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ater Mixing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라듐 동위원소 방사능비를 추적자로 사용한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장강 유출수의 영향 추정 (Radium Isotope Ratio as a Tracer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Changjiang Outflow to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 김기현;김승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3-142
    • /
    • 2009
  • 2009년으로 예정된 산샤댐 완공 후 인근해역에 대한 장강 유출수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라듐 동위원소의 방사능비($^{228}Ra/^{226}Ra$)와 염분을 이용하여 북부 동중국해의 표층수를 쿠로시오수(Kuroshio Water; KW), 동중국해수(East China Sea Water; ECSW), 장강수(Changjiang Water; CW)등 세가지 단성분 수괴로 나누고, 세 단성분 사이의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2005년 11월에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32개 정점(조사선 '탐구3호'), 2006년 7월에 20개 정점(조사선 '해양 2000호'), 2006년 8월에 17개 정점(조사선 '이어도호')에서 표층해수의 시료 각 300 L씩을 망간섬유에 통과시켜 라듐을 농축하였고, $Ba(Ra)SO_4$형태로 공침된 라듐 동위원소를 감마선 분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라듐 동위원소 방사능비와 염분을 이용하여 추정된 세 단성분의 혼합비는 풍수기에 장강수가 약 1-23%, 쿠로시오수가 0-30 %, 동중국해수는 58-100% 사이에 분포하였다. 여름철 인공위성 이미지에서 장강수 플룸이 동쪽으로 향하는 것이 관찰되듯, 이 연구에서도 장강수 혼합비가 동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는데 이는 이 지역에 여름에 우세한 남동계절풍에 의한 표층수의 엑크만 수송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갈수기에는 연구해역의 표층수에 장강수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강수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용존 무기질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용존 무기질소의 주 공급원이 장강수임을 의미하며, 혼합곡선이 제거의 형태를 보이는 것은 장강수가 인근 해수와 혼합시에 식물플랑크톤의 섭취 같은 생물작용에 의하여 질산염이 소모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해수교환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 염분 확산 영향 범위 수치 실험 (Simulation of salt intrusion and mixing influence for Yongsan estuary regarding Seawater exchange)

  • 박용우;조양기;신용식;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7-561
    • /
    • 2006
  • 매년 영산강 본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주변은 최근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남악 신도시개발, J-Project 및 환경 문화 복원사업의 추진, 기업도시개발등과 관련하여 수질관리개선 및 주요환경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역 관리방안 중 담수호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수문개방을 통한 해수 유입에 의한 수질 개선을 효과를 도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하구호 방조제의 수문 개통 및 완전 개방에 따른 수질개선 문제에 앞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중 영산강 및 연안역 염분의 확산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이 실시되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 및 해수 유입에 따른 염분의 역상 범위를 평가 하기위해 수치 모델로는 EFDC를 적용하였고, 하천형상과 연안역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수평좌표계는 직교곡선좌표로 격자 크기는 $120{\sim}1000m$, 연직방향으로 시그마좌표를 사용하였다. 담수 방류 및 염분역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하구 수문 방류량 및 하천 유입량으로부터 홍수기와 갈수기를 선택하여 현재 상황 및 수문의 부분 개통 하구둑 완전 개방에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문의 부분개통과 하구둑 완전 개방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는 영산강 하구둑을 기준으로 홍수기에는 $13{\sim}17km$, 갈수기에는 36km 이상의 상류지역에서 해수와 담수의 분리 기준인 0.3 psu 범위가 계산됨을 알 수 있다.

