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mustard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9초

추출방법을 달리한 미역 및 다시마 과립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nule Tea Prepared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5-5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호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다시마 미세분쇄분말을 열수 및 고압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의 수율은 미역, 다시마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흡습특성 및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미역 과립차의 전자공여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시마의 과립차에서는 열수추출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미역 과립차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다시마 과립차의 경우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2+}$ chelating효과는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TBARS에서는 고압추출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두 고압추출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처리조건별 미역농축물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ea Mustard Extracts with the Treatment Conditions)

  • 이강호;이동호;조호성;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9-415
    • /
    • 1993
  • 과잉생산 단계에 있는 미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몇가지 미역추출농축물을 만들어 그 농축물의 화학조성과 생물학적 성질, 영양성분 및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고 또한 생미역, 마른미역 및 추출농축물을 첨가한 어린이용 간식제품을 만들어 여러가지 영양성분의 공급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미역의 화학성분조성은 수분 $89.24\%$, 조단백질 $1.60\%$, 조지방 $0.11\%$, 조회분 $4.71\%$, 알긴산 $2.74\%$였다. 2. 미역추출농축물의 성분조성에 있어서 열탕가용성 추출농축물이 165.1mg/100g으로 요오드함량이 높았고 Ca함량도 2,481.5ppm(dry basis)로 가장 높았다 Ca, Fe는 $95\%$에탄올가용성이, Zn은 열탕가용성, Mn은 냉수가용성이 가장 높았다. 3. 미역추출농축물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 $95\%$ 에탄올가용성 추출농축물은 아주 미량으로 나타났고 $1\%$ NaOH 가용성 추출농축물이 다른 시료에 비해 전체아미노산 함량이 높았고 그 중 필수아미노산인 leucine, lysine 등의 함량도 높았다. 4. 생미역, 마른미역분말 및 미역추출농축물을 첨가한 간식용 제품인 잼, 제리 및 사탕은 냄새, 맛 및 색깔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기호성 뿐만 아니라 미네랄 특히 요오드의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미역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Sea Mustard)

  • 강혜민;이신호;박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10-817
    • /
    • 2013
  • 청국장의 품질 향상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역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역 첨가 청국장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사한 미생물수를 나타내었고, 청국장의 pH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으며, 발효 72시간에는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의 pH가 높았다.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초기에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보다는 미역첨가 청국장이 더욱 높았으며, 발효 72시간에는 SM5에는 $397.13{\mu}g/mL$로 가장 높았다. 발효 종료 후 청국장의 점질물의 양은 SM5가 6.53%로 가장 높았다. 발효 48시간째 SM5, SM10, SM15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91, 80.72, 79.40%를 나타내어 대조구(68.09%)에 비해 높았다. 발효 종료 후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266.46{\mu}g/mL$인데 반해, 미역첨가 청국장은 $352.87{\sim}396.07{\mu}g/mL$를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SM5, SM10, SM15 각각 89.01, 91.32, 92.27%로 대조구(86.66%)보다 높았다. 미역 청국장의 관능검사 결과, 맛은 SM5가 3.40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2.88로 가장 낮았다.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도 SM-5가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역분말이 첨가된 쌀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 정규진;이승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53-1459
    • /
    • 2011
  • 쌀 쿠키에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미역분말을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미역분말 쿠키의 다양한 품질특성 평가를 통한 기능성 쿠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쿠키 반죽의 pH는 6.98~7.13의 범위로 미역분말의 첨가량이 1%, 3%, 5%로 증가됨에 따라 pH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밀도는 4.62~4.90으로 미역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유의성(p<0.05)있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6.33을 보인 반면 미역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각각 6.55, 6.76, 6.90%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미역분말쿠키의 퍼짐성은 대조군에 미역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퍼짐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p>0.05)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손실률과 팽창률은 미역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색도 분석에 따른 L값(lightness)은 미역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유의적(p<0.05)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a값(+red/-green)과 b값(+yellow/-blue)은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미역분말을 첨가한 쿠키에 함유된 무기원소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았으며, 미역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무기원소의 함량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조직감을 나타내는 경도는 미역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쿠키의 관능평가를 종합해본 결과, 쌀 쿠키에 미역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기호도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해조묵제조 -3. 두유혼합묵과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 (Preparation of Seaweed Jelly(Muk)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3. Muks Prepared with Soy milk or Soy Protein Isolate-)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김건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5-330
    • /
    • 1995
  • 해조류 중 생산량이 많고 건강식품 소재로 가능성이 높은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하여 두유와 분리대두 단백질이 첨가된 혼합묵의 제조조건을 규명하였다 두유혼합 미역묵의 제조는 두유의 비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겔강도는 감소되었고, 농축한 두유를 혼합할수록 겔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조체용해액에 대한 두유의 비율을 7 : 1로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조체용해액에 분리대두단백질을 $5\%$(w/w)를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할때 조체묵이나 두유혼합묵에 비해 높은 겔강도$(900g/cm^2)$을 가지는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식용 갈조류의 알긴산 조성 (Uronate Compositions of Alginates from the Edible Brown Algae)

