response Job Competency Framework and its Applicable Model Implementation)

  • 홍순좌;박한진;최영한;강정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167-1187
    • /
    • 2020
  • 해킹, 말웨어, 자료 유출 및 도난 등의 사이버 위협은 생활 및 경제, 국가 안보의 중요한 문제가 될 정도로 일상과 밀접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국가·산업 차원의 안보 및 경제적 관점에서 사이버 위협 대응은 필수적인 방어책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사이버보안 분야에서의 산·학 기술격차 및 전문인력 부족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이버보안 인력의 직무 역량 개념을 도입하여 사이버보안 기술적 대응 직무 역량(CtrJ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국가 및 조직 차원에서 시급히 요구되는 실시간 사이버 위협 대응 기술적 직무 역량(CtrJC-R) 모델을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한다.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T-PEC) : Focused on the Case of a Middle-School/a High-School Science Teacher)

  • 김유정;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95-706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of a middle-school/high-school science teacher using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T-PEC) measurement tool. The case analysis shows that teacher A in a middle school represents high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plann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le the competency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is low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on-standardized areas. Teacher B in a high school shows high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whereas low level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xecution competency because the freedom given to students is not enough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teacher also shows very low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due to the lack of time and the school culture not giving feedback to the students. According to cross-case analysis, teacher A and B both represent the highest level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lowest level of utilization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competency. And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process-centered evaluation leads to different understanding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etween the two teachers, and teacher B shows low the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affects results due to the students not being concerned on feedback, security problem, and the reality focusing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clear guideline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to teachers, introducing an appl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time-lack problem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nsuring objectivity and security about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and building the school culture such a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standardized areas in order to implement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