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Cell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32초

경골어류 등목어과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Three Spot Gourami, Belontiidae, Teleostei)

  • 장병수;정한석;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55-161
    • /
    • 2011
  • 경골어류 등목어과(Belontiidae)에 속하는 three spot gourami (Trichogaster trichopterus Pallas, 1770)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흐린 살색의 아가미 쪽은 뾰족하고 생식공 쪽은 둥근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색으로 염색되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 세포의 세포질은 핵 쪽에서 세포막 쪽부터 hematoxylin의 염색 성이 낮아졌고, 제1난모세포는 난세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유구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 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유구들이 세포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증식되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작은 유구들이 핵막 근처에 집중 되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2난모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 라서 난막은 두꺼워져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유구 가 세포질 전체로 퍼져나갔다. 세포막 쪽의 유구 사이에 난황포 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난황포는 호산성으로 에오신에 의해서 적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뚜렷하고 핵은 염기성을 띠었다. 또한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적색으로 염색된 구형의 난황괴를 이루 고 있었다. 수정란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중앙하단에 한 개의 큰 유구가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유구와 난황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및 큰 유구의 형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벼 품종 밀양 23호와 고시히카리의 유수 및 영화 발달 비교 (Comparison of Panicle and Spikelet Development in Rice Cultivars Milyang 23 and Koshihikari)

  • 강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3-514
    • /
    • 1997
  • 벼 다수성 통일계 밀양 2003와 일본형 품종 고시히카리를 1/5000a 포트에 담수조건으로 재배하여, 유수시원체 분화기의 전후로부터 출수 직전까지 연속적으로 주경을 채취하여 유수와 영화의 발달을 Cryo-SEM을 이용 관찰하였다. 1. 생식상으로 이행한 경정은 후드상의 지엽시원체 반대편 위쪽에 제1포엽시원체가 분화되었고, 그 상부에 1차지경시원체가 포시원세포층의 분화와 함께 향정적으로 분화 융기하였는데, 최상위의 1차지경시원체가 분화종료 후 유수의 생장점은 발육이 정지하여 퇴화하는 경우가 보여졌다. 2. 1차지경 시원체수가 분화 종료되면, 늦게 분화된 상위 1차지경시원체의 기부로부터 빠르게 신장 발육하면서 배축면에 2열 호생적으로 2차 지경과 소지경 시원체를 분화하였고, 각각의 지경 및 소지경은 발육을 계속하여 영화시원체를 분화발달시켰다. 3. 1, 2차지경 시원체의 분화 징후는 기부에서 포엽 또는 포모가 되는 포시원세포의 분화융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각 지경시원체는 포모 또는 포엽에 액생하는 형식으로 착생하였다. 4. 1수내 위치별 영화의 발육순서는 상위 1차지경의 정단부 영화일수록 빠랐으며, 하위1차지경의 기부측 2차지경의 영화일수록 느렸는데, 약 7∼10일 정도 발육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1차지경 및 2차지경의 영화에서는 정단에서 2번째 영화의 발육이 느리고 그 크기도 작았다. 5. 유수와 영화의 기본적인 분화 발달과정은 두 품종에서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으나, 밀양 2003는 1차지경 시원체수가 고시히카리보다 2개 정도 많이 분화되었고, 중하위 1차지경에서는 많은 2차시경시원체가 분화하는 경향이었는데, 일부의 2차지경에서는 3차지경시원체와 3차지경으로부터 영화 시원체의 분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유수의 크기는 전 유수발달기를 통하여 항상 밀양 2003가 고시히카리보다 컸다.

  • PDF

경골어류 카라신과 glow-light tetra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Glow-light Tetra, Characidae, Teleost)

  • 이규재;장병수;등영건;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15-319
    • /
    • 2008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카라신목 (Characiformes), 카라신과(Characidae)에 속하는 담수산 경골어류에 속하는 Glow-light tetra (Hemigrammus erythrozonus)의 난자형성과정을 다른 어류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이형염색질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제1난모세포의 경우 난황포가 단지 난세포 가장자리에만 배열되어 있었고 난막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2난모세포에서는 난막이 형성되었고 제1난모세포에 비해서 난황포가 점점 핵 쪽으로 증식된 경향을 보였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호염기성 물질들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후에 난막 주위에만 국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난막의 두께와 난자의 크기는 점점 증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glow-light tetra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난막발달 및 두께의 증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광학현미경상의 조직학적 결과이므로 앞으로 정확한 난자형성과정을 단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적 연구가 필요하다.

