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rch

검색결과 17,049건 처리시간 0.042초

OpenAPI를 이용하여 간결함과 즉시성을 가진 검색 매쉬업 (Mashup for Instant and Simple Search using OpenAPIs)

  • 황기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1-49
    • /
    • 2011
  • 본 논문은 사용자가 작업하는 문서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빠르고 단순하게, 그리고 다양한 검색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검색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한 사례를 소개한다. 기존 웹 사이트 검색 방식은 하던 작업을 멈추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사이트에 접속하며 키워드를 입력하는 지루한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검색의 결과도 장황하며, 사전, 이미지, 동영상 등 동시 검색이 필요한 경우 여러 사이트에서 여러 번 검색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작업하는 어떤 문서에서도 간단히 검색어를 선택하고 CTRL키와 마우스 왼쪽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것으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Open API를 이용하여 여러 검색 웹 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매쉬업 검색 소프트웨어를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검색 소프트웨어는 검색의 단순 즉시성, 결과의 간결성, 검색 범위의 다양성, 기능의 확장성뿐만 아니라 작업하는 어떤 문서에도 검색이 가능한 매쉬업의 좋은 사례로 평가된다.

이미지 인지 유형 및 검색질의 방식에 따른 검색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trieval Effectiveness Based on Image Query Types)

  • 김성희;이근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1-3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인지유형 및 질의방식에 따른 검색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32명의 대학생들이 구글 이미지 검색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색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미지 인지유형은 구체적(specific), 일반적(generic), 추상적(abstract)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 이미지를 텍스트검색, 예제에 따른 검색(QBE: Query by example), 하이브리드검색 등 3가지 질의방식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이미지 인지유형 및 질의방식이며 종속변수는 검색된 적합한 이미지의 수이다. 데이터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이원배치분석(Two way ANOVA)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구체적 이미지와 일반적 이미지 인지유형에서는 텍스트 및 하이브리드 방식이 검색효율성이 높게 나타났고 추상적 이미지 인지유형에서는 QBE이 검색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미지 검색에서 검색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프 탐색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웹 크롤링 방법들 (Effective Web Crawling Orderings from Graph Search Techniques)

  • 김진일;권유진;김진욱;김성렬;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10
  • 웹 크롤러는 웹에서 링크를 따라다니며 웹 페이지들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프로그램으로 주로 웹 환경을 연구하거나 검색 엔진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웹 크롤러가 인기 있는 웹 페이지들을 먼저 크롤링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몇몇 그래프 탐색 기법들은 아직 웹 크롤링 방법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잘 알려진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뿐 아니라 사전식 너비 우선 탐색, 사전식 깊이 우선 탐색 및 최대 크기 탐색을 웹 크롤링 방법으로 고려하여 이 중에서 선형적인 시간복잡도를 가지면서도 인기 있는 웹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웹 크롤링 방법을 찾는다. 특히 선형 구현이 단순하지 않은 최대 크기 탐색과 사전식 너비 우선 탐색에 대해서는 분할 정제 방법을 이용한 선형 시간 웹 크롤링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는 최대 크기 탐색이 다른 그래프 탐색 방법에 비해 시간 복잡도 및 크롤링 된 페이지들의 질에 있어서 바람직한 성질을 가짐을 보여준다.

뉴 미디어 시대 패션소비자의 정보 탐색과 공유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nd sharing in new media age)

  • 신현주;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1-263
    • /
    • 2018
  • As mobile shopping has increased in the new media age, fashion consumers' decision making and product consumption processes have changed. The volume of consumer-driven information has expanded since media and social networking sites have enabled consumers to share information they ob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earching strategies and information sharing about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collected data from 466 respondents, relating to the influence of product price level and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on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sharing. Experimental design of three product price level and two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was used. Analysis of the data identified factors in fashion information searching as ongoing searching, prepurchase web portal information search, and prepurchase marketing information search. For low-price fashion products, prepurchase product-detail influence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For mid-priced products, ongoing search significantly affecte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Both ongoing search and prepurchase marketing information sear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high-price products. Consumers who are more committed to SNS engaged in significantly more searching in all aspects of information search factor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tected for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and product price level. When consumers with low consumer SNS commitment search for information on lower-priced fashion products, they are less likely do a prepurchase web portal information search.

움직임 예측을 이용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기 (Motion-based Fast Fractional Motion Estimation Scheme for H.264/AVC)

  • 이광우;선우명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3호
    • /
    • pp.74-79
    • /
    • 2008
  • 본 논문은 H.264/AVC 비디오 코덱의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은 보다 정확한 움직임 벡터를 찾을 수 있어 비디오 코덱에 널리 사용되지만, 추가적인 보간 및 탐색 연산으로 인해 부호화기의 연산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제안하는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은 SASR(Simplified Adaptive Search Range)을 이용하여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MSDSP(Mixed Small Diamond Search Pattern)을 이용하여 부화소 탐색 지점을 감소시켰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전역 부화소 탐색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탐색 지점이 최대 93.2% 감소하였으며, PDFPS(Prediction-based directional fractional pixel search) 알고리즘보다 탐색 지점이 최대 81% 감소하며 PSNR 감소는 최대 0.04dB로 화질의 열화는 매우 미비했다.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어 트렌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포털에서의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의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rend and Meaning of Searching for Herbal Medicines in Online Portal Using Naver DataLab Search Trend Service)

