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tional arch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기관의 단면적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with Parameters of Pulmonary Function in COPD)

  • 이찬주;이재호;송재우;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628-635
    • /
    • 1999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대변하는 폐기종에서 주요 기능적 장애는 호기의 장애이며, 최대 호기류량은 기도의 크기, 폐의 탄력반동압 그리고 기도의 함몰성에 의해 결정된다. 기도의 항몰성은 폐기종에서 기류를 제한하는 하나의 기전으로 작용하지만, 폐용적과 폐의 과팽창을 유지하는 기전으로 작용하여 가스교환을 증진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폐기종에서 기관이 호흡에 미치는 생리학적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여 단순 흉부방사선검사, 체간용적기록계(body plethysmography)를 포함하는 폐기능검사 및 HRCT를 통해 폐기종으로 진단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RCT에서 대동맥궁의 정상부위에서 기관의 단면적을 호흡주기에 따라 측정하고 이를 체표면적으로 보정한 값과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 기도저항, 폐유순도 등 폐기능지표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폐기종에서 기관의 단면적은 호기시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r=-0.61, p<0.05) 및 산소분압(r=0.6, p<0.05) 그리고 매분환기량(r=0.73,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흡기시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이산화탄소분압과는 r=-0.22, p>0.05, 산소분압과는 r=0.26, p>0.05, 매분환기량과는 r=0.44, p>0.05). 매분환기량은 상시호흡량(tidal volume)과는 r=0.45(p<0.05)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호흡수와는 r=-0.31(p>0.05)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폐기종에서 기관의 단면적은 호흡주기와 상관없이 $FEV_1$ FVC, $FEV_1$/FEC, 최대 호기류량, 잔기용적, 폐확산능, 기도저항, 폐유순도 등의 다른 폐기능지표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폐기종에서 호기시 기관의 단면적은 주로 가스 교환(gas exchange)의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폐용적이나 폐의 과팽창을 시사하는 지표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폐기종에서는 호기시 동일 압력점의 개념에 의해 발생하는 기도압박으로 기관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이러한 현상이 기류를 제한하는 하나의 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이지 폐용적이나 폐의 과팽창을 유지시켜 가스교환을 증진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 PDF

흥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한국성인의 기관내경과 단면적의 측정 (CT Measurement of Diameter and Dimension of the Trachea in Normal Korean Adults)

  • 한재열;김광호;이건;김형진;조순구;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34-538
    • /
    • 2001
  • 배경: 기관의 크기와 기관주위의 정상형태에 대한 지식은 임상에서 기도나 호흡관리, 그리고 기관재건술을 시행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흉부 단순촬영은 기관의 직경을 재는 간단한 방법이지만 그 상이 확대되는 경향과 측면촬영에서 어깨와 상이 겹쳐서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정상 성인의 기관의 정상치를 알기 위해 흥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남자 43명과 여자3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 나이에 따라 20~39세는 제 1군, 40~59세는 제2군, 60세 이상은 제 3군으로 구분하였다. 흉부 유입구와(Level 1) 대동맥궁에서(Level 2)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각각 전후경과 횡경을 재고 그 단면적을 구하였다. 결과: level 1에서 한국인 성인 남자의 기관의 전후경은 15.95$\pm$2.99 m, 횡경은 17.72$\pm$2.13 m이었고, 여자의 경우 전후경은 15.56$\pm$2.12 m, 횡경은 14.18$\pm$2.07mm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Level 2에서 남자의 전후경은 19.77$\pm$2.57 m, 횡경은 18.02$\pm$2.19 mm이었고 여자의 전후경은 15.35$\pm$1.82 m, 횡경은 15.00$\pm$1.60 mm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0.05). 기관단면적은 남자가 각 Level에서 279.14$\pm$61.37 $\textrm{mm}^2$(Level 1), 281.93$\pm$63.97 $\textrm{mm}^2$(level 2)였고, 여자가 173.29$\pm$35.81 $\textrm{mm}^2$(Level 1), 181.88$\pm$34.74 $\textrm{mm}^2$(Level 2)로 두 위치에서 단면적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기관의 각각의 위치에서 내경과 단면적은 연령군에 따라 고연령층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한국 정상 성인의 기관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은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를 얻는데 비교적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사각 격자지보의 구조 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etragonal Lattice Girders)

