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productivity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s of Job Demand-control-support Profiles on Presenteeism: Evidence from the Six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 Ari Min;Hye Chong Ho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85-92
    • /
    • 2023
  • Background: Presenteeism is closely related to work performance, work quality and quantity, and productivity at work. According to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job demand, job control, and support play important roles in presenteeism.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job characteristics profiles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profiles and presenteeism.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used the Six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a nationwide cross-sectional dataset. The study included 25,361 Korean wage workers employed in the workplace with two or more worker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job characteristics profiles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udy variables. Results: Overall, 11.0 % of study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e of presenteeism in the past 12 months. Age, sex, location, monthly income, shift work, work hours, health problems, and sleep disturba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enteeism. The rate of presenteeism was the highest in the passive isolate group. The passive collective, active collective, and low-stain collective groups had a 23.0%, 21.0%, and 29.0% lower likelihood of experiencing presenteeism, respectively, than the passive isolate group. Conclusions: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profiles and the risk of presenteeis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he most significant group that lowered the experience of presenteeism was the low-strain collective group, which had a low level of demand and high levels of control and support. Therefore, we need a policy to reduce job demand and increase job control and support at the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s.

Protective Measures From Solar Ultraviolet Radiation for Beach Lifeguards in Tuscany (Italy): Shade and Clothing Strategies

  • Daniele Grifoni;Giulio Betti;Andrea Bogi;Lucia Bramanti;Alessandra Chiarugi;Bernardo Gozzini;Marco Morabito;Francesco Picciolo;Francesco Sabatini;Lucia Milig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4호
    • /
    • pp.421-428
    • /
    • 2022
  • Background: The exposure to solar ultraviolet radiation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generally underestimated by outdoor workers and employers. Several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occupational solar exposure increased eye and skin diseases with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lives and productivity of affected work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of some measures recently undertaken for the protection of lifeguards in a coastal area of Tuscany. Methods: Different shading structures (gazebos and beach umbrella) were tested during a sunny summer's day on a sandy beach by means of two radiometers; the UV protection offered by some T-shirts used by lifeguards was also tested in the laboratory with a spectrophotometer. Results: The analysed shading structures strongly reduced the ultraviolet radiation by up to 90%, however a not always negligible diffuse radiation is also present in the shade, requiring further protective measures (T-shirt, sunglasses, sunscreen, etc.); the tested T-shirts showed a very good-excellent protection according to the Australian/New Zealand standard. Conclusio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how th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good practices, including those tested, could be particularly effective as a primary prevention for lifeguards who are subjected to very high levels of radiation for long periods.

내플라즈마성 세라믹의 표면연마를 통한 플라즈마 열화방지 (Preventing Plasma Degradation of Plasma Resistant Ceramics via Surface Polishing)

  • 최재호;변영민;김형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0-135
    • /
    • 2023
  • Plasma-resistant ceramic (PRC) is a material used to prevent internal damage in plasma processing equipment for semiconductors and displays. The challenge is to suppress particles falling off from damaged surfaces and increase retention time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and introduce the latest miniaturization process. Here, we confirmed the effect of suppressing plasma deterioration and reducing the etch rate through surface treatment of existing PRC with an initial illumination level of 200 nm. In particular, quartz glass showed a decrease in etch rate of up to 10%.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micro-scale secondary particles formed on the microstructure of each material grow as crystals during the fluoridation process. This is a factor that can act as a killer defect when dropped, and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when analyzing plasma resistance. The plasma etching suppression effect of the initial illumination is thought to be due to partial over etching at the dihedral angle of the material due to the sputtering of re-emission of Ar+-based cations. This means that plasma damage due to densification can also be interpreted in existing PRC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 surface treatment condition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existing PRC for mass production and a new perspective to analyze plasma resistance in addition to simple etching rates.

  • PDF

Effects of biostimulants, AMPEP and Kelpak on the growth and asexual reproduction of Pyropia yezoensis (Bangiales, Rhodophyta) at different temperatures