  • 김영식;이승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 From January 2020,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Korea,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is expected to increas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Korean herbal medicines for health ca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search tre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after the COVID-19 epidemic. Methods : Using the "Naver DataLab (http://datalab.naver.com)" service of a Korean portal site Naver, search volume was investigated with 606 Korean herbal medicines as keywords. The 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20, right after the onset of COVID-19, to June 2021. The search results were sorted by the peak search volume and the total search volume. Results : 'Cheonsangap (천산갑, 穿山甲, Manitis Squama)' was the most searched Korean herbal medicine in the peak search volume and total search volume with least bias. Conclusions :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of high public interest was identified. Broadcasting and media exposure were the factors that had a big impact on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increased rapidly due to media expos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bout Korean herbal medicines, improve public awareness, and manage stable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ntinuous search trend monitoring.

온라인 후기 탐색이 기존 구매자의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국가 간 비교연구 (A Cross-Country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of Existing Buyers)

  • 진봉비;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6호
    • /
    • pp.53-73
    • /
    • 2020
  • Many pri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at positive reviews increase the intention to purchase. However, there are very few papers that have studied the impact of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impact of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as it can lead the business successfully by inducing repurchase. There is also no study of how review search have different effects on purchase satisfaction among countries. Given the growing number of cross-border e-commerce, we believe that the need for research is high because identifying thes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can have a very important impact on a company's successful overseas expan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the national impact were set up as a research model.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ose who experienced online purchase in Korea and China, and a total of 234 copies were collected, including 125 copies in Korea, 109 copies in China,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Smart-PL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ols. First, positive review search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negative review search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was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While Korea is more aggressive in review search than China due to its high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China is less likely to avoid uncertainty than Korea and is more likely to rely on brand familiarity. Therefore, according to the uncertainty avoidance moderation effect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was higher in Korea than in China. In this study, Shopping mall managers need to take strategic measures to maximize shopping mall performance by recognizing positive aspects of negativ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Companies and managers in Korea and China can establish strategies to promote product sales when companies enter the global market.

토픽모델링 및 주성분 분석 기반 검색 질의 유형 분류 연구 (A Study on Search Query Topics and Types using Topic Modeling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강현아;임희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6호
    • /
    • pp.223-234
    • /
    • 2021
  •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쇼핑의 행태는 더욱 빠르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 고객의 정보요구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검색 질의이다. 하지만 검색 분야에서도 검색 질의 관련 연구 사례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검색 질의 연구 분야 선행 연구들은 연구자의 정성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제한적인 주제와 데이터 기반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검색 질의 연구 분야에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검색 질의와 검색 이후 이용자가 조회한 문서명 로그를 기반으로 토픽모델링 수행 후 검색 질의 주제를 정의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방법론으로 15개의 검색 질의 주제 유형을 정의하였다. 또한 기존 검색어 자체만을 보고 판단하던 주제 유형에서 나아가 검색 행동특성을 반영한 유형을 정의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를 추출 후 각 주제별 검색 행동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검색 탐색 활성도, 상품 관여도에 따른 4가지의 새로운 검색 질의 유형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검색서비스 구축 및 검색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API를 활용한 트위터 검색 기능 개선 (Improving Twitter Search Function Using Twitter API)

  • 남용욱;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79-886
    • /
    • 2018
  • 트위터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검색 기능은 검색어가 담긴 트윗 뿐 아니라 검색어를 포함하는 닉네임을 가진 유저가 쓰는 모든 트윗들을 보여준다. 따라서 검색 키워드와 관계 없는 트윗들도 검색 결과로 노출하게 되어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트윗 만을 검색하려고 하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검색 키워드가 들어있는 트윗만을 검색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어 트위터 검색 기능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기능은 ASP.NET MVC5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로 구현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다. 검색 결과를 모아놓은 객체에 C#의 강력한 컬렉션 메소드를 사용하여 '리트윗' 이나 '마음에 들어요' 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출력할 수도 있고, 리트윗 숫자가 설정한 수치보다 적을 경우 검색 결과에서 제외할 수 있는 필터 기능도 추가하였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관심을 많이 받는 의견을 빠르게 탐색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검색 이용자와 데이터 분석가들이 트위터에서 검색하는데 편리함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daptable Web Search User Interface Model for the Elderly

  • Khalid Krayz allah;Nor Azman Ismail;Layla Hasan;Wad Ghaban;Nadhmi A. Gazem;Maged Nasse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9호
    • /
    • pp.2436-2457
    • /
    • 2023
  •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but many face challenges in using digital tools like the Internet due to health and incapacity issues. Existing online search user interfaces (UIs) often overlook the specific usability needs of the elderly. This study proposes an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 for the elderly, based on their perspectives, to enhance search performance and usability. The proposed UI model is evaluated through comparative usability testing with 20 participants, comparing it to the Google search UI.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re measured using task completion time, error rate, and subjective preference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between the proposed web search UI model and the Google search UI. The proposed UI model achieves higher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s, indicating better alignment with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elderly users. It also reduces task completion time, indicating improved efficiency, and decreases the error rate, suggesting enhanced effectivenes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unique usability needs of the elderly when designing search UIs. The proposed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o enhance the digital experiences of elderly users.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s that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elderly users, enabling designers to create more inclusive and user-friendly search interfaces for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