상악동과 안와를 침범한 횡문근육종 1례 (Rhabdomyosarcoma Involving Maxillary Sinus and Orbit)

  • 오용석;강진형;한지연;홍영선;김훈교;이경식;김동집;김민식;조승호;서병도;윤세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8-224
    • /
    • 1994
  • Soft tissue sarcoma of the head and neck is not frequent neoplasm,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all malignant neoplasm in the region. The histological varieties include osteogenic sarcoma,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rhabdomyosarcoma, fibrosarcoma, tenosynovial sarcoma, angiosarcoma and chondrosarcoma. Rhabdomyosarcomas of the head and neck usually occur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years (over 70%) and rarely develop in adults over the age of 20 years. The prevalent sites of involvement include the orbit, nasal cavity, external ear, paranasal sinus and soft tissue of mouth and the primary location of tumor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Before the 1960s, when surgical resection was the only method of treatment, the 5-year survival rate was less than 20%, but recently it has been greatly improved by the multimodality treatment, combining surgery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Here we treated a rhabdomyosarcoma woman with three cycles of high dose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After the, completion of preoperative treatments, successful result of more than partial response was achieved. Three months later total maxillectomy and radical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There was no evidence of tumor infiltration in the resected tumor and regional lymphnodes but metastasized tumor cells in cervical lymphnodes were detected. Tumor cell infiltration was also found on the bone marrow biopsy to evaluate the pancytopenia which occurred during postoperative recovery. Two months later she died of secondary bone marrow failure. We think that this multimodality treatment combining pre-operative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surgery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curative resection and eyeball preservation in patients with rhabdomyosarcoma involving the eyeball.

  • PDF

MCP-1에 의해 유도된 THP-1 유주에 미치는 Zerumbone의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Zerumbone on MCP-1-Induced THP-1 Migration)

  • 김사현;김시현;유성률;이평재;문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7-182
    • /
    • 2018
  • 본 연구는 zerumbone이 단구의 유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단구는 다양한 염증 질환의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활성, 유주 등 단구의 기능 조절을 통해 염증 질환을 조절하는 가능성이 보고 되고 있다. 염증 발생 시 증가하는 케모카인인 MCP-1에 의해 단핵구 세포주 THP-1의 유주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ng/mL의 농도에서 유주가 발생하였으며, 100 ng/mL과 200 n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유주 현상이 나타났다. MCP-1에 의해 유발된 THP-1 유주는 zerumbone 존재 시 50% 이상 감소하였다. MCP-1 수용체인 CCR2 신호전달 과정의 중요 2차 전달자인 cAMP의 배양액 내 농도는 zerumbone 단독 처리 시 세포 단독 배양 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MCP-1 단독 처리 시에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zerumbone과 MCP-1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다시 cAMP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MCP-1 처리에 의해 일어나는 Erk 인산화도 zerumbone과 동시 처리 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는 단구의 유주 현상을 조절하는 zerumbone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개에 있어서 전신성 홍반성 낭창 일례 (A Case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 김주향;김기홍;고인경;이금종;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43-449
    • /
    • 2000
  • A three-year-old male jindo with generalized skin lesions (including seborrhea, hyperk- eratosis, alopecia, papules, and ecchymoses), pruritus lymph node enlargement, and fever was brought to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 versity. There were no laboratory findings for parasites and fungi in the hair and skin But, the com- plete blood counts (CBC) showed leukocytosis and severe cosinophilia, It was suspected to be an inflammatory and allergic dermatitis. Thus, prednisoIone (0.5 mg/kg PO, BID for 1 week) and ampi- cillin (10 mg/kg PO, BID for 1 week given. One week later, pruritus and ecchymoses were reduced. These treatments were repeated for 7 day again. Three months later, the dog was presented again due to the relapse and exacerbation of the clinical signs. The signs were as follows; severe pru- ritus, vesicobullous skin lesions, anorexia, emaciation, lameness, and welling of carpal joints that showed inflammatory skin lesion and draining of synovia-like fluid. The values of WBC counts were returned to normal ranges. In contrast, eosinophilia was still observed. Coombs test for patient RBC and serum were negative. Hypoalbuminemia (2.5g/dl) was shown by serum chemistry. The uri- nalysis revealed and presence of leukocytes. Luxation finding of right radial carpal joint by polyarthritis was shown in radiography of affected joints.Lupus eryhematosus(LE) cells also appeared in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of affected joints. Definitely, antinuclear antibody (ANA) of patient serum using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as detected by all immu- nofluorescence. Based on these findings such as sedum ANA-Positive. major signs (skin disease, non- erosive polyarthritis with soft tissue swelling. and proteinuria), minor signs (fever), and LE cell-pos- itive, a diagnosis of systemic lupus crythematosus (SLE) was mad\ulcorner in this dog. The dog with SLE was administered with Pre(2.0 mg/kg PO, BID for first 4 week and then QOD)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autoantibodies and with ampicillin (10 mg/kg PO, BID for first 4 weeks and then QOD)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The condition of this dog was monitored every 2 weeks by physical examinations, radiography, CBC, serum chemistry and urinalyais. At 8th week of treat- ment, the state of SLE evaluated by physical examin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was markedly improved except for proteinura.