  • 김승준;한금호;원덕희;백정식;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67-278
    • /
    • 2012
  • 본 논문은 신형식 사각 격지지보의 구조 성능 평가를 다룬다. 지금까지 NATM 공법을 이용한 터널 시공 시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전까지 터널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H형 단면 강지보 및 삼각 격자지보가 주로 사용되었다. H형 단면 강지보는 동일 단면 높이를 갖을 때 삼각 격자지보보다 우수한 휨 성능을 보이지만, 단면이 복부판 및 플랜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숏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라이닝 내부에 배면 공동이 많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삼각 격자지보는 숏크리트와 우수한 부착성을 보이나 부재와 부재 간 용접부에서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각 격자지보가 개발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 및 하중재하실험을 통해 사각 격자지보의 구조 성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석연구에서는 강지보의 일반적인 성능평가방법인 4점 재하 휨 하중 해석을 수행하였고, 여기에 더하여 아치 해석을 통해 아치의 항복 하중 및 좌굴 하중 역시 검토하였다. 4점 재하 휨 하중 실험을 통해 사각 격자지보의 극한 상태 하중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격자지보에서 문제되었던 부재 간 접합부의 파손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해석 및 실험을 통해 신형식 사각 격자지보의 주요한 구조 성능을 평가하였고 이를 기존 격자지보와 비교하였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rangement of teeth, root resorption, and dental maturity in bovine mandibular incisors

  • An, Jin-kyu;Matsumoto, Yoshiro;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65-374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ruption pattern and root resorption of the bovine anterior dentition in relation to growth-related parameters based on dental maturity.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10 bovine anterior mandibles by using standard radiograph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actual measurements.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ges of dental maturity by using a modification of Demirjian's method and various growth-related parameters, such as the activity of the root-resorbing tissue and mobility of the deciduous teeth. The correlation of growth-related parameters with interdental spacing and distal unusual root resorption (DRR) of the deciduous fourth incisor was assessed. The cause of mesial unusual root resorption (MRR) of the deciduous fourth incisor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arrangement of the permanent third incisor. Results: A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related parameters associated with dental arch length discrepancy and factors related to the shedding of deciduous teeth between the low and high dental maturity groups. The samples with interdental spacing and DRR showed a larger sum of mesiodistal permanent crown widths and higher dental maturity than did the respective controls. Samples with MRR tended to show a lingually rotated distal tip of the adjacent tooth crown. Conclusions: Dental maturity has relevance to the interdental spaces and unusual root resorption of mixed dentition.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tooth crown on CBCT may be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unusual root resorption of the incisor.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or the assessment of root-crown ratio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in a Korean population

  • Choi, Sung-Hwan;Kim, Jung-Suk;Kim, Cheol-Soon;Yu, Hyung-Seog;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9-49
    • /
    • 2017
  • Objective: This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establish reference data for normal crown and root lengths and the root-crown ratios (R/C ratios) for the matur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in a Korean population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We included 672 Korean patients (141 men and 531 women; mean age, $27.2{\pm}7.7years$) who underwent CBCT examinations during various dental treatments. Crown and root lengths and the R/C ratio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were measured using CBCT data, which were analyzed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sagittal and vertical skeletal or occlusal relationships. Results: Teeth of the same type in each half-arch were symmetrical. The mean R/C ratios varied from 1.1 to 1.2 for the maxillary incisors and from 1.3 to 1.4 for the mandibular incisors. Crown and root lengths were greater in men than in women, regardless of tooth type. Root lengths and R/C ratios for the mandibular incisor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or an excessive overjet than in the other patients. The R/C ratios for the mandibular incisor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n open bite than in those with a normal or deep bite. Moreover, the R/C ratios for the mandibular incisors increased with age. Conclusions: The data obtained in our study can serve as reference values for crown and root lengths and the R/C ratios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effect of occlusogingival placement of clinical bracket points on the adaptation of a straight wire to the lingual arch form

  • Abdi, Amir Hossein;Motamedian, Saeed Reza;Balaghi, Ehsan;Nouri, Mahtab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6-244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daptation of a straight wire between brackets positioned at the mid-lingual surface and those placed gingivally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imulation softwar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OrthoAid, an in-house software. The subjects were 36 adolescents with normal Class I occlusion. For each dental cast, two bracket positioning approaches, namely the middle and gingival, were examined. In the middle group, the reference points were placed on the mid-lingual surface of each tooth, while in the gingival group, the reference points were positioned lingually on the anterior teeth. A 4th degree polynomial was adopted, and the in-plane and off-plane root mean squares (RMSs)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and the fitted polynomial curve were calculated using the softwar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ired-samples t-test (${\alpha}=0.05$). Results: The mean in-plane RMS of the polynomial curve to the bracket distance in the gingiv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middle group (p < 0.001). The off-plane RMS was higher in the gingivally positioned brackets in the maxilla than in the middle group (p < 0.001). However, the off-plane RMS in mandi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274).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ingival placement of lingual brackets on the anterior teeth could decrease the distance between a tooth and the straight wire.