  • PDF

황해 남부해역 해수에서 산소와 수소동위원소를 이용한 혼합비율 추정 (The Estimation of Water Mass Mixing Ratio by Oxygen and Hydrogen Isotopes in the Southern Yellow Sea)

  • 김기현;한정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4호
    • /
    • pp.357-362
    • /
    • 2000
  • 황해 남부해역에서 199년 8월에 채집된 시료로부터 산소동위원소비(${\delta}^{18}$O)와 수소동위원소비(${\delta}$D)를 측정하였다. 표층시료의 경우 염분과 ${\delta}^{18}$O 그리고 염분과 ${\delta}$D는 앙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delta}^{18}$O와 ${\delta}$D 또한 매우 좋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들 자료는 연구지역의 해수가 장강수와 변형된 쿠로시오수의 혼합물이며 ,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가 연구지역에서 수괴의 성질과 행동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추적자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염분과 수온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운 수괴를 구분하고 특성을 파악하는데도 안정등위원소가 좋은 추적자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Estuarine Behavior and Flux of Nutr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 권기영;문창호;이재성;양성렬;박미옥;이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4호
    • /
    • pp.153-163
    • /
    • 2004
  • In order to estimate the nutrient flux of the Seomjin River into the coastal waters of South Sea, and to understand the estuarine reactions during mixing between river water and seawater, we collected surface water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from Mar. 1999 to Apr. 2001. We found that nitrate and silicate were delivered by fluvial input, while phosphate was, supplied from disposed wastes in the Gwangyang Bay. Mean annual flux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phosphate and silicate into the Gwangyang Bay was estimated 10.9 molesㆍsec$^{-1}$(4,820 tonnesㆍyr$^{-1}$), 0.07 molesㆍsec$^{-1}$(68 tonnesㆍyr$^{-1}$), 13.3 molesㆍsec$^{-1}$(11,747 tonnesㆍy$^{-1}$), respectively. An evident removal of phosphate, silicate and ammonium at the mid-salinity zone during the dry season was attributed to the active uptake of phytoplankton, and consequently nutrient flux into the Gwangyang Bay was low. Whereas, during the flood season in summer, conservative or additional distribution of the nutrients was observed in the estuary. As a rsult nutrient flux into the Gwangyang Bay was maintained high. High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and the active removal of nutrient during the dry season at the mid-salinity zone suggest that nutrient distribu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as mainly controlled by biological processes and nutrient fluxes into the Gwangyang Bay might be significantly modified of by the primary production.

CHEMICAL COMPATIBILITY OF SOIL-BENTONITE CUT-OFF WALL FOR IN-SITU GEOENVIRONMENTAL CONTAINMENT

  • Inui, Toru;Takai, Atsushi;Katsumi, Takeshi;Kamon, Masashi;Araki, Susumu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3차
    • /
    • pp.135-139
    • /
    • 2010
  • A construction technique to install the soil-bentonite (SB) cut-off wall for in-situ geoenvironmental containment by employing the trench cutting and re-mixing deep wall method is first presented in this paper. The laboratory test results on the hydraulic barrier performance of SB in relation to the chemical compatibility are then discussed. Hydraulic conductivity tests using flexible-wall permeameters as well as swell tests were conducted for SB specimens exposed to various types and concentrations of chemicals (calcium chloride, heavy fuel oil, ethanol, and/or seawater) in the permeant and/or in the pore water of original soil. For the SB specimens in which the pore water of original soil did not contain such chemicals and thus the sufficient bentonite hydration occurred, k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when permeated with the relatively aggressive chemical solutions such as 1.0 mol/L $CaCl_2$ or 50%-concentration ethanol solution. In contrast, the SB specimens containing $CaCl_2$ in the pore water had the higher k values. The excelle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log k and swelling pressure implies that the swelling pressure can be a good indicator for the hydraulic barrier performance of the SB.

  • PDF

Measurements of $^{224}Ra\;and\;^{223}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2호
    • /
    • pp.80-86
    • /
    • 2003
  •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224}Ra$ (half life=3.4 days) and $^{223}Ra$ (half life=11.3 days) were measured in surface seawater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in April and October 2002. In order to determine these short-lived Ra isotopes, we used a delayed coincidence counter which is much more rapid and accurate than traditional methods. In an estuarine mixing zone (salinity, ~l6 ppt), the activities of $^{224}Ra\;and\;^{223}Ra$ were much greater than what would be expected from a mixture of freshwater and seawat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excess Ra may be a result of Ra desorption from fresh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river upstream. However, in the more open area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alinity>30 ppt) and the South Sea of Korea, $^{224}Ra\;and\;^{^{223}Ra$ activities decreased exponentially as a function of distance offshore. Using the decrease of $^{223}Ra$ with distance offshore in the South Sea of Korea, we estimated the apparent horizontal eddy diffusivities. The apparent eddy diffusion coefficients in South Sea of Korea are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3500-8000\;\textrm{m}^2/sec$.