  • 이동수;김형락;조득문;남택정;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1998
  • 식용갈조류 4종 (미역, 다시마, 모자반 및 톳)을 수확기에 부산근교에서 채취하여 채취월별로 알긴산의 조성, M/G의 비, 그리고 분자량을 각각 분석$\cdot$검토하였다. 시료 갈조류의 알긴산 함량은 생육기간에 비례하였으며, 대체로 수용성 알긴산에 비하여 알칼리가용성 알긴산을 훨씬 많이 함유하였다. 갈조류 알긴산의 블록조성을 보면, G-블록에 대한 M-블록의 비는 수용성 알긴산이 대체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역에서 특히 현저하였다. 4종 갈조류 함유 알긴산의 분자량은 다시마 알긴산이 $4,500\~4,800kDa$로 가장 컸고, 다음이 미역 알긴산의 $4,000\~4,200$, 톳 알긴산 $3,300\~3,400kDa$ 및 모자반 알긴산 $3,000\~3,200kDa$이었으며, 모두 생육기간이 길수록 분자량도 점차 커졌다. 미역의 줄기, 잎, 그리고 포자잎을 취하여 알긴산의 조성을 부위별로 비교하면, 포자잎부분은 수용성알긴산을 많이 함유하였고, M/G의 비도 4.59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분자량은 포자잎부분과 줄기부분이 $4,100\~4,200kDa$ 정도로 비슷하였고, 잎부분은 $4,000\~4,100kDa$ 정도로서 약간 작았다.

  • PDF

해조소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eaweed Salts Prepared with Various Seaweeds)

  • 김동한;임종환;이상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66
    • /
    • 2003
  • 해조류와 소금물을 이용하여 해조소금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과 무기성분을 비교하였다. 해조소금 제조에 사용한 해조류의 회분함량은 미역이 22.78%로 많았고 김이 9.81%로 적었으나 무기성분으로 미역은 Na함량이 많은 반면 다시마와 톳은 K와 Ca가 많았다. 건조만 한 소금을 회화시켜 물불용해성분을 제거하면 소금의 순도가 증가하여 색이 밝아졌으며 pH와 ORP가 저하하였고, K와 Ca함량은 증가하나 Mg가 감소하였다. 해조소금의 수율은 미역소금에서 높았고 ORP는 다시마와 톳소금에서 낮았으며, K와 Ca함량은 미역소금에 비하여 다시마와 톳소금이 현저히 많았다. 해조소금 제조시 소금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소금의 수율과 순도는 증가하나 pH는 저하하였고, ORP와 Ca, Mg함량이 증가하였다. 해조소금을 SEM에 의해 표면관찰 한 바 소금의 외형이 작고 특징적인 결정구조를 보였다.

한국인 남자대학생의 주요 상용식품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is of Insoluble(IDF) and Soluble Dietary Fiber(SDF) Content of Koran Male College Students)

  • 황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78-285
    • /
    • 1996
  • Contents of insoluble(IDF),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total dietary fiber(TDF) of 30 foods which are consumed commonly by 80 Koeran male college students were determined by Prosky and colleagues' enzymatic-gravimentric method. Foods with highest intake frequency were rice, Kimch'i, and red pepper powder. TDF, IDF, and SDF contents of rice were 0.96, 0.59 and 0.37g/100g wet wt., respectively and tose of Kimch'i were 3.07, 2.19 and 0.88g/100g wet wt., respectively. Red pepper powder contained high amount of TDF(39.37) and IDF (33.13g/100g wet wt.). The T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70 to 39.37g/100g wet wt. Red pepper (39.37), dried laver(31.36), and dried sea mustard (37.77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TDF. The I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13 to 33.13g/100g wet wt. Red pepper powder (33.13), dried laver(15.55) and sesame(15.43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IDF. SDF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01 to 25.66g/100g wet wt. Dried sea mustard(25.66), dried laver(15.81), coffee powder (13.17), and garlic(8.72g/100g wet wt.) were good sources of SDF. % ratio of SDF to TDF of the 30 foods was lower than 50% except soybean curd(94.27%), coffee powder (88.93%), garlic(86.17%), dried sea mustard(67.94%), and dried laver(50.41%).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intake of seaweeds in order to supply TDF adn SDF properly.

  • PDF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ginic Acid Extracted from Sporophyll of Sea Mustard

  • Cho, Eun-Ju;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69-174
    • /
    • 1998
  •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ginic acids extracted from sea mustard(SM) and sporophyII of sea mustard(SSM) were studied by Salmonella typhimurium assay system and cytotoxicity and transformation tests using C3H/10T1/2 cells, respectively. alginic acid-SM andalginic acid-SSM showed antimutagenic effects on aflatoxin B1(AFB1)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strain. The antimutagenic effect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t the 2.5mg/plate concentration , alginic acid-SSM exhibited 92% antimutagenicity against AFB1 ,while alginic acid-SM revealed 54% antimutagenictity ,s howing effectiveness of the alginic acid-SSM for the antimutagenicity. Alginic acidSSm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ytotoxicity induced by 3-methylcholanthrene(MCA) and MNNG in C3H/10T1/2 cells (p<0.05). The type II and type IIItransformation foci formation by MCA and MNNG were also decreased when the alginic acid-SSM was treated, indicating that the alginic acid -SSM reduces the carcinogenesis induced by these carcinogens. The MCA-treated culture produced 10.5foci of type II +III in C3H/10T1/2 cells, however, MCA + 0.2mg/ml alginic acid-SSM treated culture formed only 1.8 foci of the types II + III in C3H/10T1/2 cells, however , MCA+0.2mg/ml alginic acid -SSM treated culture formed only 1.8 foci of the types II+ III(p<0.05). While MNNG-treated culture formed 13.0 foci, MNNG + 0.2mg/ml alginic acid -SSM treated one produced 3.0 foci of type II+III(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ginic acid-SSM can effectively prevent the mutagenicities and also decrease cytotoxicity and transformation induced by some carcinogens.

  • PDF