  • Sook Kyung Shin;Qikun Xing;Ji-Sook Park;Charles Yarish;Fanna Kong;Jang K. Kim
    • ALGAE
    • /
    • 제39권1호
    • /
    • pp.31-41
    • /
    • 2024
  • Acadian marine plant extract powder (AMPEP) and Kelpak are commercial biostimulants derived from brown algae Ascophyllum nodosum.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MPEP and Kelpak can induce thermal resistance in Pyropia yezoensis. P. yezoensis blade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control: 0, low: 0.001, high: 1 ppm) of AMPEP and Kelpak at 10℃ for 6 and 7 days, respectively. Those blades were then cultivated in von Stosch enriched seawater medium at different temperatures (10, 15, 20, and 25℃) with 12 : 12 L : D photoperiod and 100 µmol m-2 s-1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for additional 15 days. Results showed that P. yezoensisreproduced archeospores at 20 and 25℃ at all biostimulant conditions within 15 days. At lower temperatures (10 and 15℃), only AMPEP-treated P. yezoensis reproduced archeospores. P. yezoensis exposed to 1 ppm Kelpak exhibited higher phycoerythrin and phycocyanin contents than control and 0.001 ppm conditions at 15℃. AMPEP-treated conditions showed higher phycoerythrin and phycocyanin contents than control at 10℃.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PEP and Kelpak may not enhance the thermal resistance of P. yezoensis. However, AMPEP stimulated archeospores release at lower temperatures. The treatment of AMPEP and Kelpak also increased the pigment contents in P. yezoen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seaweed-derived biostimulants can provide some economic benefits in P. yezoensis aquaculture. The enhancement of archeospores formation by AMPEP at lower temperature may also increase the productivity since Pyropia farming relies on the accumulation of secondary seedings via asexual reproduction.

농축 배지 조절 유가식 배양에 의한 Streptomyces avermitilis의 산소전달계수 측정 (Determination of Oxygen Transfer Coefficient in Fed-Batch Culture of Streptomyces avermitilis with Concentrated Medium Control)

  • 오종현;전계택;정요섭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516-522
    • /
    • 2001
  • 균사형성 미생물에 의한 항생물질의 대량생산은 적절한 산소공급이 요구되며, 산소전달속도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속도제한단계이다. 그러므로 발효에 이용하기 위해 Streptomyces avermitilis 와 같은 균사형성 미생물 배양액에서의 산소전달계수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회분식 배양에서 (K$_{L}$A) 측정을 위한 적절한 용존산소 유지가 어려웠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유가식 배양을 도입하였다. 배지의 단계적 공급으로 미생물 성장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고, 낮은 교반속도에서도 적정용존산소의 유지가 가능하였으며, 결과적으로 (K$_{L}$A) 측정도 용이하였다. 7 g/L 이하의 낮은 균체량에서 350 rpm의 교반속도가 교반효율과 전단응력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절한 조건임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균체가 증가할수록 배양액 점도가 증가하여 혼합이 효과적이지 못한 이유로 더 높은 교반속도가 필요하였다. 통기량의 증가에 의한 (K$_{L}$A) 증가율은 건조균제질량이 고 농도 일수록 미미하였다. 그러므로 높은 균체농도에서는 이차대사산물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교반속도를 증가하여 용존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통기속도의 조절보다 더 효율적 일 것으로 판단되었다.판단되었다.

  • PDF

Aspergillus terreus에 의한 Lovastatin 생산에 배지성분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by Aspergillus terreus)

  • 김병곤;정용섭;전계택;이영행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6-44
    • /
    • 1999
  • 고지혈증 치료제인 Lovastatin을 Aspergillus terreus로부터 생산하기 위해 최적의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및 아미노산을 선정하였다. 단일 탄소원에서는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256mg/L로 포도당 45g/L의 기본배지보다 약 3.5배 이상의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이 지방산 합성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Lovastatin으로의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기름 증류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결과, 높은 Lovastatin 생산량과 균재량을 나타내었으나,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생산량이 낮았다 포도당 50g/L와 글리세롤 50mL/L를 혼합한 복합 탄소원이 Lovastatin 298mg/L로 기본배지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냈었다. 질소원의 영향은 뚜렷하여 질소원에 따라 Lovastatin 생산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peptonized milk가 가장 Lovastatin 생산량이 높았다. 인산염 중에서는 $K_2HPO_4$가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얻어진 최적 배지에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한 결과 L-hisbhine과 L-tryptophan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최적 농도는 둘다 6g/L였다.