기수호의 지하수-지표수 혼합대 내 질소 거동 분석 (Nitrogen Transport In Groundwater-Surface Water Hyporheic Zone at Brackish Lake)

  • 이슬기;주진철;문희선;김수련;김동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1권2호
    • /
    • pp.23-34
    • /
    • 2024
  • 해수에 의해 염분의 영향을 받는 기수호(brackish lake)인 송지호의 퇴적물(sediment), 대수층 충진재(aquifer materials), 지표수, 지하수를 채수 및 채취하여 분석하고, 해당 시료를 이용하여 염분의 영향을 받는 혼합대(hyporheic zone)를 모사하는 pilot scale 컬럼 실험을 진행하였다. 지하수의 상향류 실험 결과, 소량의 염분을 포함한 지하수가 대수층 및 퇴적물로 용승하며 낮은 용존산소 농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대수층에서 염분과 낮은 용존산소로 인해 부분 탈질(partial denitrification)이 발생해 NO2-의 축적이 확인되었다. 퇴적물에서는 긴 체류시간에 의해 질소계 화합물이 흡착되거나 미생물 매개의 산화/환원 반응으로 인해 질소계 화합물 농도가 저감되었다. 지표수의 하향류 실험 결과, 높은 농도의 용존산소와 염분을 포함한 기수호의 지표수가 퇴적물과 대수층으로 침투하며 높은 용존산소 농도를 공급하였다. 이로인해 퇴적물과 대수층에서 생물학적 질산화(nitrification)가 발생하였고, 지표수의 높은 염분 농도에도 불구하고 질소계 오염물질이 저감되었다. 이를 통해, 염분의 영향을 받는 상향류의 혼합대의 경우 낮은 용존산소 농도로 부분 탈질이 발생하며 염분에 의해 NO2-가 축적되고, 하향류의 혼합대의 경우 높은 용존산소 농도에 의해 질산화가 발생하며 염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기수호 내 염분이 혼합대의 질소 거동에 일부 영향을 미치나 DO, pH, 기질 농도, 유기물질 농도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조양식장 수질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이산화탄소 단순 수지모델 (Real-time Monitoring of Environmental Properties at Seaweed Farm and a Simple Model for CO2 Budget)

  • 심정희;강동진;한인성;권정노;이용화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4호
    • /
    • pp.243-251
    • /
    • 2012
  • 부산시 기장군 일광 해조류양식장에서 2011년 7월 5일부터 6일까지 약 30시간동안 해양 표층수의 수온, 염분 등의 환경인자와 pH와 이산화탄소분압($fCO_2$)을 연속 관측하였다. 표층수의 수온과 염분은 $12.5{\sim}17.6^{\circ}C$, 33.7~34.0범위를 보였으며, 조석과 광주기, 해류 등의 영향으로 일변화 및 일간변화를 크게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분압과 pH는 381~402 ${\mu}atm$, 8.03~8.15범위를 보였으며, 엽록소는 0.8~5.8 ${\mu}g\;L^{-1}$ 범위를 보였다. 이산화탄소분압, pH 그리고 엽록소는 최대 간조와 성층이 강했던 5일 오후 5시 전후에 최소 및 최고치를 보였으며, 이는 엽록소에 의한 생물생산 결과 이산화탄소는 낮고 pH는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해조양식장 이산화탄소변화에 대한 단순 수지모델을 적용한 결과, 낮에는 생물생산에 의한 감소가 수온상승, 대기와의 교환에 의한 증가와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밤에는 대기와의 교환 물리적 혼합에 대한 과대 평가로 관측치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모델결과는 해조양식장 이산화탄소분압 총변화량의 14~40%는 해조류의 일차생산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제방 시공 중 해수유입에 대한 차수보강 사례분석 (Case Study of Improvement against Leakage of a Sea Dike under Construction)