굴착경사가 개착식터널의 구조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ut-slope on Structural Behavior of Cut-and-Cover Tunnel)

  • 유건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245-255
    • /
    • 2001
  • 기존 개탁식터널은 굴착경사와 관계없이 터널상부에는 되메움지반의 자중이 그리고, 터널벽체에는 정지토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개착식터널에 실제 작용하는 토압은 개착규모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터널라이닝의 구조적거동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적방법을 사용하여 굴착경사가 터널라이닝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첫째로, 지반범용수치해석프로그램인 FLAC2D를 사용하여 개착공법으로 시공된 기존 터널의 변형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치해석방법을 활용하여 현장의 계측결과와 비교하므로써 수치해석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둘째로, 동일한 수치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굴착경사가 $30^{\circ}\;, 456{\circ},\; 60^{\circ},\; 75^{\circ}%인 개착식터널에 작용하는 토압 및 변위와 터널라이닝에 발생하는 단면력을 조사하였다. 수치해석에 사용된 개착식터널은 2차로 도로터널이며, 터널라이닝과 되메움지반 사이의 마찰력을 고려하기 위하여 접합면 요소를 사용하였다. 수치 해석결과, 되메움지반과 터널라이닝 및 굴착사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되메움지반 내부의 아칭현상으로 인하여 굴착 경사가 클수록 터널벽체에 상대적으로 작은 토압이 작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터널라이닝의 변형, 모멘트, 전단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실험적 치아 이동시 성견 치주조직의 변화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PERIODONTAL TISSUE REACTION DUR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THE ADULT DOG)

  • 김미정;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10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thodontic force on periodontal cellular activity by immunoperoxidase stain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e of the tissue hormone. And supplementarily, to investigate of the changes of periodontal structures, periodontium was stained by H-E, Masson's Trichrome, P. A. S. stain after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four young adult dogs of average 8 month old. The fixed orthodontic appliance was cemented on mandibular right 4th premolar and 1st molar of each animal as experimental site. Mandibular left 4th premolar area of the same animal was used as control. The appliance consist of two silver crown soldered with 0.030' tube, $0.018\times0.022'$ S.S. sectional arch wire, and 0.009' open coil spring for manifestating of orthodontic force for bodily tooth movement of mandibular 4th premolar toward mesial direction. Experimental group was sacrificed at 1, 2, 3, 5 weeks from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nd was investigated immunohistochemically and bistochemically by several staining methods.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EGF staining in control group was highest in epithelium of periodontium, and osteoclasts, osteoblasts and fibroblasts around the capillary were stained at higher level in periodontium. Generally, control group shows positive distribution of EGF all around the periodontal area. 2. The degree of EGF staining in control and 5 week group were similar, and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t level between tension and pressure side. 3. All of 1, 2, 3 week group showed the same staining degree and distribution of EGF, and the tension side was more positive reaction of EGF stain than the pressure side. 4. The features of collagen fiber and periodontal fiber arrangement observed by H-E, Masson's Trichrome and P. A. S. stain revealed that oblique periodontal fibers were strectched in tension side, compressed in pressure side of all experimental group. Some fiber group in pressure side of 5 week group recovered the regular arrangement along the capillaries.

  • PDF

스틸재킷 보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변위기반 내진 성능 개선 설계 방법 (Seismic Performance Improved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trengthened by Steel Jackets Using Displacement-based Design)

  • 정인규;박문호;조창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변위-기반성능설계 개념에 의해 기존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하여 스틸재킷 보강에 의한 내진 성능개선의 성능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스틸재킷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설계 변위 추정을 위해 스틸재킷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선형 층상화 세그먼트 해석 모델을 제시하고, 성능기반설계에 의한 성능개선설계를 위하여 목표성능변위 및 설계지진가속도 조건에 대해 직접 변위-기반 설계 방법 및 변위계수법에 의한 내진성능개선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적용 예에서 이 방법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비교하여 성능개선설계 결과 보강 전에 비해 변위 연성비 및 변위성능에서 크게 개선된 성능설계 결과를 제공해 주었다.

Effects of the Short Foot Exercise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Navicular Height in Flexible Flatfoot in Thailan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Namsawang, Juntip;Eungpinichpong, Wichai;Vichiansiri, Ratana;Rattanathongkom, Somcha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4호
    • /
    • pp.250-257
    • /
    • 2019
  • Objectives: Flatfoot, or low medial longitudinal arch, contributes to back and lower extremity injuries and is caused by weak abductor hallucis (AbdH)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 foot exercise (SFE) alone or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on navicular height, the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AbdH muscle, and AbdH muscle activity in flexible flatfoot. Methods: Thirty-six otherwise healthy people with flexible flatfoot were randomly assigned to a group that received SFE with placebo NMES treatment (the control group) or a group that received both SFE and NMES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Each group received 4 weeks of treatment (SFE alone or SFE with NMES). Navicular height, the CSA of the AbdH muscle, and AbdH muscle activit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avicular height or the CSA of the AbdH muscl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hile AbdH muscle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FE=73.9{\pm}11.0%$ of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SFE with $NMES=81.4{\pm}8.3%$ of MVIC; p<0.05). Moreover, the CSA of the AbdH musc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fter treatment in the SFE with NMES group ($pre-treatment=218.6{\pm}53.2mm^2$ ; $post-treatment=256.9{\pm}70.5mm^2$ ; p<0.05). Conclusions: SFE with NMES was more effective than SFE alone in increasing AbdH muscle activity. Therefore, SFE with NMES should be recommended to correct or prevent abnormalities in people with flexible flatfoot by a physiotherapist or medical care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