  • PDF

광합성 녹색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및 항산화성 카로티노이드 생산 (Biological Co2 Fixation to Antioxidant Carotenoids by Photosynthesis Using the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 강창덕;박태현;심상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46-51
    • /
    • 2006
  •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CO_2$를 항산화성 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새로운 방법의 생물학적 $CO_2$ 저감 기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담수 녹색 미세 조류인 Haematococcus pluvialis가 광합성 미생물로 사용되었으며, 이 균주는 녹색의 성장 세포에서 적색의 포낭 세포로 전환될 때 2차 카로티노이드인 astaxanthin을 세포 내에 다량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균주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CO_2$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광 반응기에서 자가 영양 배양 방식으로 $CO_2$ 고정화 및 그것을 통한 astaxanthin 생산 연구가 수행되었다. 녹색 성장 세포의 성장은 5% $CO_2$ 공급 환경 및 기본 NIES-C 배지에서 최대로 이루어졌다. 적색 포낭 세포로 효과적인 전환을 위해 5% $CO_2$ 주입과 강한 빛 조사로 이루어진 자가 영양 유도법을 적용하였으며, 이 공정을 통해 $9.6mg/L{\cdot}day$의 astaxanthin 생산성을 획득하였다. 이때 astaxanthin으로 전환되는 $CO_2$의 균주 내 고정화 속도는 $27.8mg/L{\cdot}day$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H. pluvialis를 이용한 자가 영양 배양, 유도 공정은 $CO_2$ 고정화뿐만 아니라 고부가 생리 물질 생산기능을 겸비하여 새로운 $CO_2$ 저감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Reproductive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Pisces; Belontidae) in Aquarium)

  • 송호복;최신석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82-294
    • /
    • 2000
  • 버들붕어, M. chinensis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수표면에 기포소를 만들고 세력권을 형성하였으며, 암컷을 기포소 밑으로 유인한 후, 180$^{\circ}$ 회전한 자세로 산란과 방정을 하였다. 산란 행동은 1${\sim}$3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수컷은 산란직 후부터 자어가 기포소를 벗어날 때까지 보호행동을 하였다. 다양한 수온 조건 중, 28$^{\circ}C$에서 산란 횟수와 산란수가 가장 많았으며, 난의 부화율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은 투명하고 부성이었으며, 물 흡수 후 난의 크기는 0.95${\sim}$1.05 mm, 난황은 0.75${\sim}$0.80mm였다. 수온 26.0${\pm}$1$^{\circ}C$에서 난할은 약 15분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42${\sim}$44시간만에 부화되었다 (전장 3.0${\sim}$3.2 mm). 부화 후 4${\sim}$5일 (전장 4.5${\sim}$5.4 mm)부터 먹이를 섭취하고 기포소 밖으로 흩어져 독립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약 40${\sim}$45일 (전장 18.2${\sim}$23.5 mm)에는 치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90~110일에는 전장이 37.4${\sim}$48.2mm로 체형이 성어와 같아지고, 45.0 mm 이상의 개체들은 이차성징이 나타나 성구별이 가능하였으며, 전장 50.0 mm 전, 후에 달하는 약 120일 이후에는 산란에 이르렀다.

  • PDF

Kasugamycin 생산을 위한 연속 청정생물공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Clean Bioprocess for Kasugamycin Production)

  • 김창준;박선옥;장용근;전계택;이종대;김상용
    • 청정기술
    • /
    • 제4권1호
    • /
    • pp.45-59
    • /
    • 1998
  • 방선균인 Streptomyces kasugaensis에 의해서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인 kasugamycin 생산성 증대 및 단위 생산량 당 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연속 고정화 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고정화에 적합한 포자 수확을 위한 포자형성 촉진 배지 개발은 물론 고정화 담체로 사용한 셀라이트에 수확된 포자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연속 고정화 배양 시 고정화세포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정된 연속배양을 가능토록 하기위한 decantor 형태의 고정화세포 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희석 속도 및 공급액 중의 기질 농도(당 농도, 인 농도)를 변화시키며 생합성된 kasugamycin 생산성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을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 및 발효 폐액 중의 COD 값과 비교하였다. 고정화 세포를 이용한 연속배양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이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 비해 2.5배 높았으며, 동시에 단위 생산량 당 COD가 2.3배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부터 연속 고정화 배양이 현탁 회분식 배양에 비해 kasugamycin 생산성 및 오염물질 배출 측면에서 유리한 청정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삼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NaCl의 영향 (The Effect of NaCI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Production from Ginseng Hairy Root)

  • 김유진;심주선;정대영;이정혜;인준교;이범수;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99
    • /
    • 2008
  • 인삼의 생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 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NaCl 처리에 따른 생장율 조사와 ginsenosid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모상근(KGHR-8)으로부터 ginsenosides의 함량에 미치는 NaCl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30일간 배양한 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상근의 생장은 감소하였지만, total ginsenoside의 함량은 0.24M NaCl 처리구에서 높은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광을 조사하여 배양한 결과 높게 검출되었다. 0.24 M NaCl 농도로 광상태하에서 함량은 61.7%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able 1). 또한 모상근의 생장을 최적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two step culture 방법을 조사한 결과, 0.05M, 0.1M NaCl 처리시 모상근의 생장율은 각각 약 62%, 76% 감소한 반면, ginsenoside의 함량은 29%, 48% 각각 향상되었다. 모상근은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NaCl을 elicitor로 인지하고 2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