  • 한상현;여규권;김홍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5-1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차수가 요구되는 해안제방 축조공사 중 해수유입 발생에 대한 원인과 보강사례를 분석하였다. 전기 비저항탐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해저면 원지반과 제체가 명확히 구분되었으나, 상당 부분에서 저 비저항 이상대가 분포함이 확인되었다. 그로부터 누수의 원인은 체절과정에서 강도가 부족한 원지반의 3차원적 전단변형 거동과 그로 인한 불규칙한 강제치환, 그리고 조류와 유속에 의한 차수시트 시공 상 품질확보 문제 등으로 판단된다. 빠른 유속 및 해수조건에서의 시공성과 내구성, 유사한 시공사례,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유동성 몰탈, 슬러리 및 약액주입공법의 조합을 최적의 보강공법으로 선정하고 확인시추 및 시험시공을 통하여 배합비와 보강패턴을 결정하였다. 일반 및 집중 누수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패턴에 따라 시공하고 보강효과를 확인하였다. 보강된 지반의 현장투수시험, 추적자시험, 코아채취 및 일축압축강도 측정 등을 통하여 보강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시험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위차가 큰 서해안 지역에서 차수가 요구되는 제방시공에 있어서는 특히 체절공사 시 빠른 유속과 그로 인한 조류력이 차수재 품질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일 뿐 아니라 해저면 연약층의 3차원적 전단변형 거동으로 강제치환 범위와 차수재 포설길이를 예측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설계 및 시공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군산군도 내측해역의 현생퇴적환경 (Modern Sedimentary Environments Within the Gogunsan Archipelago)

  • 이희준;김민지;김태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519-536
    • /
    • 2008
  • The relatively tranquil area within the Gogunsan Archipelago was for the first time investigated preliminarily with respect to modern sedimentological processes in association with the emplacement of the Saemangeum Dyke. Basic sedimentological observations, bathymetry and surface sediments were performed twice during 2006-2008 to compare the results and elaborate changes during that period of time. In addition, sediment dynamical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with latest measuring equipment along two transects crossing the entrances of the archipelago, including 12-hour onboard measurements of current, suspended sediments, temperature, and salinity. This dataset was used to reveal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for spring season April-May and to estimate the direction and relative magnitude of the net flux of suspended sediments. There occurred three depositional areas (A to C) within the archipelago, where sediment texture was also changed. In area A, around Yami Island and the dyke, and area B, in the center of the archipelago, surface sediments became coarsened over the two-year period; sand content increased 5% at the expense of silt content in the former, whereas silt content increased 3% at the expense of clay content in the latter. By comparison, area C in the western entrance of the archipelago shows a textural trend of fining with more silt and clay (combined increase of 5%) at the expense of sand content. The accumulation of sediments in areas A and B is attributable to the sand and silt resuspended from the seabed sediments off sector 4 of the dyke during the winter. The origin of the fine materials depositing on area C is uncertain at present, although suspended sediments moving offshore around the archipelago may be one of the most likely candidates for the source. The temperature of seawater increased rapidly from $9-10^{\circ}C$ in April to $14-16^{\circ}C$ in May, whereas salinity remained more or less constant at 31-32%o during the two months. Both of these parameters showed little variations with depth through a tidal cycle, suggesting good mixing of seawater without any help of significant waves. The consistency of salinity during a tidal cycle also indicates no insignificant effects of freshwater from the rivers Mangyung and Donjin emitting through the opening gap near Sinsi Island.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the entrance between Sunyu and Sinsi islands than at the entrance between Hoenggyong and Sinsi islands, ranging from 20 and 30 mg/l and from 5 and 15 mg/l, respectively at the sea surface. Although tidal currents were variable across a transect between Sunyu and Sinsi islands, the currents across the entrance between Hoenggyong and Sinsi islands flowed consistently in the same direction all over the transect during a tidal cycle. The estimation of net flux of suspended sediments indicates that suspended sediments are transferred to the Gogunsan Archipelago mainly through a relatively deep trough adjacent to Sinsi Island toward the shallow area around Yami Island and the dy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