  • PDF

Development of Kinetic Models Describing Kinetic Behavior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Milk

  • Kim, Hyoun Wook;Lee, Sun-Ah;Yoon, Yohan;Paik, Hyun-Dong;Ham, Jun-Sang;Han, Sang-Ha;Seo, Kuk-Hwan;Jang, Aera;Park, Bum-Young;Oh, Mi-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5-161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predictive models to evaluate the kinetic behaviors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milk during storage at various temperatures. B. cereus and S. aureus (3 Log CFU/mL) were inoculated into milk and stored at $10^{\circ}C$, $15^{\circ}C$, $20^{\circ}C$, and $30^{\circ}C$, as well as $5^{\circ}C$, $15^{\circ}C$, $25^{\circ}C$, and $35^{\circ}C$, respectively, while bacterial populations were enumerated. The growth data were fitted to the modified Gompertz model to estimate kinetic parameters, including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mu}_{max}$; Log CFU/[$mL{\cdot}h$]), lag phase duration (LPD; h), lower asymptote ($N_0$; Log CFU/mL), and upper asymptote ($N_{max}$; Log CFU/mL). To describe the kinetic behavior of B. cereus and S. aureus, the parameters were fitted to the square root model as a function of storage temperature. Finally, the developed models were validat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Bias (B) and Accuracy (A) factors were calculated. Cell counts of both bacteria increased with storage time. Primary modeling yielded the following parameters; ${\mu}_{max}$: 0.14-0.75 and 0.06-0.51 Log CFU/mL/h; LPD: 1.78-14.03 and 0.00-1.44 h, $N_0$: 3.10-3.37 and 2.09-3.07 Log CFU/mL, and $N_{max}$: 7.59-8.87 and 8.60-9.32 Log CFU/mL for B. cereus and S. aureus, respectively. Secondary modeling yielded a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R^2$) of 0.926.0.996. B factors were 1.20 and 0.94, and A factors were 1.16 and 1.08 for B. cereus and S. aureus, respectively. Thus, the mathematical models developed here should be useful in describing the kinetic behaviors of B. cereus and S. aureus in milk during storage.

만곡수로에서의 Ice Jam과 흐름특성 (Characteristics of Ice Jam and flow in channel Bends)

  • 윤세의
    • 물과 미래
    • /
    • 제21권4호
    • /
    • pp.399-406
    • /
    • 1988
  • 만곡수로에서의 흐름, ice jam의 형성 및 분포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본이론을 분석하고, 실험수로로는 연속 만곡수로와 단일 만곡수로를 사용하였다. 연속 만곡수로는 13개의 중심각 $90^{\circ}$만곡부가 연결된 수로이며 하폭에 대한 수심의 비가 2이며 단일 만곡수로는 중심각 $180^{\circ}$이며 하폭에 대한 수심의 비가 4로 비교적 수심이 얕은 수로이다. 실험에 사용된 얼음재료는 폴리에칠렌과 폴리프로필렌 구슬(bead)와 조각(block)이다. 연속 만곡수로에서는 저면유속이 표면유속보다 크며 ice jam의 형성으로 이러한 현상은 더욱 크게 나타났다. Jam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두꺼웠으며 최대 유속선은 ice jam의 발생으로 인하여 더욱 내측으로 편이되었다. 횡방향 jam의 두께는 하폭에 대한 얼음 조각의 길이 비가 증가함에 따라 규칙적으로 분포 되었다. 단일 만곡수로에서의 jam hed는 얼음의 운송량이 일정한 경우 외측이 내측 보다 빨리 진행되었으며 그 속도는 비교적 일정하였다. Froude 수가 증가되므로 jam 두께는 횡단면에 걸쳐 불균일하게 되며, 내측과 jam 끝부분이 두껍게 된다. Two-Layer model은 수심이 얕은 만곡부에서 적용가능하며, 2차 흐름의 분포는 상하 2개의 cell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에서 Type III 분비장치의 표적단백질들의 분비신호 확인 및 Type III 분비장치를 이용한 Secretion Vector의 개발 (Identification of Secretion Signals of Target Proteins i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Construction of Secretion Vector using this Signal)

  • 최혁진;엄준호;조정아;이선;이경미;이인수;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4-258
    • /
    • 2000
  • 소장의 상피세포내로 세균 세포가 들어가는 과정(invasion)은 Salmonella의 감염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invasion은 Salmonella type III 분비장치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들에 의해 유도된다. type III 분비단백질들은 특이하게, 일반적인 분비단백질들이 가지는 N-말단 분비 신호 펩타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려져 있다. Yersinia에서의 최근 연구에서 type III 분비장치에 의해 인지되는 분비신호는 분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5'말단부의가 형성하는 2차 구조에 있을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lmonella type III 분비장치의 분비신호를 조사하기 위해 type III 분비단백질중 하나인 sopE를 택하여 ompR과의 translational fusion을 만들었다. translational fusion을 위해 사용된 sopE DNA절편은 프로모터와 시작 콘돈으로부터 10, 15 코돈을 포함하는 절편이다. Immunoblot으로 확인한 결과, OmpR을 포함하는 fusion 단백질이 형질전환 Salmonella 세포로부터 분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lmonella의 type III 분비신호가 분비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5'말단에 위치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비신호를 활용하여 유용한 외래 단백질을 세균 세포 내에서 효과적으로 생산, 분비할 수 있는 secretion vector의 원형을 개발하였다.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n the Ovary and Uterus of Streptozotocin-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 Kim, Sung-Min;Kwak, Dong-Hoon;Kim, Sun-Mi;Jung, Ji-Ung;Lee, Dae-Hoon;Lee, Seoul;Jung, Kyu-Yong;Do, Su-Il;Choo, Young-Ku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8호
    • /
    • pp.666-676
    • /
    • 2006
  • Gangliosides are widely distributed in mammalian cell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various functions such as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control. In addition, diabetes and obesity cause abnormal development of reproductive processes in a variety of species.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and how they are related,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s implicated in the abnormal follicular development and uterine architecture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Based upon the mobility on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mouse ovary consisted of at least five different ganglioside components, mainly gangliosides GM3, GM1, GD1a and GT1b, and diabetic ovary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ganglioside expression with apparent changes in the major gangliosides. A prominent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showed a dramatic loss of ganglioside GD1a expression in the primary, secondary and Graafian follicles of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A significant decrease in ganglioside GD3 expression was also observed in the ovary of db/db mice. In the uterus of STZ-induced diabetic mice, expression of gangliosides GD1a and GT1b was obviously reduced, but gangliosides GM1, GM2 and GD3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ontrast, the uterus of db/db mic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ngliosides GM1, GD1a and GD3 expression. Taken together, a complex pattern of ganglioside expression was seen in the ovary and uterus of normoglycemic ICR and $db/^+$ mice, and the correspoding tissues in diabetic mice are characterized by appreciable changes of the major gangliosid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erations in ganglioside expression caused by diabetes mellitus may be implicated in abnormal ovarian development and uterin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